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6:11:42

두은점

고려 건국설화의 등장인물 가계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경
강충의 어머니(전처) | 평나산신(후처)
강충
구치의
이제건 보육(손호술)
덕주
덕주
보육
진의
당숙종
진의의 언니 작제건
저민의(서해용녀)
강씨부인 용건
몽부인(성모천왕)
왕평달
도선 왕건 왕식렴
아랫첨자는 배우자를 나타낸다.
보라색 바탕은 혈연 관계가 없는 인물.
}}}}}}}}}

파일:고구려 군기.svg
평주 각간
두은점
豆恩坫
품계 각간(角干)[1][2]
성씨 두(豆)
이름 은점(恩坫)
별호 서해용왕(西海龍王)
저민의(翥旻義)
외손자 왕륭(王隆)
왕평달(王平達)
외증손자 왕건(王建)
왕식렴(王式廉)
출신지 평주(平州)[3]
생몰 ? ~ ?

1. 개요2. 고구려 유민3. 여담4.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신라에서 활동한 고구려 유민 출신의 유력자.

왕건의 조부인 작제건의 장인. 즉 왕건의 진외증조부다. 신라가 통치했던 원(原)고구려 영토였던 당시 패서(浿西)의 중심지 가운데 하나였던 평주의 고구려계 호족으로, 관직각간이라고 하여 보통 두은점각간이라 불린다. 설화에선 원창왕후의 아버지가 용왕이라고 전해진다. 두은점의 딸이 원창왕후(용녀)로, 왕건(태조)의 조부인 작제건과 결혼하여 왕륭을 낳는다. 다른 설화에서 왕건의 외가쪽 친척이 용왕이라 고려 왕실은 의 후예라는 전설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고려 초기 평주를 기반으로 한 호족으로는 유금필박지윤[4] 등이 있었다.

설화이기는 하지만 용왕(龍王)이라고 불릴 정도로 후삼국시대 이전의 당대 호족들 가운데 세가 강했던 패서 일대의 유력자로 추정된다. 비슷한 시기 고구려계 호족으로 상당한 부를 축적했다고 전해지는 강호경(康虎景)과 그의 후손인 신천 강씨 등이 있었다. 이들 모두 왕건고려 왕실의 조상들이다.

2. 고구려 유민

고구려의 두씨 가문으로는 두은점 외에도 고구려 말기 무장이었던 두방루(豆方婁)가 있다. 두방루는 658년 당나라가 고구려의 적봉진(赤烽鎭)[5]을 공격했을 때 반격차 출전했던 고구려 장수였다. 또 다른 인물로 두선부(豆善富)가 있으며, 두방루와 마찬가지로 무장으로 활약한 고구려인이었지만 그의 활동 무대가 고구려가 아닌 당나라라는 차이가 있다. 그의 묘지명에서 전하기로는, 선대인 두졸(豆卒)이 고구려의 동료 장수를 죽여 그 수급을 당나라에 바치면서 귀부한 것이 계기라고 한다. 이와 같이 여러 인물들의 흔적으로 보건대, 두은점이 속했던 두씨 가문은 고구려의 유력 민호(民戶)로, 고구려 귀족층에 속했던 것으로 추정된다.[6][7]

고구려의 멸망을 전후로 이들 두씨 가문 중 일부는 패서(浿西) 일대에 자리 잡으며 근거지를 마련했거나, 기존 대곡군(大谷郡)[8] 일대의 유력자들로서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기 위한 기반이 일찍이 마련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선대의 활동 무대를 살펴볼 때, 전자의 경우처럼 패서로 남하했을 확률이 더 크다고 추측된다.

