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5 17:09:39

왕족의 칭호


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주와 관계 남성 여성 배우자(여성) 기타
전임 군주 태상황 | 태상왕 태상황후 | 태상왕비 태황태후 | 대왕대비
상황 | 상왕 상황후 | 상왕비 황태후 | 왕대비
군주 황제 | 여제 | 여왕 황후 | 왕비 국서
후궁 남총
후계자 황태자 | 왕세자 황태녀 | 왕세녀 태자비 | 세자빈 원자
황태손 | 왕세손 태손비 | 세손빈 원손
자녀 황자 | 왕자 황녀 | 왕녀
(공주 · 옹주)
황자비 | 왕자비 부마
형제 황제(皇弟) | 왕제(王弟) 장공주 황태제 | 왕세제
삼촌 황숙 | 왕숙 대장공주
외척 국구 국태부인
왕족(서양) 프린스 프린세스
궁인 내시 · 환관 궁녀
군주와의 가족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 어휘를 기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황실 및 왕실 어휘가 구별되는 경우 ' | ' 표시로 구분하였다.
왕족이 수여하는 봉작은 왕족의 칭호 문서 참조.
}}}}}}}}} ||



1. 개요2. 한반도
2.1. 고대
2.1.1. 신라2.1.2. 고구려2.1.3. 백제2.1.4. 발해
2.2. 고려2.3. 조선·대한제국
3. 중국4. 일본5. 중앙아시아 및 중동
5.1. 고대 이집트5.2. 아케메네스 제국5.3. 사산 제국5.4. 이슬람 제국5.5. 몽골 제국5.6. 무굴 제국
6. 유럽
6.1. 마케도니아 제국6.2. 로마 제국
6.2.1. 동로마 제국
6.3. 신성 로마 제국6.4. 독일 제국6.5. 프랑스 왕국6.6. 프랑스 제국6.7. 영국6.8. 스페인6.9. 러시아
7. 오스만 제국

1. 개요

국가별 및 시대별로 왕실 구성원들을 부르는 칭호나 봉작 등을 정리한 문서다.

2. 한반도

2.1. 고대

2.1.1. 신라

존속 기간: 기원전 57년~기원후 935년

2.1.2. 고구려

존속 기간: 기원전 37년~668년

2.1.3. 백제

존속 기간: 기원전 18년~기원후 660년

2.1.4. 발해

존속 기간: 698년~926년

2.2. 고려

존속 기간: 918년~1392년

2.3. 조선·대한제국

존속 기간: 1392년~1910년

3. 중국

4. 일본

5. 중앙아시아 및 중동

5.1. 고대 이집트

존속 기간: 기원전 3100년~기원전 30년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파라오(Pharaoh) "위대한 집(Great House)", 신의 아들(Son of Ra), 두 땅의 주인(Lord of Two Lands)
군주의 배우자 왕비 대왕비(Great Royal Wife), 왕후(Queen), 신성한 어머니(Mother of the God), 궁정 여성(Lady of the Palace)
군주의 후계자 왕자 왕세자(Crown Prince), 왕자(Prince), 신전 관리자 및 군사 지휘자로 활동
군주의 딸 공주 왕녀(Princess), 종교적 역할 수행, 신전 의식 참여
군주의 친족 왕족 왕실 형제(Sibling of Pharaoh), 귀족 계층(Noble Lineage), 아버지 신성화(Deified Parent)
궁인 궁정 여성 하렘 여성(Harem Member), 궁정 시녀(Court Attendant), 종교적 의례 수행 여성
지방 통치자 노모스(Nomos) 노모스 총독(Nomos Governor), 지방 통치자, 파라오를 대신해 지역 관할권 행사

5.2. 아케메네스 제국

존속 기간: 기원전 550년~330년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샤한샤(Shahanshah) "왕 중의 왕", 아후라 마즈다의 대리인, 대왕(Great King), 파디샤(Padishah)
군주의 배우자 황후 샤바누(Shabanu, 여왕), 왕비(Kanizak), 왕실의 여주인(Lady of the Royal House)
군주의 후계자 황태자 왕자(Putra), 태자(대왕의 후계자), 왕가의 후계자(Darugha)
군주의 딸 공주 왕녀(Princess), 외교적 결혼을 통한 동맹 강화, 종교적 역할 수행
군주의 친족 귀족 계층 바즈라다(Bazrads, 고위 귀족), 사트라프(Satrap, 지방 총독), 왕실 혈통(Royal Kin)
궁인 궁녀 하렘(Harem, 왕의 거처), 왕실 여성(Females of the Court), 종교와 문화 의식을 담당한 여성들
지방 통치자 사트라프(Satrap) "지방 총독", 군사와 행정권 보유, 중앙에 세금과 병력 제공

