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기본 구성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bgcolor=#9E1B32><colcolor=#FFD700> 전임자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ddd>태상황=태상황후 상황=상황후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ddd>전전임 황제=태황태후 전임 황제=황태후 | |
태상왕=태상왕비 상왕=상왕비 | 전전임 국왕=대왕대비 전임 국왕=왕대비 | ||||
군주 | 황제=황후 | 여제=국서 | ||||
국왕=왕비 | 여왕=국서 | |||||
후계자 | (원자[ruby(→, ruby=책봉)])황태자=황태자비 | 황태녀=부마 | (원손[ruby(→, ruby=책봉)])황태손=황태손비 | 황태제=황태제비 | ||||
(원자[ruby(→, ruby=책봉)])왕세자=왕세자비 | 왕세녀=부마 | (원손[ruby(→, ruby=책봉)])왕세손=왕세손비 | 왕세제=왕세제비 | |||||
자녀 | 황자=황자비 | 황녀=부마 | ||||
왕자=왕자비 | 왕녀=부마 | |||||
외척 | 장인([ruby(국구, ruby=(중국·고려·조선))])=장모([ruby(국태부인, ruby=(중국·고려))]) | ||||
궁인 | 후궁 | [ruby(남총, ruby=남자애인)] | 상궁 | 내시 | 환관 | ||||
【 범례 】= 부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주요국의 칭호·봉작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9E1B32><colcolor=#FFD700> 고려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해동천자·황제→국왕 후계자(정윤→왕태자→왕세자) | 왕자(태자·군→{후[ruby(→, ruby=승진)]공}→부원대군·부원군) | 왕녀([ruby(공주, ruby=or궁부인)]적→궁주적·택주서→[ruby(궁주, ruby=+공주)]적·원주서→옹주적·서→궁주적) | |||
조선 | 생부(대원군=부대부인) | 국구(부원군=부부인) {국왕→대군주}={왕비→왕후} 후계자(왕세자=왕세자빈) | 왕자(대군적=부부인 | 군서=군부인) | 왕녀(공주적|옹주서) 왕세자녀(군주적|현주서) | ||||
당·송·원·명·청 | 고모(대장공주={[ruby(부마, ruby=(당·송·원·명))]|[ruby(액부, ruby=(청))]}) 천자·황제·[ruby(대칸, ruby=(원·청))] | 자매(장공주={[ruby(부마, ruby=(당·송·원·명))]|[ruby(액부, ruby=(청))]}) [ruby(황자, ruby=(당·송·원·명))](친왕=친왕비) | [ruby(황녀, ruby=(당·송·원·명))](공주=부마) [ruby(황자, ruby=(청))](친왕적|군왕서) | [ruby(황녀, ruby=(청))](고륜공주적|화석공주서) [ruby(황손, ruby=(원·명))](군왕=군왕비) | ||||
일본 | 천황=황후 [ruby(남성, ruby=1~2세)](친왕=친왕비) | [ruby(여성, ruby=1~2세)](내친왕) [ruby(남성, ruby=3세 이하)](왕=왕비) | [ruby(여성, ruby=3세 이하)](여왕) | ||||
신성 로마 제국 | 로마 황제(+독일 왕·이탈리아 왕·부르군트 왕)→선출된 로마 황제(+독일 왕·[ruby(오스트리아 대공, ruby=→오스트리아황제)]·보헤미아 왕·헝가리 왕) 후계자([ruby(로마 왕, ruby=or독일왕)]→로마 왕·독일 왕) | ||||
영국 | 국왕(+신앙의 수호자+랭커스터·노르망디 공작) 왕자(프린스+[ruby(콘월·로스시 공작, ruby= 잉글랜드·스코틀랜드 확정상속인)]+[ruby(웨일스 공, ruby=왕세자)]) | 왕녀(프린세스+[ruby(프린세스 로열, ruby=장녀·왕실공주)]) | ||||
프랑스 | 국왕(+나바르 왕·가장 기독교적인 왕) 왕자(프랑스의 아들+[ruby(도팽 드 프랑스, ruby=왕세자·프랑스도팽)]) | 왕녀(프랑스의 딸+[ruby(마담 루아얄, ruby=장녀·왕실부인)]) | ||||
