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04:00:36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1989)
Why Has Bodhi-Dharma Left for the East?
파일:231A36395269D05907.jpg
<colbgcolor=#FAEC66><colcolor=#EB241A> 장르 드라마, 종교
감독 배용균
각본
촬영
편집
조명
미술
소품
출연 이판용, 신원섭, 황해진, 고수명, 김희룡, 윤병희, 최명덕, 이선혜, 이은영
음악 진규영
녹음 김경일
음향 효과 양대호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배용균 프로덕션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예필림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년 9월 23일
화면비 1.85:1
상영 시간 175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143,881명 (서울 기준)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연소자관람가

1. 개요2. 예고편3. 줄거리4. 등장인물5. 평가6. 수상 및 선정7. 흥행8. 제작 관련9. 기타

[clearfix]

1. 개요

배용균 감독의 1989년작 한국 영화.

로카르노 영화제 금표범상을 수상하며 서구 국제영화제 대상을 처음으로 수상한 한국 영화로 화제를 모았다.

2. 예고편

예고편

3. 줄거리

젊은 스님 기봉은 홀로 살고 있는 앞 못 보는 어머니를 두고 있다. 어머니를 모셔야 하는가, 아니면 그냥 이게 하늘 뜻이니 도를 닦고 승려로서 살아가야할지 고민한다. 그런 고민을 하던 기봉은 어린 동자스님 해진과 살고 있는 노스님 혜곡이 사는 작은 암자를 찾아가 마음 수련을 한다. 그러나, 이런 번민이 이어지고....

한편, 동자스님 해진은 어느 날 새 한마리를 줍게된다. 다친 새를 돌보며 정성껏 치료하지만, 새는 죽고 만다[1]. 죽음에 대해 해진은 고민하게 되고, 혜곡은 자신이 병에 걸려서 오래 살지 못함을 알게 된다. 번민하던 기봉을 탓하던 혜곡은 나중에 자신이 오래 못 살고 죽을 것을 이야기한다. 결국, 혜곡은 입적하고, 그의 시신을 말없이 화장하는 기봉[2]. 그리고, 곁에서 말없이 보고 있는 암자에서 맡아 키우던 황소[3].

혜곡에 대한 유품을 모두 정리하고 기봉은 길을 떠나려한다. 어디로 가시냐고 질문하는 해진에게 기봉은 답변하는데...

4. 등장인물

5. 평가

어느 날 갑자기 문득 나타났다. 배용균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은 1989년에 그렇게 한국영화사의 사건이 되었다.

배용균은 충무로와 어떤 관계도 맺지 않았으며, 영화에 대한 대부분의 기술을 책으로 배웠으며,[4] 시나리오를 혼자 쓴 다음, 소수의 스태프와 아마추어 배우들을 이끌고 몇 해를 대구 근처의 절과 산속에서 직접 카메라를 들고 촬영을 했으며, 누구와도 의논하지 않고 거의 프레임 단위의 편집을 한 다음, 영화를 완성해서 칸 영화제 주목할 만한 시선에 초대를 받았다.
정성일 #
파업전야, 오! 꿈의 나라, 칸트씨의 발표회, 상계동 올림픽과 함께 한국 독립영화의 효시로 꼽히는 작품이다.

2020년대 기준으로 IMDB에서는 10점 만점에 7.5점의 평가를 받고 있다. 화가 출신 감독이 만들었다는 점 때문인지 영상미에 대해 높게 평가하는 댓글이 많으며, 선불교에 대한 배경지식이 있는 해외 시청자들의 평가가 상당히 좋다. OST가 다케미쓰 도루를 연상하게 한다는 평가도 보인다.

정성일과의 대담에서 배용균은 '일요일의 리얼리즘'을 찍고 싶었다고 밝힌 바 있다. 정확히는 조물주가 창조를 마친 뒤, 휴식하는 시간, 또는 일요일 교회나 절에 가는 한적한 시간을 담고 싶었다고.

지금이야 로카르노 영화제보다 압도적인 인지도와 평을 받는 세계 3대 국제영화제에서도 대상 수상작이 나오는 터. 김기덕이 감독한 피에타가 2012년 베니스 국제 영화제 황금사자상을 받았으며 2019년에는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아카데미상 4관왕을 수상한 한국 영화도 나와 격세지감이지만, 당시 충무로는 그야말로 경악했다. 듣도 보도 못한 감독이 홀로 거의 영화를 다 만들어버린데다 첫 서구영화제 대상을 받았으니.