5.3. 사산 제국

존속 기간: 224년~651년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샤한샤(Shahanshah) "왕 중의 왕", "아후라 마즈다의 선택받은 자", 파디샤(Padishah), 사산 제국의 황제 칭호
군주의 배우자 샤바누(Shabanu) "여왕" 또는 "황후", 사산 제국의 군주의 공식 배우자, 왕실 어머니로 정치적 역할 수행
군주의 후계자 샤푸르(Shapur) 황태자(후계자), 왕의 직계 후손으로, 종종 왕의 동반 통치자로 활동
군주의 딸 공주 아르도크트(Ardokt, 공주), 왕실 여성들은 외교적 결혼과 종교적 의례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군주의 친족 왕자, 귀족 왕족(Princes), 스펜드다타(Spahbed, 귀족 계층), 바즈라드(Bazrads, 고위 귀족)
궁인 왕실 여성 후렘(Khurrem, 왕실 여성), 시종(Atruwans, 궁중 관리), 왕실 노비
지방 통치자 사트라프(Satrap) "지방 총독", 사산 제국의 지방을 통치하며 중앙정부에 복종, 군사와 행정을 총괄

5.4. 이슬람 제국

존속 기간: 622년~1258년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칼리파(Caliph) 아미르 알무민(Amir al-Mu'minin, "신앙인의 사령관"), 무슬림 공동체의 지도자
군주의 배우자 칼리파의 부인 공식적인 별칭은 없으나, 일부 기록에서 "움마트 울-무슬림(Umma's First Lady)"로 암시됨
군주의 후계자 발리드(후계자) 왕위를 이어받을 예정인 칼리파의 직계 후손, 아흐드(Ahd, 후계자로 지명된 자)
군주의 딸 공주 바누 하심(Banu Hashim의 공주), 슈라이프(Sharif, 예언자의 직계 여성)
군주의 친족 술탄, 왕자 아미르(Emir, 지방 통치자), 마흐디(Mahdi, 구세주적 칭호), 샤리프(Sharif, 고귀한 자)
궁인 하렘 우마라트(Ummarat, 황후와 후궁의 모임), 가사이드(Ghassaid, 시종과 궁중 여성들)
지방 통치자 술탄, 에미르 에미르(Emir, 지방 군사 지도자), 왈리(Wali, 총독), 무타와칼리(Mutawakkil, 신뢰받는 자)

5.5. 몽골 제국

존속 기간: 1206년~1368년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칸(Khan) 대칸(Great Khan, 칭기즈 칸 이후 사용), 카간(Qaghan, 대칸의 또 다른 표현), 하늘의 아들(Tengri's Son)
군주의 배우자 카툰(Khatun) 대카툰(Great Khatun, 대칸의 정실 배우자), 비비(Bibi, 아내 또는 황후), 어머니의 상징적 권위로는 아이카툰(Ayi-Khatun)
군주의 후계자 오고타이 계승 체계 태자(왕위 계승자에 해당), 칭기즈 칸의 직계 자손을 왕으로 봉한 후 방대한 지역 분할 통치
군주의 딸 공주 알탄카툰(Altan Khatun, 황실 공주), 칸의 딸로서 지역 영주나 왕가에 정치적 결혼 목적으로 시집간 사례 많음
군주의 친족 왕자, 형제 카나트(Khanate, 칸이 지배하는 지역), 노얀(Noyan, 귀족, 장군), 투가친(Tugachin, 근친 방계 왕족)
궁인 궁녀 하샤르 하레마(Khashar Harem, 황후를 보필하는 궁녀 계층), 우루크(Uruk, 하렘의 여성들)
지방 통치자 칸, 노얀 울루스 칸(Ulus Khan, 지역 칸), 타무카(Nokor, 충성스러운 측근)

5.6. 무굴 제국

존속 기간: 1526년~1857년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바드샤(Badshah) 샤엔샤(Shahanshah, "왕 중의 왕"), 자랄 웃 딘(Jalal-ud-Din, 신성한 이름), 무굴 황제
군주의 배우자 베굼(Begum) 마하라니(Maharani, 대여왕), 누르자한(Nur Jahan, 유명한 황후), 파디샤 베굼(Padishah Begum, 황후)
군주의 후계자 샤자데(Shahzade) 무굴 황태자, 바드샤 후계자(Emperor Apparent), 후대에서 술탄 왕자(Sultan Prince)로 불리기도 함
군주의 딸 샤자디(Shahzadi) 무굴 공주, 공주들에게는 "알타마샤(Altamasha, 고귀한 자)"라는 칭호도 부여
군주의 친족 아미르, 나와브 나와브(Nawab, 귀족 및 지방 통치자), 자미다르(Zamindar, 대지주), 디완(Diwan, 고위 행정관)
궁인 하렘 잔나나(Zanana, 황후와 후궁들이 머물렀던 공간), 칸다나(Khandana, 궁녀), 우르두 말카(Urdu Malka, 하렘 지도자)
지방 통치자 나와브, 사바다르 나와브(Nawab), 사바다르(Subahdar, 총독), 자기르다르(Jagirdar, 영지 관리자)

