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태상황 태상왕 | 태상황후 태상왕비 | 태황태후 대왕대비 | |
상황 상왕 | 상황후 상왕비 | 황태후 왕대비 | ||
대원왕 대원군 | 대원비 부대부인 | 국구 부원군 | 국태부인 부부인 | |
황제 국왕 | 황후 왕비 | 여제 여왕 | 국서 남총 | |
후궁 | ||||
황태제 왕세제 | 황태자비 왕세자빈 | 황태녀 왕세녀 | 부마 국서 의빈 남총 | |
태자 황태자 왕세자 | ||||
원자 | ||||
황태손 왕세손 | ||||
원손 | ||||
황제(皇弟) 왕제 | 친왕비 왕자비 | 장공주 | ||
황자 왕자 | 황녀 왕녀 | |||
친왕 대군 | 공주 옹주 | |||
군왕 군 | 군왕비 군부인 | 군주 현주 | ||
프린스 | 프린세스 | 프린스 | }}}}}}}}} |
원손(元孫)은 세자의 적장자이다.
임금의 적장손, 또는 아직 왕세손으로 책봉되지 않은 왕세자의 맏아들을 뜻한다.
원자처럼 반드시 정실부인인 세자빈 소생의 첫 아들이 지정되며, 왕세자의 후궁이 낳은 다른 아들들이 위로 몇이나 있어도 반드시 세자빈의 아들이 원손이 된다. 원손 명호를 받은 뒤 훗날 아버지가 왕이 되면 자연히 승계하여 원자가 된다.
원손은 왕위계승 서열 제2순위이기 때문에, 별다른 일이 없는 한 어느정도 나이가 차면 왕의 손자로서 아버지를 이어 2번째로 왕위계승권을 가지는 '세손'의 지위에 책봉된다. 세손의 지위에서 왕위에 오른 임금으로는 소성왕, 충렬왕, 단종, 정조, 헌종 등이 있다.
원손의 존칭은 나이가 어릴 때는 '아기씨'로 불린 기록이 여럿 있으나, 관례를 치를 나이인 아홉~열살 정도엔 더는 '아기씨'로 불리지 않았다.[1]
이때의 호칭은 문헌으로 남은 것이 없으나, 유추해 볼 법한 기록은 있다. 원손의 부인을 '원손부인'이 아닌, '원손빈(元孫嬪)'이라 부른 기록이 여럿 있기 때문이다. 세자빈과 같은 빈급으로 원손의 부인을 칭한 것으로 보아, 아마 잠재적인 왕위 후계자의 지위를 인정받아 '원손 마노라' 또는 '원손 마마'로 불리었을 것이다. 이는 원손빈 역시 마찬가지.[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