스페인 | [ruby(아스투리아스 공, ruby=왕세자·카스티야왕국계승자)](+[ruby(지로나 공작, ruby=아라곤연합왕국계승자)]·[ruby(비아나 공작, ruby=나바라왕국계승자)]) | ||||
러시아 제국 | {차르→황제}={차리차→황후} ([ruby(차레비치, ruby=왕태자·차르의아들)]→)[ruby(체사레비치, ruby=황태자·카이사르의아들)]=[ruby(체사레브나, ruby=황태자비·카이사르의딸)] | ||||
독일 제국 | [ruby(카이저, ruby=황제)]([ruby(←, ruby=겸직)]프로이센 왕) | ||||
오스만 제국 | 술탄→술탄(+[ruby(파디샤, ruby=황제·왕들의주인)]·[ruby(로마 황제, ruby=동로마제국계승자)]·[ruby(칼리파, ruby=이슬람최고지도자)]) | ||||
【 범례 】= 부부 | → 변천 | + 추가 | 적 적출 | 서 서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해설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11px;" |
| }}}}}}}}} | }}}}}}}}} |
1. 개요
왕제(王弟)는 '왕의 동생'을 말한다. 왕제는 왕실 구성원으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지만,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정치적 차이에 따라 그 위상과 역할이 다르게 나타난다.군주의 동생이라는 점에서는, 황제의 동생, 즉 황제(皇弟)와 비슷한 점도 있지만, 제국과 왕국의 규모 차이로 인한 구조적 차이에서 발생하는 차이점도 뚜렷하다.
2. 위상과 역할
왕제는 각국의 정치 체제와 사회 구조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때로는 군주의 충실한 보좌자로, 때로는 잠재적 경쟁자로 간주되었다. 동양에서는 전제군주제 아래 제한된 권한과 역할을 가졌지만, 서양에서는 봉건적 자율성을 바탕으로 더 독립적인 지위를 누릴 수 있었다. 그러나 동서양을 막론하고, 왕제는 정치·군사·외교 등 여러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국가 운영에 기여했으며, 동시에 권력 갈등 속에서 희생되거나 반란을 일으키는 등 복잡한 역사를 남겼다.2.1. 왕위 계승 및 보좌 역할
왕에게 후손이 없거나 직계 계승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왕제가 왕위를 계승하기도 했다.예컨대, 잉글랜드의 존 왕은 형 리처드 1세 사후 왕위를 계승한 바 있다. 조선의 명종은 형 인종의 뒤를 이었고, 영조는 형 경종의 뒤를 이었다.
또한 왕제는 고위직을 맡아 정치를 보좌하거나 조정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며, 왕실의 중요한 일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2.2. 지방 통치 및 봉작
왕제는 종종 공작, 후작 등의 작위를 받거나 지방 통치권을 부여받아 왕실 권위를 유지했다.예컨대, 중국에서는 왕제에게 특정 지역을 다스리는 번왕(藩王)의 지위를 부여해 지방 통치를 맡겼다. 서양에서는 봉건적 체제 아래 왕제가 독립적인 영지를 소유하며 지방 영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았다.
2.3. 군사적 역할
전쟁 시에는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군대를 지휘하거나, 국경 방어를 맡아 국가 안보를 책임졌다.예컨대, 프랑스 필리프 1세의 동생들이 십자군 원정에 참여해 군사적 역할을 수행하였고, 필리프 4세의 동생인 발루아 백작 샤를은 프랑스 내 정치적 혼란기 동안 중요한 군사적·정치적 역할을 수행했다. 잉글랜드 헨리 5세의 동생인 베드퍼드 공작 랭커스터의 존은 백년전쟁에서 군사적 역할을 수행한 바 있다.
