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14 20:49:29

더불어민주당/임시전국대의원대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더불어민주당/역대 전당대회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더불어민주당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5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152484><colcolor=#FFF> 역사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다른 정당과의 관계
대통령 문재인 · 이재명
집권정부 문재인 정부 · 이재명 정부
전당대회 더불어민주당/역대 전당대회 (제2차(2016) · 제3차(2018) · 제4차(2020) · 임시(2021) · 제5차(2022) · 제6차(2024) · 임시(2025))
지도부 더불어민주당/지도부 (초대 · 비대위 · 제2대 · 제3대 · 제4대 · 비대위 ·비대위 · 제5대 ·비대위 · 비대위 · 제6대 · 제7대 · 제8대)
선거 지지 기반 · 인재영입(2016 · 2017 · 2020 · 2021 · 2022 · 2024)
20대 총선 20대 총선 체제 · 결과
19대 대선 경선 · 국민주권선대위 · 결과
7회 지선 결과
21대 총선 총선기획단 · 후보자 · 결과
20대 대선 경선 · 대선경선기획단 · 대한민국대전환 선대위 · 결과
8회 지선 통합선대위 · 결과
22대 총선 정권심판·국민승리 선대위 · 공천 갈등 · 결과
21대 대선 경선 · 진짜 대한민국 선대위 · 결과
비판 및 논란 비판 및 논란 (정치·사회 관련)
관련 단체 전국청년위원회 · 1618위원회 · 민주연구원 · 민주주의 4.0 연구원 · 김은경혁신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 민주당(2014년) · 더불어시민당 · 열린민주당 · 새로운물결 · 더불어민주연합
디지털 공보단
기타 사회자유주의 · 진짜가 나타났다 · 이재명 마이너 갤러리 · 더불어민주당 마이너 갤러리 · 민주당사 · 상록수 · 180석
관련 틀 역대 대표 · 역대 원내대표 · 지도부 · 상임고문단 · 계파 분류 · 제19대 국회의원 · 제20대 국회의원 · 제21대 국회의원 · 제22대 국회의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5px;"
<rowcolor=#ffffff> 연도 전당대회 선출 대상 결과
<nopad> 새정치민주연합 정기전국대의원대회
2015년 제1차 초대 지도부 대표 문재인
최고위원 5인
<nopad> 더불어민주당 정기전국대의원대회
2016년 제2차 제2대 지도부 대표 추미애
최고위원 3인
2017년 대선 경선 19대 대선 후보 후보 문재인
2018년 제3차 제3대 지도부 대표 이해찬
최고위원 5인
2020년 제4차 제4대 지도부 대표 이낙연
최고위원 5인
2021년 임시 제5대 지도부 대표 송영길
최고위원 5인
대선 경선 20대 대선 후보 후보 이재명
2022년 제5차 제6대 지도부 대표 이재명
최고위원 5인
<nopad> 더불어민주당 정기전국당원대회
2024년 제1차 제7대 지도부 대표 이재명
최고위원 5인
2025년 대선 경선 21대 대선 후보 후보 이재명
임시 제8대 지도부 대표 정청래
최고위원 1인
}}}}}}}}}
더불어민주당 임시전국대의원대회
<nopad> 파일:더불어민주당_임시전국대의원대회_주제.jpg
{{{#!wiki style="margin: -7px -12px" 2020년 8월 29일
제4차 정기전국대의원대회
2021년 5월 2일
임시전국대의원대회
2022년 8월 28일
제5차 정기전국대의원대회
}}}
선출 대상 당대표
최고위원 5인
방식 본선: 대의원 투표(45%), 권리당원 투표(40%), 일반국민 여론조사(10%), 일반당원 여론조사(5%)
예비경선: 중앙위원회에서 당대표는 3인, 최고위원회는 8인으로 압축
당선인
파일:100147796.jpg
당대표
송영길
<rowcolor=#fff> 최고위원
김용민
최고위원
강병원
최고위원
백혜련
최고위원
김영배
최고위원
전혜숙

