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 나들목 密陽 나들목 Miryang Interchange | ||
밀양 요금소 Miryang Tollgate | ||
부산 방면남밀양IC ← 6.4 km | 중앙선 7 | 춘천 방면밀양JC 1.6 km → |
주소 | ||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남기리 | ||
관리기관 | ||
중앙선 |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 | |
개통 | ||
2006년 1월 25일 | ||
접속도로 | ||
[[24번 국도| 24 ]](밀양대로) |
[clearfix]
1. 개요
중앙고속도로 7번.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산외로 42-58 (남기리)에 있는 중앙고속도로의 나들목. 명칭은 소재지인 밀양시에서 유래했다.2. 구조
2.1. 춘천 방향
2.2. 부산 방향
3. 역사
- 2001년 2월 12일 월요일 - 중앙고속도로 대동JC ~ 동대구JC 구간과 함께 공사가 시작되었다. 밀양시 최초[1]의 고속도로 착공이었다.[2]
- 2006년 1월 25일 수요일 23:00 - 중앙고속도로 대동JC ~ 동대구IC 구간과 함께 밀양시 최초의 나들목으로 개통되었다.
- 2009년 6월 1일 월요일 14:00 - 청도TG의 하이패스 도입으로 밀양시청(춘천)까지의 소요 시간이 감소되었다.[3]
4. 기타사항
- 대구광역시 수성구에서 울산광역시로 갈 때 밀양IC에서 진출해서 밀양대로(24번 국도)를 타는 것도 좋고, 24번 국도가 선형이 좋아서 이 길을 타는 것도 좋다. 2020년 12월 11일 개통된 함양울산고속도로도 옵션이 될 수 있다. 단 겨울철에는 길이 얼 수 있으니 조심.
- 역사 문단에 서술했듯 춘천 방면에서 밀양시내로 진입할 때는 이 나들목을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반대로 부산 방면에서는 여기보다는 남밀양IC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3f3f7f><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3f3f7f> | }}} | |
{{{#!wiki style="color:#000,#00f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삼락IC - 대저JC( 청도새마을SA - 청도IC - 수성IC - 동대구IC - 동대구JC( 동명SA - 다부IC - 가산IC - 군위JC( 풍기IC - 단양IC - 단양팔경SA - 북단양IC - 남제천IC - 제천JC( 신평JC( | ||
1: 경부고속도로와 중첩되는 구간 | }}}}}}}}} |
[1] 청도군과 수성구도 최초였다. 밀양은 삼랑진IC & 남밀양IC 포함.[2] 대구~부산 고속도로 착공 .. 건교부, 2006년 개통 목표 한국경제 010208[3] 신대구부산고속도 하이패스 시스템 개통 연합뉴스 09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