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10E0E 0%, #A11 20%, #A11 80%, #810E0E); color: #ece5b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전한(前漢)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고제 | 혜제 | 소제 | 소제 | 문제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경제 | 무제 | 소제 | 폐제 | 선제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원제 | 성제 | 애제 | 평제 | 정안공 | ||
후한(後漢)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광무제 | 명제 | 장제 | 화제 | 상제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안제 | 소제 | 순제 | 충제 | 질제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
환제 | 영제 | 소제 | 헌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촉한(蜀漢) | |
초대 | 제2대 | |||||
소열제 | 회제 | |||||
비정통 | ||||||
동제 | ||||||
}}}}}}}}} |
효원황제 관련 틀 | |||||||||||||||||||||||||||||||||||||||||||||||||||||||||||||||||||||||||||||||||||||||||||||||||||||||||||||||||||||||||||||||||||||||||||||||||||||||||||||||||||||||||||||||||||||||||||||||||||||||||||||||||||||||||||||||||||||||||||||||||||||||||||||||||||||||||||||||||||||||||||||||||||||||||||||||||||||||||||||||||||||||||||||||||||||||||||
|
<colbgcolor=#A11><colcolor=#ece5b6> 전한 제11대 황제 원제 | 元帝 | |||
남북조시대 동진의 화가 고개지가 그린 원제. | |||
출생 | 기원전 75년 | ||
전한 장안 미앙궁 (現 산시성 시안시) | |||
즉위 | 기원전 48년 1월 10일 | ||
전한 장안 미앙궁 (現 산시성 시안시) | |||
사망 | 기원전 33년 7월 8일 (향년 42세) | ||
전한 장안 미앙궁 (現 산시성 시안시) | |||
능묘 | 위릉(渭陵) | ||
재위기간 | 전한의 황태자 | ||
기원전 67년 ~ 기원전 48년 1월 10일 | |||
전한의 황제 | |||
기원전 48년 1월 10일 ~ 기원전 33년 7월 8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A11><colcolor=#ece5b6> 성씨 | 유(劉) | |
휘 | 석(奭) | ||
부모 | 부황 중종 모후 공애황후 | ||
형제자매 | 6남 2녀 중 장남 | ||
배우자 | 효원황후 | ||
자녀 | 3남 3녀 | ||
묘호 | |||
시호 | 효원황제(孝元皇帝) | ||
연호 | 초원(初元, 기원전 48년 ~ 기원전 44년) 영광(永光, 기원전 43년 ~ 기원전 39년) 건소(建昭, 기원전 38년 ~ 기원전 34년) 경녕(竟寧, 기원전 33년) |
[clearfix]
1. 소개
전한의 제11대 황제. 묘호는 고종(高宗)이다. 효원황제(孝元皇帝).2. 생애
선제의 장남으로 이름은 유석(劉奭). 선제는 황태자 석이 지나치게 감상적인 성격과 유교에 필요 이상으로 심취해 있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했으나, 그가 사랑하는 공애황후의 아들인 데다 자신의 세 번째 황후인 효선황후와 중상시 허가의 후원을 받았고, 나중에 후계자가 될 아들을 뒀다는 것 때문에 폐위하진 않았다.선제 사망 이후 즉위하면서, 학사인 소망지(蕭望之) 등 유생을 등용했지만, 이들이 선제 때부터 측근으로서 중용되고 있던 환관인 홍공(弘恭), 석현(石顯)과 대립해 실각한 뒤로는 환관 중심의 정치가 계속되었다.
그래도 정치를 아주 헛으로 한건 아니라, 세금을 경감하고, 어려운 형법을 개정하고, 대규모 연회를 금지하고, 제사부터 별장, 황실 소유지 등의 경비를 절약했지만, 재정은 근본적으로 나아지지 않았다. 도리어 전매 제도를 폐지했다가 재정만 더 망가졌다.[2]
지나친 유교 숭배와 왕씨 가문의 세도를 막지 못해 왕망이라는 괴물을 탄생시키는 밑거름이 되었다는 평도 있다. 왕망은 원제의 황후인 효원황후의 조카였기 때문이다.
사후 위릉에 안장되었으며, 오늘날까지 남아있다.
3. 여담
중국 4대 미녀로 불리기도 하는 왕소군은 원래 이 황제의 치세 때 궁녀로 있었다.아들로 성제, 정도왕 유강, 중산효왕 유흥이 있었으나, 성제의 아들들은 어려서 효성황후 조비연에게 살해당해(...) 장성하지 못했고 정도왕의 외아들 애제와 중산효왕의 외아들 평제 모두 아들이 없어 후손이 끊겼다.
[취소] 후한대에 폐지되었다.[2] 사실 어쩔 수 없는 것이 그의 증조부인 무제가 워낙 전쟁과 토목 공사, 사치를 많이 벌이다가 국고를 탕진하여 재정을 망쳤기 때문이다. 원제의 아버지 선제도 무제가 망친 재정 문제를 해결하려고 많은 애를 썼지만 완화시키는 수준에 그쳤지 해결하는 데는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