6. 수상 및 선정

이 영화는 한국 최초로 로카르노 영화제 대상인 금표범상을 수상했다.[5] 서구 국제영화제 대상을 처음으로 수상해 당시 엄청난 화제를 모았다. 문화관광부에서는 포상금으로 3,000만원을 수여했다. 그리고 이 영화를 소개하던 월간지 로드쇼는 한국 영화도 이렇게 국제영화제 대상을 받을 수 었으니,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도 언젠가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서술했는데 딱 30년 뒤에 기생충이 황금종려상을 수상하게 된다. 정작 로드쇼는 1998년(창간 9년)에 폐간했다.

그리고 로카르노 가기 전 1989년 제42회 칸 영화제에 출품해 주목할만한 시선에 올랐는데 이두용 감독의 여인잔혹사 물레야 물레야(1984) 이후 2번째다.

7. 흥행

175분에 이르는 긴 시간에 대사도 많이 없고, 매우 지루할 수 있는 내용에도 불구하고 서울관객으로 14만 3,881명을 기록하여 당시 기준으로 대박[6]을 거두었다.

해외에서도 상당히 성공한 영화라서 크라이테리온 콜렉션 첫 한국 영화 타이틀을 가지고 있는 영화기도 하다. 한동안 이 영화가 한국 영화를 대표하는 영화로 꼽힐 정도. 단 레이저디스크로만 나왔고 DVD는 다른 곳에서 나왔다.

8. 제작 관련

효성여대(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서양화 미술교수이던 배용균이 기획 8년, 제작 4년에 걸쳐 그야말로 홀로 다 만든 영화다. 감독, 제작, 연출, 각본, 촬영, 미술, 편집, 조명을 싸그리 그 홀로 맡았으며 배우들도 영화 연기랑 무관한 배우를 썼다. 저예산 독립영화로 소리소문없이 만들어졌다.

촬영은 주로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에 있는 봉정사 영산암에서 이뤄졌다고 한다.

극 중 노스님 혜곡을 연기한 이판용은 배우도 아닌 일반인이며, 그것도 독실한 개신교 장로였다. 1989년 영화월간지 로드쇼 5월호에 의하면, 당시 배용균 감독이 노스님 이미지에 맞는 배우를 찾고자 오랜 시간을 걸려 찾았지만 마음에 드는 배우를 찾지 못했다가 우연히 이 분을 알게되어 이 분이야말로 내가 찾던 노스님 역에 어울리는 이미지라고 찾아가서 설득했다. 당연히 난데없이 영화라니? 그것도 머리카락 박박 밀고 승복입은 승려를 맡아달라? 이판용 씨는 정색하며 거부했다. 그러나, 엄청난 설득에 결국 노스님을 연기하게 되었다. 극중 대사도 그리 없고, 영상미 쪽으로 많이 주목을 받게했기에 연기에는 큰 불편이 없었다고. 그리고, 영화 완성을 한 지 얼마 안 돼 병으로 별세했다고 한다. 전문배우도 아니라 그런지 이판용 씨에 대한 검색을 해봐도 생몰연도조차 찾아보기 어렵다.

젊은 스님 기봉을 맡은 신원섭은 이 영화 주연에서 그나마 연극배우로 연기 경력이 있었고 1992년에 한국 영화 <세상은 살만큼 아름답다>에서 최종원과 같이 나온 바 있다. 이 영화가 상업적으로 큰 대박을 터트린 건 아니여서 이후로 연극무대에서 활약했다. 해진을 맡은 아역 황해진도 이판용처럼 이후 영화계를 떠났다. 기사에 따르면 직지사에 갔다가 찾아낸 얼굴이라 한다. 영화를 찍으면서 어떤 장면 연기가 가장 힘들었냐는 질문에, '연기는 힘들지 않았는데, 감독님이 밥을 안 줘서 힘들었다'라고 대답했다고.

9. 기타


[1] 영화 마지막에도 새가 한번 더 나온다. 이 새는 죽음을 은유하며, 살생을 저질렀다는 해진의 죄책감을 상징하기도 한다.[2] 화장하고 남은 혜곡의 재는, 생전에 혜곡이 던진 화두인 '마음의 달이 차오르면 주인공은 어디로 가는가'와 오버랩된다.[3] 인간의 눈먼 욕망에 대한 상징이다.[4] 배용균 감독은 서울대 서양화과 출신의 순수미술 전공자다.[5] 구봉서가 주연으로 나온 영화 수학여행(1969)이 지금은 사라진 이란 테헤란 국제영화제 대상을 받는다든지 그보다 앞서, 지금은 듣보잡이 되어버린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에서 시집가는 날(1957)이 대상을 받은 게 해외영화제 대상 첫 수상작이지만 이 영화제들은 아시아 영화제로 아시아 영화들에게 주로 시상하던 한계가 있었다.[6] 같은 해 개봉한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15만)와 비슷한 수준이다.[7] 개봉 당시 관객과의 대화를 가진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