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기본 구성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bgcolor=#9E1B32><colcolor=#FFD700> 전임자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ddd>태상황=태상황후 상황=상황후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ddd>전전임 황제=태황태후 전임 황제=황태후 | |
태상왕=태상왕비 상왕=상왕비 | 전전임 국왕=대왕대비 전임 국왕=왕대비 | ||||
군주 | 황제=황후 | 여제=국서 | ||||
국왕=왕비 | 여왕=국서 | |||||
후계자 | (원자[ruby(→, ruby=책봉)])황태자=황태자비 | 황태녀=부마 | (원손[ruby(→, ruby=책봉)])황태손=황태손비 | 황태제=황태제비 | ||||
(원자[ruby(→, ruby=책봉)])왕세자=왕세자비 | 왕세녀=부마 | (원손[ruby(→, ruby=책봉)])왕세손=왕세손비 | 왕세제=왕세제비 | |||||
자녀 | 황자=황자비 | 황녀=부마 | ||||
왕자=왕자비 | 왕녀=부마 | |||||
외척 | 장인([ruby(국구, ruby=(중국·고려·조선))])=장모([ruby(국태부인, ruby=(중국·고려))]) | ||||
궁인 | 후궁 | [ruby(남총, ruby=남자애인)] | 상궁 | 내시 | 환관 | ||||
【 범례 】= 부부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주요국의 칭호·봉작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9E1B32><colcolor=#FFD700> 고려 | <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해동천자·황제→국왕 후계자(정윤→왕태자→왕세자) | 왕자(태자·군→{후[ruby(→, ruby=승진)]공}→부원대군·부원군) | 왕녀([ruby(공주, ruby=or궁부인)]적→궁주적·택주서→[ruby(궁주, ruby=+공주)]적·원주서→옹주적·서→궁주적) | |||
조선 | 생부(대원군=부대부인) | 국구(부원군=부부인) {국왕→대군주}={왕비→왕후} 후계자(왕세자=왕세자빈) | 왕자(대군적=부부인 | 군서=군부인) | 왕녀(공주적|옹주서) 왕세자녀(군주적|현주서) | ||||
당·송·원·명·청 | 고모(대장공주={[ruby(부마, ruby=(당·송·원·명))]|[ruby(액부, ruby=(청))]}) 천자·황제·[ruby(대칸, ruby=(원·청))] | 자매(장공주={[ruby(부마, ruby=(당·송·원·명))]|[ruby(액부, ruby=(청))]}) [ruby(황자, ruby=(당·송·원·명))](친왕=친왕비) | [ruby(황녀, ruby=(당·송·원·명))](공주=부마) [ruby(황자, ruby=(청))](친왕적|군왕서) | [ruby(황녀, ruby=(청))](고륜공주적|화석공주서) [ruby(황손, ruby=(원·명))](군왕=군왕비) | ||||
일본 | 천황=황후 [ruby(남성, ruby=1~2세)](친왕=친왕비) | [ruby(여성, ruby=1~2세)](내친왕) [ruby(남성, ruby=3세 이하)](왕=왕비) | [ruby(여성, ruby=3세 이하)](여왕) | ||||
신성 로마 제국 | 로마 황제(+독일 왕·이탈리아 왕·부르군트 왕)→선출된 로마 황제(+독일 왕·[ruby(오스트리아 대공, ruby=→오스트리아황제)]·보헤미아 왕·헝가리 왕) 후계자([ruby(로마 왕, ruby=or독일왕)]→로마 왕·독일 왕) | ||||
영국 | 국왕(+신앙의 수호자+랭커스터·노르망디 공작) 왕자(프린스+[ruby(콘월·로스시 공작, ruby= 잉글랜드·스코틀랜드 확정상속인)]+[ruby(웨일스 공, ruby=왕세자)]) | 왕녀(프린세스+[ruby(프린세스 로열, ruby=장녀·왕실공주)]) | ||||
프랑스 | 국왕(+나바르 왕·가장 기독교적인 왕) 왕자(프랑스의 아들+[ruby(도팽 드 프랑스, ruby=왕세자·프랑스도팽)]) | 왕녀(프랑스의 딸+[ruby(마담 루아얄, ruby=장녀·왕실부인)]) | ||||
스페인 | [ruby(아스투리아스 공, ruby=왕세자·카스티야왕국계승자)](+[ruby(지로나 공작, ruby=아라곤연합왕국계승자)]·[ruby(비아나 공작, ruby=나바라왕국계승자)]) | ||||
러시아 제국 | {차르→황제}={차리차→황후} ([ruby(차레비치, ruby=왕태자·차르의아들)]→)[ruby(체사레비치, ruby=황태자·카이사르의아들)]=[ruby(체사레브나, ruby=황태자비·카이사르의딸)] | ||||
독일 제국 | [ruby(카이저, ruby=황제)]([ruby(←, ruby=겸직)]프로이센 왕) | ||||
오스만 제국 | 술탄→술탄(+[ruby(파디샤, ruby=황제·왕들의주인)]·[ruby(로마 황제, ruby=동로마제국계승자)]·[ruby(칼리파, ruby=이슬람최고지도자)]) | ||||
【 범례 】= 부부 | → 변천 | + 추가 | 적 적출 | 서 서출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C004C, #800080 20%, #800080 80%, #4C004C)" {{{#!folding 【 해설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11px;" |
| }}}}}}}}} | }}}}}}}}} |
원손(元孫)은 세자의 적장자이다.
임금의 적장손, 또는 아직 왕세손으로 책봉되지 않은 왕세자의 맏아들을 뜻한다.
원자처럼 반드시 정실부인인 세자빈 소생의 첫 아들이 지정되며, 왕세자의 후궁이 낳은 다른 아들들이 위로 몇이나 있어도 반드시 세자빈의 아들이 원손이 된다. 원손 명호를 받은 뒤 훗날 아버지가 왕이 되면 자연히 승계하여 원자가 된다.
원손은 왕위계승 서열 제2순위이기 때문에, 별다른 일이 없는 한 어느 정도 나이가 차면 왕의 손자로서 아버지를 이어 2번째로 왕위계승권을 가지는 '세손'의 지위에 책봉된다. 세손의 지위에서 왕위에 오른 임금으로는 소성왕, 충렬왕, 단종, 정조, 헌종 등이 있다.
원손의 존칭은 나이가 어릴 때는 '아기씨'로 불린 기록이 여럿 있으나, 관례를 치를 나이인 아홉~열살 정도엔 더는 '아기씨'로 불리지 않았다.[1]
이때의 호칭은 문헌으로 남은 것이 없으나, 유추해 볼 법한 기록은 있다. 원손의 부인을 '원손부인'이 아닌, '원손빈(元孫嬪)'이라 부른 기록이 여럿 있기 때문이다. 세자빈과 같은 빈급으로 원손의 부인을 칭한 것으로 보아, 아마 잠재적인 왕위 후계자의 지위를 인정받아 '원손 마노라' 또는 '원손 마마'로 불리었을 것이다. 이는 원손빈 역시 마찬가지.[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