2.4. 외교적 역할
왕실의 외교적 동맹 강화를 위해 다른 국가의 공주나 귀족과 결혼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를 통해 국제적 관계를 안정시키고 왕실의 위상을 높였다.예컨대, 합스부르크 가문의 왕족들은 전략적 결혼을 통해 유럽 내 영향력을 확대했다.
2.5. 권력 갈등
왕제는 군주의 잠재적 경쟁자로 여겨져 견제를 받거나 정치적으로 소외되는 경우도 많았다. 특히 동양에서는 전제군주 체제가 강했기 때문에 왕제가 군주의 절대 권력 아래 제한된 역할을 수행했다.왕과 사이가 좋지 못할 경우, 왕제가 권력 경쟁에 휘말리거나 반란의 중심 인물이 되는 사례도 있었다. 예컨대, 조선 문종의 동생인 세조는 정변을 일으켜 조카인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반대로, 군주가 즉위 전에 자신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형제들을 숙청하는 경우도 있었다.
3. 동·서양의 비교
3.1. 동양에서의 왕제
동양에서는 전제군주 체제가 강했기 때문에 왕제가 군주의 보좌자 또는 지방 통치자로 활동하면서도 항상 견제를 받았다. 번왕 제도와 같이 지방 통치를 맡긴 경우에도 중앙 정부는 번왕들의 권력을 제한하려 노력했다. 독립적인 행동은 엄격히 금지되었으며, 반란이나 권력 도전에 대한 처벌은 매우 가혹했다.3.2. 서양에서의 왕제
서양 봉건사회에서는 왕제가 독립적인 영지를 소유하거나 지방 영주로 활동하며 자율성을 가질 가능성이 더 컸다. 그러나 봉건적 계약 관계 속에서 정치적 경쟁과 갈등이 빈번했으며, 특히 왕위 계승 문제로 인해 내전이나 반란이 발생하기도 했다. 서양은 동양보다 상대적으로 군주의 권력이 제한되었기 때문에 왕제가 더 큰 정치적 자율성을 누릴 수 있었다.4. 인물 목록
4.1. 동양
4.2. 서양
- (마케도니아 왕국 아르게아스 왕조) 필리포스 2세
형 페르디카스 3세가 전사하고 그 아들인 아민타스 4세가 왕위에 올랐으나, 조카의 왕위를 찬탈하였다. 이후 마케도니아를 강국으로 성장시켰다. 알렉산더 대왕의 아버지이다.
- (잉글랜드) 리처드 1세
형은 청년왕 헨리로 아버지 헨리 2세와 함께 잉글랜드의 공동 국왕이었고, 아버지에게 반란을 일으켰다가 진압되었다. 이후 헨리는 아버지와 화해하였으나 아버지보다 먼저 사망하였다. 리처드 1세는 '사자심왕'으로 유명하며 십자군 원정에 참여한 군사 지도자였다.
- (잉글랜드) 베드퍼드 공작 랭커스터의 존
헨리 5세의 동생으로, 백년전쟁에서 군사적 역할을 수행했다.
- (잉글랜드) 리처드 3세
형은 에드워드 4세로, 그 아들인 에드워드 5세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그러나 리처드는 조카가 형의 적자가 아니라고 주장하며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다. 그는 요크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장미 전쟁 중 보즈워스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 (프랑스) 오를레앙 공작 필리프 1세
루이 14세의 동생으로, 오를레앙 공작으로 활동했다.
[1] 후한서에서는 태조왕의 아들이라고 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태조왕, 차대왕, 신대왕은 형제간이고, 후한서에 의하면 3대가 된다.[2] 후한서에서는 차대왕의 아들이라고 한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태조왕, 차대왕, 신대왕은 형제간이고, 후한서에 의하면 3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