6. 유럽

6.1. 마케도니아 제국

존속 기간: 기원전 336년~기원전 323년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바실레우스(Basileus) 왕, 황제, 그리스 세계의 군주 칭호, "대왕(Megas Basileus)"으로 불리며 정복자의 위상 강조
군주의 배우자 바실리사(Basilissa) 왕비 또는 여왕, 그리스 전통에 따라 군주의 배우자에게 사용
군주의 후계자 디아도코이(Diadochoi) 후계자 또는 계승자, 알렉산드로스 사후 제국을 분할한 장군 및 통치자들
군주의 딸 공주 고귀한 왕실의 딸, 외교적 결혼을 통한 동맹 강화에 이용
군주의 친족 왕족과 귀족 필로이(Filoi, 친구 또는 고위 관리), 마케도니아 귀족 및 군사 엘리트 계층
궁인 궁녀 왕실 여성, 관리인 또는 외교적 상징으로 주요 제국 중심지에서 역할 수행
지방 통치자 사트라프(Satrap) "지방 총독", 페르시아 제국의 지방 행정 시스템을 채택하여 제국의 지방을 통치

6.2. 로마 제국

존속 기간: 기원전 27년~기원후 1453년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황제 카이사르(Caesar), 아우구스투스(Augustus), 프린켑스(Princeps), 임페라토르(Imperator)
군주의 배우자 황후 아우구스타(Augusta), 돔나(Domna, 특정 황후의 별칭)
군주의 후계자 카이사르 상속자, 공동 황제(Caesares), 헤라클리우스 시대 이후부터는 바실레우스(Basileus, 동로마)
군주의 딸 공주 아우구스타, 카이사리스(Caesaris, 황제의 여성 자손)
군주의 친족 파트리키우스 원로원 의원, 왕족(동로마에서 고귀한 자라는 의미로 사용)
궁인 큐비쿨라리우스(Cubicularius, 황궁 관리), 오스피티움(궁정 요리 담당)

6.2.1. 동로마 제국

존속 기간: 330년~1453년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황제(Basileus) Autokrator(전제 군주), Kaisar(카이사르), Despotes(군주), Imperator
군주의 배우자 황후(Augusta) Basilissa(여군주), Empress consort, Despoina(여군주)
군주의 후궁 후궁(Pallakida) 궁녀와 구별되는 황제의 비공식 동반자
군주의 후계자 황태자(Porphyrogennetos) Caesar(카이사르: 후계자 지위), Sebastokrator(고위 황족), Co-emperor(공동 황제)
군주의 딸 공주(Porphyrogenita) 황녀, Augusta(명예 작위), Despoina
군주의 친족 귀족(Dynatoi) Doukas(고귀한 가문), Komnenos(명문 귀족), Palaiologos, Sebastokrator
궁인 궁인(Koitonitai) 황실 관리, Eunuch(내시), Protovestiarios(재무 관리인)

6.3. 신성 로마 제국

존속 기간: 962년~1806년

6.4. 독일 제국

존속 기간: 1871년~1918년

독일 제국에서는 황실인 호엔촐레른 가문 외에도 구성국의 통치 가문이나 슈탄데스헤어 가문의 구성원들도 프린츠(Prinz)·프린세신(Prinzessin) 칭호를 사용했으며, 왕국의 후계자도 태자(Kronprinz) 칭호를 사용하는 사례도 있다. 이러한 칭호는 작위와는 별개의 개념이다.

6.5. 프랑스 왕국

존속 기간: 843년~1792년, 1814년~1815년, 1815년~1830년

이와 같은 칭호들은 영지와 함께 수여되는 작위와는 별개의 개념이었다. 이러한 개념이 생소한 영어권에서는 해당 칭호들을 아예 무시하고 Prince로 옮겨버리기도 하는데, 특히 작위 성격과 왕족 칭호 성격을 아예 구분하지도 않고 임의대로 결합해버리는 경우도 있다. 일례로 오를레앙 공작(Duc d'Orléans)은 Prince du sang인 경우가 많았는데, 영어권에서는 이를 임의대로 Prince of Orleans로 결합하고, 여기에 원어 표기랍시고 Prince d'Orléans라는 부연까지 한다. 하지만 이러한 표기는 오류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6.6. 프랑스 제국

