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0 11:58:51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갑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양주시/정치
#!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제22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수원 갑 수원 을 수원 병 수원 정
김승원 백혜련 김영진 김준혁
수원 무
염태영 김태년 이수진 안철수
김은혜 박지혜 이재강 강득구
부천 갑 부천 을
민병덕 이재정 서영석 김기표
부천 병 광명 갑 광명 을 평택 갑
이건태 임오경 김남희 홍기원
평택 을 평택 병
이병진 김현정 정성호 김성원
고양 갑
양문석 김현 박해철 김성회
고양 을 고양 병 고양 정
한준호 이기헌 김영환 이소영
구리
윤호중 최민희 김병주 김용민
오산 시흥 갑 시흥 을 군포
차지호 문정복 조정식 이학영
하남 갑 하남 을 용인 갑 용인 을
추미애 김용만 이상식 손명수
용인 병 용인 정 파주 갑 파주 을
부승찬 이언주 윤후덕 박정
이천 안성 김포 갑 김포 을
송석준 윤종군 김주영 박상혁
화성 갑 화성 을 화성 병 화성 정
송옥주 이준석 권칠승 전용기
광주 갑 광주 을
소병훈 안태준 김용태 김선교
}}}
비례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파일:국회휘장.svg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갑
남면과 은현면을 제외한 양주시 전역
東豆川市·楊州市·漣川郡 甲
Dongducheon-Yangju-Yeoncheon A
}}}
<nopad> 파일:국회선거구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갑.svg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218,378명 (2024)
상위 행정구역 경기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양주시 일부
백석읍, 광적면, 장흥면, 양주1동, 양주2동, 회천1동, 회천2동, 회천3동, 옥정1동, 옥정2동
신설년도 2024년
이전 선거구 양주시
국회의원
파일:zsdkl3gasdg.svg
정성호

1. 개요2. 역사3. 역대 국회의원 명단과 역대 선거 결과4. 기타

1. 개요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 신설된 지역구. 현재 이곳의 국회의원은 제17대 국회부터 18대 국회를 제외하고 지금까지 양주시에 쭉 당선된 5선의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성호 의원이다.

기존 동두천시·연천군 선거구가 인구 하한선 미달에 따라 양주시 선거구와 합구되었으며, 기존 양주시 선거구에서 양주시 남면과 은현면을 제외한 전 지역을 승계하며 신설되었다.

사실상 양주시 선거구의 이름만 바꾼 것이 때문에 똑같이 민주당계 정당의 지지세가 매우 강한 지역 중 한 곳이다.

2. 역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개편으로 인해 양주시 은현면, 남면이 동두천시·연천군 선거구에 편입되면서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을 선거구를 이루게 되었다. 이에 양주시의 남은 지역들이 하나의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신설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명단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총선 당선인 당적 임기
제22대 정성호
파일:zsdkl3gasdg.svg
2024년 5월 30일 ~ 현재

3.1.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갑
남면과 은현면을 제외한 양주시 전역[1]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성호(鄭成湖) 82,186 1위

파일:zsdkl3gasdg.svg
60.26% 당선
2 안기영(安基榮) 54,183 2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39.73% 낙선
선거인 수 218,378 투표율
63.12%
투표 수 137,841
무효표 수 1,472
||<-8><tablealign=center><bgcolor=#152484><tablebordercolor=#152484><tablebgcolor=#fff,#191919> 22대 총선 경기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갑 개표 결과 ||
<colbgcolor=#eee,#353535>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 정성호 안기영
득표수
(득표율)
82,186
(60.26%)
54,183
(39.73%)
+28,003
(△20.53)
137,841
(63.12%)
양주1동[A] 50.66% 49.33% △1.33 68.18
양주2동[B] 60.18% 39.81% △20.37 62.22
회천1동[C] 55.50% 44.49% △11.01 60.57
회천2동[D] 60.18% 39.81% △20.37 57.88
회천3동[E] 61.39% 38.60% △22.79 62.22
옥정1동[F] 62.33% 37.66% △24.67 57.75
옥정2동[F] 67.70% 32.29% △35.41 60.26
백석읍 51.48% 48.51% △2.97 59.98
광적면 49.94% 50.05% ▼0.11[9] 61.82
장흥면 45.81% 54.18% ▼8.37 60.10
후보 정성호 안기영 격차
거소·선상투표 58.14% 41.85% △16.29
관외사전투표 66.81% 33.18% △33.63
재외투표 81.26% 18.73% △62.53
파일:지상파 방송3사 출구조사 로고.svg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갑 출구조사 결과
<colbgcolor=#eee,#353535> 후보 정성호 안기영 격차
전체 62.1% 37.9% 24.2%p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22대 총선 정성호 벽보.jpg 파일:22대 총선 안기영 벽보.jpg }}}}}}}}}
국민의힘에서는 양주시 선거구를 전제로 2024년 2월 21일 박종성 전 자원봉사센터장, 안기영 전 도의원의 경선을 결정했는데 2024년 2월 29일 선거구획정안 통과 후 경선이 치러졌다. 경선 결과 김성수 의원 보좌관이었던 안기영 전 도의원이 승리하여 공천을 받게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친명 좌장이자 4선 의원인 정성호 의원을 2024년 3월 1일 단수공천했다. 정성호의 기반이 양주시였기에 기존 양주시 지역구에서 남면, 은현면만 빠진 본 지역구에 공천된 것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지지세가 낮았던 남면과 은현면이 빠졌기 때문에 정 의원과 민주당에 더 유리해진 것 또한 사실이다.

이렇게 되면서 4년 전 양주시 선거구리턴매치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다만 은현면과 남면이 빠졌기에 민주당 우위 구도가 강화되었고 윤석열 정부 3년 차에 국민의힘이 치르는 첫 선거이기에 4년 전인 문재인 정부 후반기에 이루어진 선거와는 다소 형세가 달라지게 되었다.

개표 결과, 지난 선거와 마찬가지로 민주당 정성호 의원이 압승했다. 민주당 지지세가 상대적으로 약했던 남면과 은현면이 빠졌기 때문에 더 수월한 선거가 됐다. 그 결과 이번에도 광적면과 장흥면을 제외한 전 지역이 과반을 넘기면서 정성호 의원이 여유롭게 5선에 성공했다.

4. 기타


[1] 양주1동, 양주2동, 회천1동, 회천2동, 회천3동, 옥정1동, 옥정2동, 백석읍, 광적면, 장흥면[A] 법정동 유양동 · 남방동 · 마전동 · 어둔동 · 산북동. 양주시청이 있는 동네.[B] 법정동 광사동 · 고읍동 · 만송동 · 삼숭동. 고읍지구로 조성된 동네.[C] 법정동 덕정동(일부) · 봉양동. 덕정역이 있는 양주시의 원도심 지역이자, 농촌 미개발 지역이 포함된 동네.[D] 법정동 덕계동 · 회정동. 회천신도시로 조성된 동네.[E] 법정동 덕정동(일부) · 고암동. 경동대학교 메트로폴캠퍼스가 있는 동네.[F] 옥정신도시로 조성된 동네.[F] [9]6표 차이였다.[10] 만약 동두천시, 포천시, 연천군, 가평군이 같은 선거구가 된다면 상한선에 근접하거나 넘을 수 있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가평군을 남양주시 쪽으로 옮겨서 특례 선거구를 구성해야 한다.[11]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에서는 '동두천시·양주시 갑/을' / '포천시·연천군·가평군' 안을 내놓았으나 후자의 면적이 과도하다는 의견이 있어서 '동두천시·양주시·연천군 갑/을'로 획정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