1. 개요2. 상세3. 일정4. 출마 후보군
4.1. 당대표4.2. 최고위원
5. 여론조사6. 결과
6.1. 당대표 선거6.2. 최고위원 선거
7. 총평8. 사건 사고

1. 개요

파일:민주당임시전대.jpg
결과 발표 후 꽃다발을 전달했던 당대표, 최고위원 후보들
2021년 5월 2일, 더불어민주당 당사에서 개최된 더불어민주당 제5대 대표와 지도부인 최고위원을 선출하는 전당대회이다. 최고위원은 당초 전당대회를 거치지 않고 중앙위에서 선출하기로 비대위가 결정했으나, 당원들 및 당권주자들이 모두 반발해[1] 전당대회를 통해 선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

2. 상세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의 완승으로 180석 슈퍼 여당이 되었던 더불어민주당은 이듬해 치러진 2021년 재보궐선거의 참패로 당이 큰 위기를 맞게 되었다. 이 선거에서 뽑히게 될 대표에게는 당을 추슬러 제20대 대통령 선거를 성공적으로 치러내고, 나아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까지도 대비해야 하는 중대한 임무가 주어진다.

또한 그동안 당권을 꽉 쥐고 있던 친문 세력이 아닌 비문 세력이 당권을 잡을 수 있을지도 주목할 부분이다. 강성 지지층들의 지지를 받는 후보가 좀 더 유리하기는 하나 정권재창출을 고려하는 대의원들의 선택도 무시할 수 없기에 전당대회 결과에 따라 당의 향후 정책 색깔이 정해질 것이다.

도종환이 비대위원장을 맡은 임시 비대위는 최고위원을 중앙위에서 선출하기로 의결한다. 그러나 홍영표 후보측과 김용민 등 초재선 의원 일부의 요구에 우원식 측이 찬성하며 비대위는 입장을 바꾼다. 그러자 이번에는 일부 초재선을 중심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민심과 당심이 다르게 움직이는 상황에서 또다시 '당심'이 중심이 되어 친문 성향의 지도부를 구성하게 되면 쇄신과 개혁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 지역위원장과 지방의원, 단체장등 선출직 대표들로 구성된 중앙위원들이 투표하는 것과 달리 전당대회의 규모는 더욱 크다. 매달 당비를 내며 정부와 당의 주요정책에 목소리를 내온 권리당원들의 의견이 40% 비율로 반영하는데, 당내 정보가 통제되기에 적극적으로 민주당을 해석해온 강성 친문 당원들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지난해 전당대회 때 최고위원 선거에 나선 김종민 의원이 대의원 투표에선 4위에 그쳤지만, 권리당원 투표에서 압도적 1위를 하면서 전체 1위로 뽑힌게 그 예이다. 이런 이유로 민주당 재선모임을 마친 조응천 의원은 "전당대회 선출을 주장하는 의원들은 전당대회를 하면 메리트가 있는 분들" 이라며 "자기 기득권을 못 버린 것"으로 비판했다.

그러나 한 중진 의원은 “우리 당이 전체적으로 친문 일색인 점을 비춰보면 중앙위에서 선출하는 것과 전당대회를 통하는 것에 대해 큰 차이가 있겠느냐”며 다른 의견을 내놓는다. # '중앙위든 전당대회든 다 친문' VS '민주당내 위기감이 반영될 것'이란 전망이 대치하고 있다.

