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혐한
그 예로 지금은 아니지만 예전엔 한국인 우타이테 릴의 영상에 혐한 코멘트가 달렸었던 것과 일본어 위키백과의 하위호환 수준으로 니코니코 대백과의 대한민국 항목에는 2ch의 혐한네타와 한국의 단점을 모아놓은 것이 존재하고 한국 역사등의 한국 관련 항목이 혐한 쪽으로 기울어서 작성된 것 등. 게다가 혐한초딩 항목을 작성해 놓고 혐한하는 건 혐한초딩임 우리랑 비교하지 마셈[1]이란 식의 내용을 적어놨다. 지금 한국관련 동영상에 "똥술", "춍"등의 태그를 달고 있는 니코인이 있다면 100%. 혐한감정을 유발하기 위해 번역기로 돌린 어설픈 한국어 코멘트도 곧잘 보인다.디시인사이드의 2ch테러 사건 이후로 랭킹 공작(주작)을 이용해 혐한 동영상을 랭킹에 올리는 일이 많아졌다.
의외로 혐한이 아니더라도 그들의 문화가 폐쇄적인 면이 많기에 외국인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상처주는 말이나 친구같이 대하는 것도 무자각적으로 남발한다. 의외로 모순될지도 모르지만 사실인 게 이게 우리 개방적이라면서 하면서 행동은 딱 자신의 모국에서 대하듯이 하기에 의외로 행동이랑 자세에서 폐쇄적인 게 딱 보인다.
위에 적혀 있듯이 혐한이 많은 즉 적의 본거지 같은 곳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방문을 하더라도 그냥 보거나 거리를 두자
2. 일본어가 아닌 코멘트
2.1. 인종차별적 반응
기본적으로 일본 사이트이기 때문에, 코멘트를 쓸 때는 되도록 영어[2]나 일본어로 쓰는 것을 추천한다.일부 동영상의 경우 니코동에 가입한 한국인들이 한국어 코멘트를 다는 경우가 있는데, 동영상의 내용과 코멘트의 내용에 관계없이 한국어 코멘트나 영어로 되어있는 욕설(ass, fuck, motherfucker, 기타 등등)이 들어있는 코멘트가 붙으면 무조건 혐한 관련 코멘트들이 이어진다. 단적인 예로 2009년 3월 8일 체험판이 발매된 동방성련선 체험판 플레이 영상에 일부 한국인들이 한국어 코멘트를 붙이자, 그 뒤에 바로 DIE KOREAN(죽어 한국인), FUCK KOREA(염병하네 한국), Korea is Fucking shit(한국 엿먹어)이란 코멘트가 따라붙는 낯 뜨거운 상황이 펼쳐지기도 했다. 혐한 성향이 강한 니코동에서라면 더더욱.
2.2. 이에 대한 비판
이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들은 정보와 지식이 경계없이 넘나들고, 그 경향이 확산되고 강화되는 현재의 정보화사회에서 어떤사람이 다른나라의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은 일반화된 일이며, 이에따라 어떤 사이트가 국제적으로 유명해지는 것은 자연스러운 정보화시대의 경향인데, 이를 억지로 무시하고 그들만의 모임으로 남으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보인다.특히 단순히 외국어에 대한 배타성이라기엔 그 중에도 한국어에 대한 혐오가 매우 강하다.
우선 니코니코 동화가 전반적으로 외국인과 외국어 사용에 대해 배타적인 면모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한국어는 배타 수준을 넘어 혐한이라고 할 수 있는 반면, 영어와 같은 서양 언어에 대해서는 그 정도까지 배타적이지는 않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한 마디로 이중잣대를 들이대는 것이다. 한국어와 중국어에 대해서는 미친듯이 까면서 영어 이용자에 대해서는 그 정도까지 강경하게 나가지 못하는 것을 보면,[3] 한국어를 끝까지 쓰는 한국인 이용자들의 비매너보다도 니코니코의 혐한기질이 근본문제에 가깝다.
또한 한국어 코멘트 사용을 반대하는 이들은 대개 한국어 사용을 자제할 것을 한국어 코멘트로 단다. 게다가 한국어 코멘트가 있을 경우 자제하라는 식의 무례한 코멘트가 붙고 이에 반발해서 가만히 눈팅만 하던 한국인도 괜히 한국어로 한두마디 더 던지게 되면서 한국어 코멘트로 개싸움이 일어나, 오히려 더 많은 한국어코멘트를 불러온다. 결국 의도는 이해가 가나 본인들이 주장하는 내용을 본인들도 지키지 않는데다가 일을 더 키우기까지 한다. 이뭐병.
그리고 영어를 허용하는 것에 대해서 니코동 유저들은 '영어를 사용하자고 이미 업로더들끼리 약속하였다.'라고 주장하는데, 여기서 쟁점은 왜 그렇게 결정하였는가이다. 영어가 세계 공용어이기 때문이라는 것은 말이 맞지 않다. 영어가 세계 공용어이기 때문에 영어로 댓글을 쓸 수 있다면 모든 세계 공용어인 스페인어, 중국어, 아랍어, 러시아어, 프랑스어를 모두 허용해야 한다. 그리고 세계에서 많은 사람들이 영어를 쓰기 때문에 영어로 결정했다는 것도 말이 되지 않는게, 현재 일상생활에서 모어로서 가장 많이 쓰이는 언어는 중국어와 스페인어이다.
