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4 04:03:39

국태부인

황실왕실의 구성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직계 남성 배우자 직계 여성 기타
퇴위한 명예군주
태상황/태상왕 태상황후/태상왕비 - 태황태후/대왕대비
퇴위한 군주
상황/상왕 상황후/상왕비 - 황태후/왕대비
군주의 친부
-/대원군 -/부대부인 - 국구, 국태부인
군주
황제/ 황후/왕비 여제/여왕 국서
군주의 궁인
환관/내시 후궁 상궁 남총
군주의 후계자(형제)
황태제/왕세제 - -
군주의 후계자(자녀)
황태자/왕세자 황태자비/왕세자빈 황태녀/왕세녀 부마
군주의 맏아들
원자 - -
군주의 손자
황태손/왕세손 - -
군주의 맏손자
원손 - -
군주의 형제
황제(皇弟)/왕제 - 장공주
군주의 자녀(왕비)
황자/왕자 황자비/왕자비 황녀/공주
군주의 자녀(후궁)
황자/ 황자비/군부인 황녀/옹주
봉건제 군주 자녀(직계)
친왕/대군 친왕비/왕자비 공주
봉건제 군주 자녀(방계)
군왕/군(君) 군왕비/군부인 군주(郡主)
서양 왕실 명칭
Prince Queen Consort Princess Prince Consort
황실에서 사용하는 단어, 왕실에서 사용하는 단어가 다른 경우 '/' 기호로 구분한다.
-기호는 동아시아 황실 및 왕실 체제에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거나 관련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 ||

1. 개요2. 왕비의 어머니3. 국왕의 외조모4. 외가의 권위를 드러낼 때5. 특징

[clearfix]

1. 개요

국태부인(國太夫人)은 조선 시대를 비롯한 동아시아 왕조에서 국왕의 외조모나 처조모, 즉 왕비의 어머니와 같은 여성 친족을 높여 부를 때 사용한 칭호이다. "국태부인"이라는 칭호는 문자 그대로 "나라의 높은 부인"이라는 뜻을 가지며, 국가와 왕실의 권위와 연결된 여성 친족의 높은 신분을 나타낸다.

조선에서는 왕실과 관계가 깊은 여성을 예우하기 위해 이와 같은 칭호를 사용했으며, 특히 국왕의 어머니나 외가 쪽 가족의 높은 신분을 인정할 때 주어졌다. 국태부인은 단순히 가족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명칭을 넘어, 왕실의 외척으로서 정치적 위상과 권위를 상징하는 역할을 하였다.

2. 왕비의 어머니

왕비의 어머니가 "부부인(府夫人)"이라는 칭호를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왕비가 왕비의 신분을 넘어 중전으로서 권위를 확립하거나, 왕비의 아들이 왕위에 오르는 경우, 왕비의 어머니에게 국태부인의 칭호가 주어진다. 이는 왕실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외척 여성에게 최고의 예우를 표현한 것이다.

3. 국왕의 외조모

국왕의 외조모도 국태부인이라는 칭호를 받을 수 있다. 이는 국왕의 외가가 왕실과 혈연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할 때 사용된다.

4. 외가의 권위를 드러낼 때

국태부인 칭호는 단순히 혈연 관계뿐만 아니라, 정치적 필요와 왕실의 위상을 높이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외척이 왕실과의 관계를 통해 정치적 중심에 설 경우, 이러한 칭호는 외가의 권위를 드러내는 역할을 했다.

5. 특징

국태부인은 왕실의 외척 여성 중에서도 가장 높은 신분을 상징하며, 단순한 친족 관계를 넘어 국가적 예우를 나타낸다. 칭호의 부여는 정치적 맥락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왕실 외척의 권력 강화와 정당성을 보장하는 데 기여한다. 조선 왕조에서 국태부인은 왕실의 위엄을 높이고, 외척이 왕실과 긴밀히 연결된다는 점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상징적 지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