전당대회가 진행되면서 '선거 후 쇄신을 얘기하지만, 방점은 '질서' 있는 쇄신에 찍힌다. 뼈를 가루로 만들고 몸을 부수는 일인데, 질서 있는 쇄신이 가능이나 한 걸까. 쇄신을 누가 주도할지도 중요하다. 그런데 상황이 달라졌을 뿐 인물(친문)은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

경선이 진행되면서 줄세워서 투표하자는 전략이 홍영표 후보와 우원식 후보를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다. 어찌보면 당연한 얘기인데 권리당원의 권리를 확대하기 위해 최고위원을 뽑아야 한다는 주장과 달리 실제로는 대선 전초전이 벌어지는 중인 샘이다. 세부적으로 들여다 보면 클리앙, 딴지일보, 보배드림 등의 게시판에서 주로 활동하는 당원들이 우원식, 김용민, 김영배의 기호에서 따온 337을 북유게, 트위터 등지에서 활동하는 당원들이 홍영표, 강병원, 전혜숙의 기호에서 따온 114를 밀고 있다. # 결과적으로 두 라인의 당대표 후보들은 낙선했고 최고위원 후보들은 모두 당선되었다.

민주당 전국대의원은 각 지역구 국회의원과 지역위원장과 지자체장, 당규상 권리당원 총회를 통해 선출된 이들이다. 또 당직자와 각 의원실 보좌진 일부가 대의원에 포함된다. 이미 현실 정치를 경험해본 만큼 정무적인 판단을 하거나 조직투표를 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 권리당원은 2015년 말, 안철수계가 민주당을 탈당한 이후 들어온 이들이 대부분이다. '문자폭탄' 등 적극적인 의사표시를 하는 이른바 '친문 강성당원'이 이쪽에 해당한다. 이들은 '몰표'를 주는 경향이 적지 않다. 각 후보들이 문재인 대통령과의 관계를 다시금 내세우는 것도 이러한 선거권자 지형과 연관이 있다.

송영길 당대표 후보는 우원식·홍영표 후보와 달리 계파색이 옅은 편이다. 전대협 등 학생 운동권 출신인 86그룹과 가깝다고는 하지만 뚜렷한 계파는 없다. 반면 우원식 후보는 김근태계인 민평련에 속해있고, 홍영표 후보는 대표적 친문 모임인 부엉이모임을 이끌던 인사다.

송 후보는 그동안 언론 인터뷰와 방송 토론회에서 "두 분 원내대표가 잘 했으면 민주당이 이렇게 참패를 했겠는가"라며 "원내대표를 해보신 두 분이 아닌 당 지도부를 해보지 않은 제가 해야 쇄신의 의미가 있을 것"이라며 직격탄을 날리고 있다. 우 후보와 홍 후보가 각각 문재인 정부 초기에 각각 민주당 원내대표를 지낸 것을 꼬집은 셈이다.

반면 우 후보와 홍 후보는 송 후보의 '계파 없음'이 곧 리더십에 대한 의문이라고 공격하고 있다. 홍 후보는 전준위에서 송영길 후보가 탈당자들의 복당 감산조항을 줄여달라고 요청했다는 비난을 시도한다. 송 후보가 부정하자 라디오 토론과 이후의 합동토론회에서 재차 비난하나, 전준위로부터 사실이 아니라는 공문을 받아 망신을 당한다. 그간 호남 여론조사에서 열세를 보인 홍 후보측의 네거티브 공세라는 평가를 받는다.

3. 일정

===# 지역 합동연설회 #===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광주·전남·제주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전북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대전·세종·충남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충북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부산·울산·경남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대구·경북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강원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수도권

===# TV 토론회 #===

4. 출마 후보군

4.1. 당대표

4.1.1. 홍영표 (4선)