단, 아랍어는 이슬람교를 믿는 지역'''에서만, 스페인어는 스페인 본국과 라틴아메리카 국가에서만 공용어로 의미가 있으며, 동유럽을 제외하면 러시아어의 영향력은 거의 없고, 중국어는 중국에서만 통용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사실 의미있는 건 영어와 프랑스어뿐이다.
그나마 프랑스어도 영어에 비하면 영향력에서 크게 밀린다.
'''사실 애초에 우리가 외국인을 만났을 때 스페인어, 중국어, 아랍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영어 중에 무엇을 먼저 쓰는지 생각해 봐도 앞 문단의 문제제기는 트집에 가깝다는 걸 알 수 있다."
3. 외국인 업로더
외국인은 환영받는 편. 한국인도 실력이 있다면 크게 배척하는 분위기는 의외로 없는 편이다. 니코동에 활동중인 한국인 보컬도 개념인으로 여겨지는 편. 하지만 한국 뮤직비디오 혹은 한국어 자막이 들어간 동영상, 한국어 자막이 있는 동영상은 절대 올리지 말 것. 올리고 싶다면 한국어 자막이 없는 버전이나 전자보다 더 어려운 방법이지만 윈도우 무비 메이커 등의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으로 직접 한국어 부분을 제거해서 올려라. 안그러면 온통 혐한 탄막들이 날아다닌다. 다만 한국판 하이포션이나 이박사 관련 동영상은 예외인 것 같다.니코동에서 가장 유명한 한국인 업로더를 꼽자면 '儀式の人'라고 불리며 메탈기어 시리즈의 영상을 올리고 있는 루리웹 유저 bakemode(바케모노)가 있다. 초창기에는 한국 정발판 소프트로 영상을 제작한데다 종종 한국어 코멘트도 달리는지라 한국인이라는 건 일본의 니코동 이용자들에게도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넘사벽급 테크닉 탓에 딱히 혐한 코멘트는 달리지 않는다. 오히려 뜬금없는 혐한 코멘트가 달리면 다른 일본인이 면박을 준다.
H.J.Freaks같은 베이시스트 역시 호평을 받는다.
한국인 우타이테의 앨범 CD가 2011년 11월 23일에 출시된 바 있다. 관련기사(일본어)
4. 기타
일본은 일본어를 입력할 때 전각 문자를 쓰므로 흔히 볼 수 있는 www 코멘트 하나만으로도 코멘트를 기입한 사람이 일본인인지 아닌지 쉽게 판별할 수 있다는 말이 있다. 그러니까 전각문자 'www'는 일본인의 코멘트, 반각문자'www'는 경우 한국인이나 그외의 외국인일 확률이 높다는 것. 그러나 이건 적어도 현재로서는 전혀 잘못된 설로, 일본인이라도 영어는 반각문자로 입력하기 때문에 구별하는 데에 도움 안 된다. 일본인들도 웃음의 표현은 평범한 wwwww인 것을 어디서든 쉽게 찾아볼 수 있다.니코동 홈페이지의 언어 설정에 따라 코멘트 쓴 사람의 국적이 정해진다. 언어 설정을 영어로 한 경우 방송하는 유저는, 코멘트 작성자가 미국 국적으로 보이는 모양. 한국의 경우 니코나마에서도 국적은 일본으로 보이기 때문에, 굳이 한국인이라고 밝히지 않는 이상 모르고 밝혀도 외국인 표시가 붙어있지 않아, 재일로 오해받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언어 설정이 아니더라도 국내 이외의 코멘트 표시하지 않으면 그 사람이 외국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직감과 방송하는 유저와 시청자들(일본인)은 니코뷰라는 도구를 써서 외국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조금만 엉성해도 엉성하지 않아도 외국인 유저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니코뷰에 따라서는 나라표시도 하 때문에 누가 누구인지 알 수 있는 방법도 있기에, 언어 설정을 변경해도 알 수 있다.
공식적으로 외국인 표시가 붙지 않을 뿐, 외국에서는 시청할 수 없는 일부 방송은 지역 제한으로 시청할 수 없다. 까짓것 로그아웃한다음에 vpn으로 일본 국적으로 바꾼 다음 로그인하면 일부 방송도 시청할 수 있다.
애초에 니코동에는 국적이 일본, 대만, 미국 밖에 표시가 안 된다고 한다. 영어를 쓰는 경우 영국이나 호주 등 영어를 쓰는 다른 나라로 표시되지 않고 무조건 미국으로 보이는 것의 이유.
[1] 하지만 혐한 항목에는 "혐한감정은 당연한 것"이라고 적혀 있다. 즉 모순이다.[2] 일본어 사이트에서 영어는 왜 허용하냐고 물을 수도 있지만 영어는 국제표준이기도 하거니와 일본이 친미국가라는 점 때문.[3] 은근히 국가의 약육강식을 잘 드러내는 것 같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