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조공신후자연표(高祖功臣侯者年表第六) 후제(侯第) | ||||
9위 영음후(潁陰侯) 관영 | ← | 10위 양릉후(陽陵侯) 부관 | → | 11위 신무후(信武侯) 근흡 |
사기(史記)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D0D2D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181818,#e5e5e5 | <rowcolor=#ffffff> 1권 「오제본기(五帝本紀)」 | 2권 「하본기(夏本紀)」 | 3권 「은본기(殷本紀)」 | |||
공손헌원 · 전욱 · 제곡 · 방훈 · 중화 | ||||||
<rowcolor=#ffffff> 4권 「주본기(周本紀)」 | 5권 「진본기(秦本紀)」 | 6권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 ||||
| 시황제 · 이세황제 · 자영 | |||||
<rowcolor=#ffffff> 7권 「항우본기(項羽本紀)」 | 8권 「고조본기(高祖本紀)」 | 9권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 | ||||
항우 | 유방 | 여치 | ||||
<rowcolor=#ffffff> 10권 -2「효문본기(孝文本紀)」 | 11권 「효경본기(孝景本紀)」 | 12권 「효무본기(孝武本紀)」 | ||||
유항 | 유계 | 유철 | ||||
보사기(補史記) 「삼황본기(三皇本紀)」 | ||||||
복희 · 여와 · 신농 |
※ 13권 ~ 22권은 표에 해당, 23권 ~ 30권은 서에 해당. 사기 문서 참고
}}}}}}}}}}}} - ⠀[ 세가(世家) ]⠀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31권 「오태백세가(吳太伯世家)」 ||<-2><width=33%> 32권 「제태공세가(齊太公世家)」 ||<-2><width=33%> 33권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
- ⠀[ 열전(列傳) ]⠀
- ||<-2><tablewidth=100%><tablebgcolor=#3d414d><width=33%><rowcolor=#ffffff> 61권 「백이열전(伯夷列傳)」 ||<-2><width=33%> 62권 「관안열전(管晏列傳)」 ||<-2><width=33%> 63권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 ||
한서(漢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8c4c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 1권 「고제기(高帝紀)」 | 2권 「혜제기(惠帝紀)」 | 3권 「고후기(高后紀)」 |
유방 | 유영 | 여치 | |
4권 「문제기(文帝紀)」 | 5권 「경제기(景帝紀)」 | 6권 「무제기(武帝紀)」 | |
유항 | 유계 | 유철 | |
7권 「소제기(昭帝紀)」 | 8권 「선제기(宣帝紀)」 | 9권 「원제기(元帝紀)」 | |
유불릉 | 유순 | 유석 | |
10권 「성제기(成帝紀)」 | 11권 「애제기(哀帝紀)」 | 12권 「평제기(平帝紀)」 | |
유오 | 유흔 | 유간 |
※ 13권 ~ 20권은 表에 해당. 21권~30권은 志에 해당. 한서 문서 참고
}}}}}} - [ 열전(列傳) ]
- ||<tablewidth=100%><tablebgcolor=#a11><width=33%> 31권 「진승항적전(陳勝項籍傳)」 ||<-2><width=33%> 32권 「장이진여전(張耳陳餘傳)」 ||<width=33%> 33권 「위표전담한왕신전(魏豹田儋韓王信傳)」 ||