존속 기간: 1804년~1814년, 1815년, 1852년~1870년

6.7. 영국


원래 노르만 왕조 시절부터 왕족들은 프랑스 일대의 공작 작위를 겸임하는 경우가 많았다. 때문에 잉글랜드 지역 내에도 여러 백작령들을 묶어 명목상의 공작령들을 만들어내기 시작했고, 백년전쟁의 패전으로 칼레를 제외한 대륙에 있던 모든 왕실 직할령을 상실하게 되자 잉글랜드 내에 공작령 설치가 가속화된다. 때문에 직계 왕족이 공작 작위를 겸임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후손에게 세습되어 귀족 신분을 유지하는 장치로 쓰이기도 한다. 이러한 공작령은 다분히 명목상의 지위였기에 실질적인 통치권이 수여되는 영지 개념과는 거리가 멀었으나, 해당 지역의 상징적인 통치자라는 의미는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어, 왕족이나 고위 귀족들이 해당 지역의 후원이나 홍보에 앞장서도록 만드는 역할도 유지되고 있다.
작위 이름 (Duke of) 설명 및 현재 상태
Cornwall 1337년 설립. 전통적으로 잉글랜드 왕세자가 보유. 현재 윌리엄 왕자가 보유.
York 1385년 설립. 전통적으로 왕실의 둘째 아들이 보유. 현재 비어 있음.
Gloucester 1385년 설립. 현재 리처드 왕자가 보유.
Lancaster 1351년 설립. 잉글랜드 왕실이 직접 보유하며, 랭커스터 공작령으로 관리.
Clarence 1412년 설립. 역사적 작위로 현재 비어 있음.
Norfolk 1483년 설립. 현재 하워드 가문이 보유 중.
Suffolk 1448년 설립. 현재는 역사적 작위로, 소멸 상태.
Somerset 1443년 설립. 현재 비어 있음.
Bedford 1414년 설립. 현재 비어 있음.
Albany 스코틀랜드의 작위. 스코틀랜드 왕실의 일원에게 주어졌으며, 현재 비어 있음.
Edinburgh 1726년 설립. 현재 찰스 3세의 동생인 에드워드 왕자가 보유.
Cambridge 1664년 설립. 현재 윌리엄 왕자가 보유.
Kent 1710년 설립. 현재 에드워드 왕자가 보유.
Sussex 1801년 설립. 현재 해리 왕자가 보유.
Richmond 1675년 설립. 현재 레녹스 가문이 보유.
Burgundy 역사적 작위로, 현재는 비어 있음.
Hamilton 스코틀랜드 귀족 작위. 현재 더글라스 해밀턴 가문이 보유.
Wellington 1814년 설립. 나폴레옹 전쟁에서 활약한 웰링턴 공작. 현재 웰슬리 가문이 보유.
Marlborough 1702년 설립. 블렌하임 전투의 영웅 존 처칠 공작이 초대 공작. 현재 처칠 가문이 보유.
Buckingham 1444년 설립. 현재 역사적 작위로 소멸.
Devonshire 1694년 설립. 현재 캐번디시 가문이 보유.
Northumberland 1551년 설립. 현재 퍼시 가문이 보유.
Portland 1716년 설립. 현재 비어 있음.
Grafton 1675년 설립. 현재 피츠로이 가문이 보유.
Beaufort 1682년 설립. 현재 서머셋 가문이 보유.
Leeds 1694년 설립. 현재 역사적 작위로 소멸.
Rutland 1703년 설립. 현재 맨너스 가문이 보유.
Fife 스코틀랜드 작위. 현재 더글라스 가문이 보유.
Argyll 스코틀랜드 작위. 현재 캠벨 가문이 보유.
Abercorn 1606년 설립. 현재 해밀턴 가문이 보유.

6.8. 스페인

존속 기간: 1035년~현재

6.9. 러시아

1283년~1917년

7. 오스만 제국

존속 기간: 1299년~1922년
구분 대표 용어 별칭 및 세부 용어
군주 술탄 파디샤(Padishah), 칼리프(Caliph, 이슬람 종교 지도자)
군주의 배우자 황후 하세키 술탄(Haseki Sultan), 발리데 술탄(Valide Sultan, 황태후)
군주의 후궁 후궁 카둔(Kadın, 정실 후궁), 기즈라(Gözde, 애첩), 샤흐자데의 어머니(Mother of Şehzade)
군주의 후계자 샤흐자데 왕자(Şehzade), 왕녀(Sultan Kız), 칼리프 후계자
군주의 딸 술탄 키즈 공주, 칼리파 공주
군주의 친족 대재상 사다라즈(Sadrazam, 총리), 샤흐의 형제
궁인 하렘 하렘 관리인, 케즈라 칼파(Kızlar Agha, 내시 책임자), 샤히카르


[1] 고교쿠 천황의 두번째 재위[2] 고켄 천황의 두번째 재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