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6px -11px" | 2022년 3월 10일 ~ 2022년 6월 10일[직무대행] | ||
출범 이전 | 이후 | ||
송영길 지도부 | 우상호 비대위 박홍근 직무대행 체제 | }}} | |
<colbgcolor=#004EA2> 비상대책위워원장 | <colbgcolor=#fff,#1F2023>박지현 / 공동 비대위 윤호중 / 공동 비대위 | ||
원내대표 | 윤호중 / 제7대 ( ~ 2022.3.24.)[겸임] 박홍근 / 제8대 (2022.3.24. ~ ) | ||
비상대책위원[3][4] | 김태진 / (2022.3.13. ~ 2022.6.2) 권지웅 / (2022.3.13. ~ 2022.6.2) 채이배 / (2022.3.13. ~ 2022.6.2) 배재정 / (2022.3.13. ~ 2022.6.2) 조응천 / (2022.3.13. ~ 2022.6.2) 이소영 / (2022.3.13. ~ 2022.6.2) |
1. 개요
부족했습니다,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2. 상세
3. 주요 사건
3.1. 2022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불어민주당/2022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불어민주당/2022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지도부 구성
부족했습니다, 더 열심히 하겠습니다
2022년 3월 10일 - 2022년 6월 10일[5]
- 비상대책위원장
- 비상대책위원
[직무대행] 2022년 6월 2일부턴 박홍근 직무대행 체제로 유지.[겸임] 3월 24일까지[3] 지명직 7인.[4] 공석 1인[5] 제20대 대통령 선거 패배 책임을 지고 제5대 송영길 지도부가 사퇴함에 따라 비상대책위원회가 꾸려지게 되었다.[6] 윤호중은 3월 10일부터 재임.[7] 광주 선대위 공동위원장을 역임한 청년 창업가.[8] 한국노총 안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