진승 · 항적 장이 · 진여 위표 · 전담 · 한신 34권 「한팽영노오전(韓彭英盧吳傳)」 35권 「형연오전(荊燕吳傳)」 36권 「초원왕전(楚元王傳)」 한신 · 팽월 · 경포 · 노관 · 오예 유고 · 유택 · 유비 초원왕 37권 「계포난포전숙전(季布欒布田叔傳)」 38권 「고오왕전(高五王傳)」 39권 「소하조참전(蕭何曹參傳)」 계포 · 난포 · 전숙 제왕 · 조왕 · 조왕 · 조왕 · 연왕 소하 · 조참 40권 「장진왕주전(張陳王周傳)」 41권 「번역등관부근주전(樊酈滕灌傅靳周傳)」 42권 「장주조임신도전(張周趙任申屠傳)」 장량 · 진평 · 왕릉 · 주발 번쾌 · 역상 · 하후영 · 관영
부관 · 근흡 · 주설장창 · 주창 · 조요 · 임오 · 신도가 43권 「역육주유숙손전(酈陸朱劉叔孫傳)」 44권 「회남형산제북왕전(淮南衡山濟北王傳)」 45권 「괴오강식부전(蒯伍江息夫傳)」 역이기 · 육고 · 주건 · 유경 · 숙손통 유장 · 유사 · 유발 괴통 · 오피 · 강충 · 식부궁 46권 「만석위직주장전(萬石衞直周張傳)」 47권 「문삼왕전(文三王傳)」 48권 「가의전(賈誼傳)」 석분 · 위관 · 직불의 · 주인 · 장구 양왕 · 대왕 · 양왕 가의 49권 「원앙조조전(爰盎晁錯傳)」 50권 「장풍급정전(張馮汲鄭傳)」 51권 「가추매노전(賈鄒枚路傳)」 원앙 · 조조 장석지 · 풍당 · 급암 · 정당시 가산 · 추양 · 매승 · 노온서 52권 「두전관한전(竇田灌韓傳)」 53권 「경십삼왕전(景十三王傳)」 54권 「이광소건전(李廣蘇建傳)」 두영 · 전분 · 관부 · 한안국 임강민왕 · 하간왕 · 임강애왕 · 노왕 · 강도왕
우왕 · 조왕 · 중산정왕 · 장사왕 · 광천왕
교동왕 · 청하왕 · 상산왕이광 · 소건 55권 「위청곽거병전(衛靑霍去病傳)」 56권 「동중서전(董仲舒傳)」 57권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 위청 · 곽거병 동중서 사마상여 58권 「공손홍복식예관전(公孫弘卜式兒寬傳)」 59권 「장탕전(張湯傳)」 60권 「두주전(杜周傳)」 공손홍 · 복식 · 예관 장탕 두주 61권 「장건이광리전(張騫李廣利傳)」 62권 「사마천전(司馬遷傳)」 63권 「무오자전(武五子傳)」 장건 · 이광리 사마천 여태자 · 제왕 · 연왕 · 광릉왕 · 창읍왕 64권 「엄주오구주보서엄종왕가전(嚴朱吾丘主父徐嚴終王賈傳)」 엄조 · 주매신 · 오구수왕 · 주보언 · 서악 · 엄안 · 종군 · 왕포 · 가연지 65권 「동방삭전(東方朔傳)」 66권 「공손유전왕양채진정전(公孫劉田王楊蔡陳鄭傳)」 동방삭 공손하 · 유굴리 · 전천추 · 왕흔 · 양창 · 채의 · 진만년 · 정홍 67권 「양호주매운전(楊胡朱梅云傳)」 68권 「곽광김일제전(霍光金日磾傳)」 69권 「조충국신경기전(趙充國辛慶忌傳)」 양왕손 · 호건 · 주운 · 매복 · 운창 곽광 · 김일제 조충국 · 신경기 70권 「부상정감진단전(傅常鄭甘陳段傳)」 71권 「준소우설평팽전(雋疏于薛平彭傳)」 부개자 · 상혜 · 정길 · 감연수 · 진탕 · 단회종 준불의 · 소광 · 우정국 · 설광덕 · 평당 · 팽선 72권 「왕공양공포전(王貢兩龔鮑傳)」 73권 「위현전(韋賢傳)」 74권 「위상병길전(魏相丙吉傳)」 왕길 · 공우 · 공승 · 공사 · 포선 위현 위상 · 병길 75권 「수양하후경익이전(眭兩夏侯京翼李傳)」 76권 「조윤한장양왕전(趙尹韓張兩王傳)」 수홍 · 하후시창 · 하후승 · 경방 · 익봉 · 이심 조광한 · 윤옹귀 · 한연수 · 장창 · 왕존 · 왕장 77권 「갑제갈유정손무장하전(蓋諸葛劉鄭孫毋將何傳)」 78권 「소망지전(蕭望之傳)」 갑관요 · 제갈풍 · 유보 · 정숭 · 손보 · 무장륭 · 하병 소망지 79권 「풍봉세전(馮奉世傳)」 80권 「선원육왕전(宣元六王傳)」 풍봉세 회양왕 · 초효왕 · 동평왕 · 중산왕 · 정도왕 · 중산왕 81권 「광장공마전(匡張孔馬傳)」 82권 「왕상사단부희전(王商史丹傅喜傳)」 83권 「설선주박전(薛宣朱博傳)」 광형 · 장우 · 공광 · 마궁 왕상 · 사단 · 부희 설선 · 주박 84권 「적방진전(翟方進傳)」 85권 「곡영두업전(谷永杜鄴傳)」 적방진 곡영 · 두업 