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나들목 大東 나들목 Daedong Interchange | ||
부산 방면초정IC ← 2.8 km | 중앙선 2-2 | 춘천 방면대동TG 0.1 km → |
주소 |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괴정리 | ||
관리기관 | ||
중앙선 | 한국도로공사 부산경남본부 양산지사 | |
개통 | ||
1996년 6월 28일 | ||
접속도로 | ||
[[69번 지방도| 69 ]](대동로) |
[clearfix]
1. 개요
중앙고속도로 2-2번.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동로 756-118 (괴정리)에 위치한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대동면에서 유래했다.2. 구조
2.1. 부산 방향
2.2. 춘천 방향
3. 통행료
- 대구방향 진출과 부산방향 진입 차량에 한해 개방식으로 징수한다.
<rowcolor=#ffffff> 대동IC 통행료 | |||||
<rowcolor=#ffffff> 1종 | 2종 | 3종 | 4종 | 5종 | 6종 |
800 | 800 | 900 | 900 | 900 | 400 |
4. 역사
5. 특징
중앙고속도로의 마지막 요금소인 대동TG와 일체화되어 있다. 요금소 우측에 대동나들목 진출입을 위한 하이패스 차로가 존재한다.부산의 대표 관문 중 하나인 대동요금소의 존재감이 압도적이다 보니 같이 붙어있는 나들목의 존재감은 매우 희박하다. 대동 하면 본선 톨게이트로만 알고 있지 옆에 나들목이 있는 줄 모르는 사람이 태반. 인근에 김해가야 나들목이 개통되면서 더 잉여가 되었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삼락IC - 대저JC() - 초정IC - 대동IC/대동TG - 대감JC() - 대동JC() - 상동IC - 삼랑진IC - 남밀양IC - 밀양IC - 밀양JC() - 청도새마을SA - 청도IC - 수성IC - 동대구IC - 동대구JC(·)1 - 도동JC()1 - 북대구IC1 - 금호JC(·)1 - 칠곡IC - 동명동호IC() - 동명SA - 다부IC - 가산IC - 군위JC() - 군위IC - 군위SA - 의성IC - 안동JC() - 남안동IC - 안동SA - 서안동IC - 예천IC - 영주IC - 영주SA - 풍기IC - 단양IC - 단양팔경SA - 북단양IC - 남제천IC - 제천JC() - 제천SA - 제천IC - 신림IC - 치악SA - 남원주IC - 만종JC() - 신평JC() - 북원주IC - 원주SA - 횡성IC - 홍천IC - 홍천강SA - 춘천JC() - 춘천SA - 춘천TG - 춘천IC | ||
1: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