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18:39:59

도나 디건

<colbgcolor=#0044c9><colcolor=#ffffff> 잭슨빌 시장
도나 디건
Donna Deegan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성명 도나 엘리자베스 하주리 디건
Donna Elizabeth Hazouri Deegan
출생 1961년 2월 28일 ([age(1961-02-28)]세)
미국 플로리다잭슨빌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정당

학력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 / B.S)
가족 배우자 케빈 루이스 (이혼), 댄 히켄 (이혼), 팀 디건
사촌 토미 하주리
경력 제9대 잭슨빌 시장 (2024~현직)
1. 개요2. 생애
2.1. 정계 입문 후
3. 선거 이력4. 여담

1. 개요

미국의 정치이자 현직 플로리다주 듀발 카운티의 잭슨빌 시장이다.

2. 생애

디건은 1961년 2월 28일, 플로리다주 잭슨빌에서 태어났다. 부계가 레바논 혈통을 가지고 있는데, 디건의 고증조부가 약 1905년경 레바논에서 이민을 왔기 때문. 이후 잭슨빌 남부 지역에서 성장했으며, 1979년에 비숍 케니 고등학교을 졸업하고 플로리다 주립대학교로 진학해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1984년, 탤러해시의 ABC 계열 지역 방송인 WTXL-TV에서 아침 뉴스 앵커로 언론 경력을 시작했다. 이듬해에는 포트 피어스의 WTVX에서 웨스트팜 지국장으로 발탁되었고, 이후 웨스트팜비치의 WPEC에서 아침 및 정오 뉴스 앵커로 1988년 8월까지 활동했다.

그 후 고향인 잭슨빌로 돌아와 WTLV 방송국에서 주말 뉴스 앵커로 자리를 옮겼으며, 1993년부터는 오후 뉴스 메인 앵커를 맡아 지역 뉴스의 얼굴로 자리매김했다. 앵커 활동과 함께 언론인으로서의 영향력도 인정받아, 잭슨빌 비즈니스 저널이 수여한 영향력 있는 여성상(2004)을 비롯해 다수의 언론인상을 수상하며 이름을 알렸다.

2.1. 정계 입문 후

2019년, 다음해 있을 하원의원 선거에 출마를 선언하며, 플로리다 4구[1]에서 공화당 현역 의원인 존 러더포드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 선거구는 전통적으로 공화당이 강세를 보여온 보수 성향 선거구로, 디건은 민주당 후보로서 강력한 인지도를 기반으로 지역 외연 확장을 시도했으나, 38.9% 득표에 그치며 패배했다.

선거운동 기간 동안 보건의료 개혁, 기후 변화 대응, 총기 폭력 방지를 3대 핵심 의제로 내세웠다. 언론인 출신으로서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유방암 생존자로서의 사회운동 이력은 진보 성향 유권자에게는 긍정적 반응을 얻었으나, 지역 전반의 강한 보수 성향을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대선과 함께 치러진 이 선거에서 당시 민주당 대선후보였던 조 바이든 대통령이 같은 선거구 기준으로 21%p 차이로 패배한 반면, 디건은 러더포드에게 22%p 차이로 패배하며 바이든보다도 다소 낮은 득표율을 기록하며 개인 경쟁력도 입증하지 못했다.

낙선 이후인 2021년 11월, 앞서 공화당 레니 커리 시장이 2015년부터 자리를 지키고 있던 잭슨빌 시장 선거 출마를 일찌감치 선언했다. 후보 등록 이후 예비선거를 앞둔 여론조사에서는 줄곳 30%대 후반 이상의 득표율로 1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고, 공화당의 대니얼 데이비스 잭슨빌 상공회의소 회장과 함께 본선에 진출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2023년 3월 21일에 열린 예비선거에서 39.4%를 기록하며 예상대로 1위를 차지, 24.7%를 득표한 공화당 대니얼 데이비스 후보와 함께 본선으로 진출했다. 4월 3일, 데이비스측에서 디건이 2020년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 이후 잭슨빌에서 열린 모든 Black Lives Matter 주도 항의 시위에 참석했다는 내용의 네거티브 광고를 내보냈다. 이에 대해 디건은 해당 광고가 인종적으로 민감한 내용을 담고 있다며 비판했고, 자신은 상대 후보에 대한 네거티브 광고를 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결국 5월 16일 열린 본선 투표에서 52.1% 득표를 기록하며 공화당 데이비스를 꺾고 승리, 7월 1일 시장직에 공식 취임했다. 선거 당시 잭슨빌은 공화당 소속 시장이 있는 미국 최대 도시였는데 디건의 당선으로 이 타이틀은 텍사스주 댈러스로 넘어갔다. 디건은 잭슨빌 역사상 최초의 여성 시장이자, 12년 만에 당선된 민주당 시장이라는 상징적 인물이 되었다.

3.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20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플로리다 4구

196,423 (38.90%) 낙선 (2위)
2023 잭슨빌 시장 선거 플로리다 잭슨빌 113,226 (52.08%) 당선 (1위) 초선

4. 여담





[1] 잭슨빌 다운타운을 포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