<col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홍영표 (洪永杓)
파일:더불어민주당 홍영표.jpg
출생 1957년 4월 30일 ([age(1957-04-30)]세)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부안면
현직 제21대 국회의원 (인천광역시 부평구 을)
슬로건 혁신, 단결, 승리
믿는다! 홍영표
송영길과 마찬가지로 2020년 전당대회에서 출마 의사를 내비쳤으나, 최종적으로는 이낙연 전 총리를 지지하며 불출마를 선택했다. 개혁국민정당 출신으로, 정치 초년기는 이해찬 혹은 한명숙 전 총리의 측근으로 경력을 쌓았다. 낙천과 낙선을 반복하는 어려움을 겪다가, 2009년 4·29 재보궐선거에서 승리하며 인천 부평구 을에 지역적 기반을 구축했다. 당시 손학규계가 최원식을 전략공천하려 한 데 맞서 이 인물을 공천한 지도부가 송영길이었다는 점에서, 이후 두 사람이 같은 지역 기반을 두고 당권을 경쟁하게 된 상황은 아이러니하다는 평가도 있다. 애초에 인천을 지역구로 둔 정치인이 두 명이나 전당대회에 출마한 사례는 전례가 드물기도 하다.

제18대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는 ‘담쟁이 캠프’ 내부 분쟁 조율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받았으나, 이후 안철수를 비망록을 통해 공개 비판하며 대표적인 친문 정치인으로 자리매김했다. 원내대표 재임 시기에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개혁 과제였던 공수처 설치법과 검경 수사권 조정 법안을 놓고 자유한국당과 격렬한 대치 끝에 패스트트랙 안건 지정에 성공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4.1.2. 송영길 (5선)

<col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송영길 (宋永吉)
파일:100147796.jpg
출생 1963년 3월 21일 ([age(1963-03-21)]세)
전라남도 고흥군 대서면 화산리
현직 제21대 국회의원 (인천광역시 계양구 을)
슬로건 다시, 시작! 다시, 더불어!
준비된 당대표 송영길
2020년 전당대회 출마를 준비하는 듯했으나, 결국 이낙연 전 총리를 지지하며 출마 의사를 접었다. 본래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에게도 직설적인 비판을 아끼지 않았던 통합주의자로, 계파색이 뚜렷하지 않다. 다만, 대통합민주신당 창당 당시 당내 위기에 몰린 친노 세력을 설득하여 합류를 이끈 바 있어 비노·비문으로 분류하기도 어려운 측면이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에는 관계가 원만해 범친문으로 분류되기도 했으나, 전당대회 과정에서는 "소신파의 목소리도 들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당내 다양한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해 왔다. 이는 이견 표출을 자제하고 조용한 정당을 지향했던 이해찬 체제와는 다른 노선으로 평가된다. 본인 역시 초·재선 시절부터 대통령에 대해 옹호와 비판을 병행해온 만큼, 공정한 시각을 유지해 왔다는 자부심이 강하다.

인천광역시장을 지낸 바 있으며, 호남권 유력 대권 주자로 꾸준히 거론되어온 중진 정치인이다. 실제로 2018년 전당대회에서는 중진 김진표 의원을 제치고 2위를 차지한 바 있다.

한반도 평화정책에 있어서는 경쟁 후보들과 유사한 입장을 견지하지만, 관련 외교 경력에서 가장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러시아 특사로 임명되었으며, 북방경제협력위원장을 맡아 중국·러시아와의 대화를 주도했다. 현재는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 중이다.

산업정책 측면에서는 김근태계인 우원식원내대표가 한미FTA에 반대하며 열린우리당 탈당에 참여한 것과 달리, 그는 대외무역 옹호에 가까운 입장을 취해왔다. 실제로 FTA에 반대했던 김근태 전 의장과 공개적으로 논쟁을 벌였으며, 노무현 정부 당시 FTA 다각화 추진에 협조하는 조건으로 개성공단 합법화, ISD 남용 억제 등의 조항을 제안하기도 했다.

계파에 얽매이지 않는 정치인으로, 당내 갈등이 심화될 때마다 인적 청산보다는 통합을 강조해 왔다. 개혁국민정당이 민주당을 부패정당, 지역주의 정당이라 비난할 때에도, 개혁당을 포함하는 통합신당 구성을 주장했으며, 반대로 열린우리당 출범 이후 잔류 민주당계 인사들이 친노계 인사를 선별해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을 때에도 친노 전반의 수용을 설득한 일화는 널리 알려져 있다.