86권 「하무왕가사단전(何武王嘉師丹傳)」 87권 「양웅전(揚雄傳)」 하무 · 왕가 · 사단 양웅 88권 「유림전(儒林傳)」 정관 · 시수 · 맹희 · 양구하 · 비직 · 복생 · 구양생 · 임존 · 주감 · 장산부 · 왕식 · 후창 · 호모생 · 엄팽조 · 안안락 89권 「순리전(循吏傳)」 90권 「혹리전(酷吏傳)」 문옹 · 오성 · 황패 · 주읍 · 공수 · 소신신 질도 · 영성 · 조우 · 의종 · 왕온서 · 윤제 · 양복 · 감선 · 전광명 · 전연년 · 엄연년 · 윤상 91권 「화식전(貨殖傳)」 92권 「유협전(游俠傳)」 백규 · 정정 주가 · 전중 · 극맹 · 곽해 · 우장 · 누호 · 진준 · 원섭 94권 「흉노전(匈奴傳)」 95권 「서남이양월조선전(西南夷兩粤朝鮮傳)」 흉노 촉 · 남월 · 민월 · 동해국 · 조선 96권 「서역전(西域傳)」 선선국 · 저말국 · 소완국 · 정절국 · 융로국 · 서미국 · 거륵국 · 우전국 · 피산국 · 아타국 · 서야국 · 포리국 · 의내국 · 무뢰국 · 난두국 · 계빈국
아익산리국 · 대월지국 · 강거국 · 대완국 · 동저미국 · 도괴국 · 효순국 · 언독국 · 사거국 · 소륵국 · 울두국 · 오손국 · 고묵국 · 온숙국 · 구자국
울리국 · 위수국 · 언기국 · 아탐자리국 · 비륙국 · 비륙후국 · 욱립사국 · 선환국 · 포류국 · 포류후국 · 서저미국 · 동저미국 · 겁국 · 호호국 · 산국
차사전국 · 차사후국 · 차사도위국 · 차사후성장국97권 「외척전(外戚傳)」 효혜황후 · 효문태후 · 두의방 · 효경황후 · 왕지 · 진아교 · 무사황후 · 효소태후 · 효소황후 · 사양제 · 왕부인 · 허평군 · 곽성군 · 효선황후 · 효성황후
반염 · 조비연 · 소의 부씨 · 정도정희 · 효애황후 · 효원소의 · 중산위희 · 효평황후98권 「원후전(元后傳)」 99권 「왕망전(王莽傳)」 왕정군 왕망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11><tablebgcolor=#a11> ||
생몰년도 | ? ~ 기원전 190년 |
이름 | 부관(傅寬) |
작위 | 양릉후(陽陵侯) |
직위 | 제나라 우승상, 대나라 상국 |
시호 | 경후(景侯) |
1. 개요
초한쟁패기에 활약했던 인물.2. 생애
본래는 위(魏)의 오대부(五大夫) 출신으로, 기병 지휘관을 하던 출신이었는데 이후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의 가신이 되었다. 횡양(橫陽)[1]땅에서부터 유방을 따르기 시작하여, 안양(安陽)[2]과 강리(杠里)[3]를 공격하였다.또 조분(趙賁)이 이끄는 개봉(開封)[4]을 유방이 공격할 때도 함께 했다. 다만 함락은 실패했는데, 이에 유방이 북쪽으로 나아가 양웅(楊熊)의 부대를 격파할 때도 함께하여 수급 20개를 베는 공을 세워 경(卿)에 임명되었다.
홍문연의 일이 있은 후 유방이 한왕에 봉해지자 부관은 공덕군(共德君)에 임명되었고, 우기장(右騎將)으로 승진하였다. 한신을 얻은 한군이 삼진을 평정하고 북진할 때는 조음(雕陰) 땅을 식읍을 받았다.
초한전쟁 기간 중에는 항관(項冠), 주란(周蘭), 용저(龍且) 등 초군의 장수들과 교전을 벌여 초나라의 기병 장수 한 명을 죽이는 공을 세웠고, 이 때문에 식읍이 늘어났다.
이후에는 북벌하는 한신의 군에 배속되어 제나라를 공격하는데 한 몫을 보탰고, 조참(曹參)의 휘하에서 제나라의 남은 땅을 평정하는 공을 세워 양릉후(陽陵侯)에 임명되었다. 처음에는 제나라의 우승상이 되어 혹시 모를 전횡(田橫)의 반격을 대비했고, 5년 후에는 제나라의 상국이 되었다.
이후 초한전쟁이 끝난 후 진희(秦稀)가 반란을 일으킬 때는 주발의 부대에 예속되어 반란군과 격돌했다. 이후 대(代)의 승상이 되어 변방을 지키는 임무를 맡았다.
이후 편안하게 노환으로 사망했고, 경후(景侯)라는 시호를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