4.1.3. 우원식 (4선)

<col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우원식 (禹元植)
파일:240726_우원식 국회의장_공식프로필.png
출생 1957년 9월 18일 ([age(1957-09-18)]세)
서울특별시 성동구
현직 제21대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노원구 을)
슬로건 민생으로 정면돌파! 다시, 국민 속으로!
2020년 전당대회에서 당대표 출마를 모색했으나 끝내 뜻을 접었다. 더불어민주당 제3대 원내대표를 역임했으며, 민평련계 인사로 오랫동안 손학규 지지를 견인해온 핵심 인물이다. 2016년까지는 손학규계로 분류되었으나,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구 김근태계가 당내 진보세력으로 포섭되면서 노선을 같이하게 되었다.

친문계와는 갈등 없이 협력해왔으나, 명확히 친문으로 분류되지는 않아 통상 비문 혹은 범친문으로 분류된다. 당내에서는 진보 성향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하나로, 특히 분배와 노동 문제에 대한 꾸준한 발언으로 주목받아왔다. 본인이 주도한 을지로위원회의 활동은 민주당 내에서 실질적 진보 정책의 대표 사례로 자주 언급된다.
====# 예비후보자 #====
당대표 경선후보자가 4명 이상일 경우 예비경선을 거쳐 3명을 후보자로 선출하도록 하는 규정에 따라 2021년 4월 18일 당대표 후보자 예비경선을 실시하였다. 개표 결과 송영길, 우원식, 홍영표 후보가 최종 3인으로 결선에 진출하였다. 득표 수와 순위는 공개하지 않았다.[2]

=====# 정한도 (現 용인시의원) #=====
<col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정한도 (鄭漢道)
파일:정한도시의원.jpg
출생 1991년 12월 31일 ([age(1991-12-31)]세)
경상남도 합천군
현직 제8대 용인시의회 의원
슬로건 확실한 변화!
민주당, 변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용인시의원으로 제20대 국회 시절 표창원 의원 지역사무실 인턴을 지냈다. 만 29세로 당 대표 후보와 최고위원 후보 전체에서 최연소이며 민주당의 변화를 피력하면서 당에 청년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나섰다고 출마의 변을 밝혔다. 그러나 2021년 4월 18일 당 대표 예비경선에서 4위로 조기 탈락하였다.

4.2. 최고위원

4.2.1. 강병원 (재선)

<col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강병원 (姜炳遠)
파일:강병원(더불어민주당).jpg
출생 1970년 3월 16일 ([age(1970-03-16)]세)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아산면 중월리 상복마을
현직 제21대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은평구 을)
슬로건 개혁은 확실하게! 민생은 철저하게!
변화의 시작! 강병원
4월 15일 출마를 선언했다. 홍영표 당 대표 후보가 원내대표였던 시절 원내대변인으로 호흡을 맞췄던 일도 있고 처음으로 최고위원 출마 의사를 밝혔다.

4.2.2. 황명선 (現 논산시장)

<col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황명선 (黃明善)
파일:893926_120136_3935.jpg
출생 1966년 9월 9일 ([age(1966-09-09)]세)
충청남도 논산시
현직 충청남도 논산시장
슬로건 현장의 힘으로 승리하는 2022
기초부터 다시! 황명선
4월 15일 출마를 선언했다. 지난 전당대회 때의 염태영 수원시장과 같은 지자체장 후보이다. 2018년 전당대회에 최고위원 후보로 출마했으나 후보 8명 중 꼴찌로 낙선한 바 있다.

4.2.3. 김용민 (초선)

<col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김용민 (金容民)
파일:김용민 국회의원.jpg
출생 1976년 6월 5일 ([age(1976-06-05)]세)
서울특별시 강북구
현직 제21대 국회의원 (경기도 남양주시 병)
슬로건 유능한 개혁! 강한 민주당!
지금! 김용민이 필요합니다

4.2.4. 전혜숙 (3선)

<col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전혜숙 (全惠淑)
파일:전혜숙(정치인).jpg
출생 1955년 5월 5일 ([age(1955-05-05)]세)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현직 제21대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광진구 갑)
슬로건 민주당 지킨 사람, 문재인 지킬 사람
400만 민주당원의 4번타자
4월 18일에 출마를 선언했다. 친문, 이낙연계로 분류된다. 출마 선언에서도 "당의 단결과 혁신, 정권 재창출에 헌신하겠다"며 문재인 대통령을 지킬 것이라고 밝혔다.

4.2.5. 서삼석 (재선)

<col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서삼석 (徐參錫)
파일:서삼석(더불어민주당).jpg
출생 1959년 8월 3일 ([age(1959-08-03)]세)
전라남도 무안군 현경면 평산리
현직 제21대 국회의원 (전라남도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슬로건 민주당을 소금처럼! 호남 단일 후보
전봇대 최고위원 서삼석
4월 15일 출마를 선언했다. 전라남도 출신 전봇대 최고위원 되겠다고 밝혔다.

4.2.6. 백혜련 (재선)

<col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백혜련 (白惠蓮)
파일:백혜련(경기 수원 을).jpg
출생 1967년 2월 17일 ([age(1967-02-17)]세)
전라남도 장흥군
현직 제21대 국회의원 (경기도 수원시 을)
슬로건 민생중심! 승리하는 개혁!
백마디 말보다 백혜련
4월 15일 국회 소통관에서 출마 선언했다. # 김어준의 다스뵈이다 등 다수 진보 성향 유튜브 매체에 자주 출연해 인지도 면에서는 강점으로 작용할 듯하다. 검사·시민운동·노동운동가 출신으로 더불어민주당 내 진보파로 분류된다.

4.2.7. 김영배 (초선)

<colbgcolor=#004ea2>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김영배 (金永培)
파일:100152854.jpg
출생 1967년 2월 17일 ([age(1967-02-17)]세)
정부 직할 부산시 (現 부산광역시)
현직 제21대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성북구 갑)
슬로건 흔들리지 않게, 새롭게!
4월 15일 최고위원 출마선언을 했다. 문재인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조정비서관을 한 만큼 범 친문으로 분류된다.

5. 여론조사

머니투데이-PNR리서치 2021년 4월 18일[오차범위_±3.1%P]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적합도
송영길 홍영표 우원식 그외 인물 없음 잘모름·무응답
13.9% 12.8% 9.7% 9.2% 34.6% 19.9%
JTBC-리얼미터 2021년 4월 18일[오차범위_±3.1%P]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적합도
송영길 홍영표 우원식 기타 없다 잘모름
12.7% 12.0% 7.9% 8.1% 35.1% 22.3%

6. 결과

파일:더불어민주당 아이콘2.svg 더불어민주당 임시전국대의원대회

6.1. 당대표 선거

<rowcolor=#fff> 기호 성명 투표 여론조사 총 득표율(%) 순위 비고
<rowcolor=#fff> 전국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10%),
일반당원
,(5%),
1 홍영표 33.47%
,4,808표,
36.62%
,108,709표,
37.36% 31.41% 35.01% 2위 낙선
2 송영길 34.97%
,5,023표,
35.95%
,106,729표,
34.70% 40.38% 35.60% 1위 당선
3 우원식 31.56%
,4,534표,
27.43%
,81,447표,
27.94% 28.22% 29.38% 3위 낙선
비교적 싱거운 결과였던 2018년, 2020년 전당대회와는 달리 송영길 후보가 홍영표 후보를 접전 끝에 겨우 0.59%P차로 힘겹게 꺾고 당선되었다.

예상대로 반영률이 높은 전국 대의원 투표에서 송영길 당선인이 1위를 차지하긴 했으나 홍영표 후보와 아주 적은 격차였고, 권리당원 투표에서는 역으로 홍영표 후보가 송영길 당선인을 앞섰지만 역시 예상보다는 차이가 적었다. 여론조사에서도 일반국민을 상대로는 홍영표 후보가, 일반당원을 상대로는 송영길 후보가 앞서는 각축전이 벌어진 끝에 겨우 송영길 당선인이 승리할 수 있었던 것.

6.2. 최고위원 선거

<rowcolor=#fff> 기호 성명 투표(1인 2표) 여론조사 총 득표율(%) 순위 비고
<rowcolor=#fff> 전국대의원
,(45%),
권리당원
,(40%),
일반국민
,(10%),
일반당원
,(5%),
1 강병원 14.64%
,4,206표,
20.24%
,120,170표,
17.23% 17.48% 17.28% 2위 당선
2 황명선 14.67%
,4,215표,
6.87%
,40,805표,
10.84% 9.15% 10.89% 7위 낙선
3 김용민 12.42%
,3,568표,
21.59%
,128,207표,
23.87% 22.28% 17.73% 1위 당선
4 전혜숙 13.88%
,3,987표,
11.20%
,66,527표,
10.23% 11.5% 12.32% 5위 당선
5 서삼석 13.60%
,3,906표,
9.95%
,59,077표,
5.87% 8.48% 11.11% 6위 낙선
6 백혜련 16.45%
,4,726표,
17.44%
,103,543표,
19.81% 17.04% 17.21% 3위 당선
7 김영배 14.35%
,4,122표,
12.71%
,75,441표,
12.17% 14.08% 13.46% 4위 당선
이낙연 지지층(강병원, 전혜숙)과 이재명 지지층(김용민, 김영배)이 적극 지지했던 후보들이 모두 최고위원에 당선되면서 더불어민주당 내 친문 세력의 분화가 표면화되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 와중에 개인 지명도가 최고위원 후보들 중 가장 높은 편인 김용민 후보가 총 득표율 17.73%으로 1위를 차지했다.

한편 유일한 호남 지역구 후보였던 서삼석 후보와 기초자치단체장 후보였던 황명선 후보가 낙선하고 모두 수도권 지역 현직 국회의원이 최고위원이 되면서 다양성 면에서는 지난 전당대회보다는 떨어지게 되었다.

7. 총평

한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새 인물, 혁신, 흥행이 없는 3무(無)전당대회라고 혹평했다. #

총선 압승의 분위기를 타고 대선주자급인 이낙연 전 총리, 김부겸 총리 등이 당대표 선거에 출마해 흥행을 주도했던 지난 전당대회와 달리 재보궐선거 완패 후 산만한 당 분위기 속에서도 홍영표, 우원식 전 원내대표, 송영길 전 인천광역시장 등 익숙한 인물들 뿐 새로운 바람을 일으킬만한 후보가 나오지 않은데다가 최고위원 선거 역시 이낙연계와 이재명계의 계파 대리전 양상이 되면서 크게 흥행을 일으키진 못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직후 시기에 치러진 제1야당 국민의힘 1차 전당대회이준석이라는 젊은 정치인이, 호불호와는 별개로 돌풍의 중심으로 떠오르면서 크게 흥행하고 있는 것과 대조되고 있는데 더불어민주당 역시 재보궐선거 패배 이후 쇄신을 말하면서도 그 쇄신론을 받아세울 인물이 나타나지 않은 것이 상대적인 부진의 이유가 되었다.

8. 사건 사고

8.1.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 사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당원들 입장에서야 자기 권리를 뺏기는 거고, 당권주자들 입장에서도 최고위 장악력이 크게 떨어지는 식물 대표가 된다는 소리니 좋을 리가 없다.[2]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에서는 예비경선에서의 득표 수, 순위와 같은 집계현황은 공개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오차범위_±3.1%P] [오차범위_±3.1%P] [5] 더불어민주당으로 바꾸고 난뒤에 치른 전당대회 중 역대 최고 투표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