이러한 출신 배경을 가진 두은점과 그의 선대는 고연무를 위시로 한 왕족 계통의 고씨들, 혹은 패서에 일찍이 자리 잡은 귀족 계통의 왕씨들[9]처럼 고구려 유민 사회에서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며 일대를 간접적으로 장악했던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황보제공, 유천궁 등과 같은 고구려계 호족이나 박지윤 같은 신라 출신 패서 호족들의 등장 이전까지 말이다. 하여 설화의 형태로만 그 배경이 전해지는 동류의 발해-고구려계 유민인 강호경의 강씨(康氏)들과 달리, 두씨 가문은 명확한 기록으로 귀족적 배경이 증명된 만큼 신라 내 고구려인 사회에서 설화상으로 전해지는 바처럼 용왕(龍王) 내지는 각간(角干)으로 통하는 유력자였을 것이다. 특히 서해의 용녀(龍女)로 알려진 그의 딸 저민의 또한 실제 성이 두씨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10]

3. 여담

4. 같이 보기




[1] 실제 관직이 아닌 일대 유력자로서 자처한 것일 가능성이 크다.[2] 당시 신라 내의 고구려인들은 신라의 관직 혹은 품계를 받는 등 상당 부분 신라 문화의 영향을 받고있었다. 반대 예시로는 평주 일대의 대모달을 자처한 신라 출신의 박직윤이 있다. 대모달은 고구려의 옛 품계명이었다. 이처럼 고구려 유민사회에서 통용되던 여러 문화적 단층들이 혼재하는 당대의 복잡한 양상을 유추해볼 수 있다.[3] 고구려 멸망 직전 고구려의 삼경(三京) 가운데 하나였던 한성(漢城)과 함께 신라에 귀부한 대곡성(大谷城)이 있던 곳이다. 같은 고구려 유민 출신으로 후삼국시대의 명장으로서 이름을 떨친 유금필과 평주 호족 박지윤의 아들인 박수문의 출신지이기도 하다.[4] 박지윤의 선대는 본래 신라인으로, 평주로 이주해 정착하였다.[5] 오늘날 중국 북부 내몽골 자치구의 지급시인 츠펑시로 추정된다.[6] 두선부 묘지명인 이른바 대당고두부군묘지명(大唐故豆府君墓誌銘)에 따르면, 두씨들은 본래 중원에 위치한 부풍(扶風) 평릉(平陵: 현재 중국 섬서성 보계시 동부 지역)에 연원을 둔 후한말의 충신인 두무(竇武)를 족부(族父)로 내세웠다고 한다. 또한 18세조가 후한대에 안문태수(鴈門太守)를 지낸 두통(竇統)이었는데, 영제(靈帝) 재위기에 두무가 환관들에게 화를 당한 일을 계기로 하여 일족이 북방의 황무지(朔野)로 유망하였고, 그곳에서 자손들이 대대로 거주하였다고 한다. 이후 북위(北魏)가 남천하였을 때 비로소 흘두릉씨(紇豆陵氏)를 사여받았다고 언급하였다. 한편 묘지명에서는 “6세조 보번(步蕃)이 서위(西魏)의 장수로 하곡(河曲)에 주둔하였다가 북제(北齊)신무(神武)에게 격파되어 마침내 고구려(遼海)로 달아났으며 이후 후손들이 가문을 이루고 두씨(豆氏)가 되었다.”고 기술하였다. 『위서(魏書)』권75 이주조(尒朱兆)전의 기록에 의하면 6세조인 흘두릉보번(紇豆陵步蕃)은 북위말 하서 지역에서 활동하다가 북제 고조(高祖)인 고환(高歡)과 이주조(李朱兆)에게 패하여 죽었고 그 무리가 흩어져 도망하였다고 기술되었다. 문헌기록과 더불어 종합하면 흘두릉보번의 사후에 그 일족이 고구려로 망명해온 것이 된다. 즉, 묘지명의 설명대로라면 북위말의 혼란기에 고구려에 넘어온 유이민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7] 단, 삼국에서 당나라로 넘어간 유이민이나 이주민들의 묘지명이 으레 그렇듯이, 조상들을 중원 출신으로 둔갑시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이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당장 흘두릉씨에 대한 설명만 봐도 그렇다. 선비족의 일파인 몰록회부 출신 흘두릉씨들은 5세기에 이르러 북위 효문제의 한화 정책의 영향으로 이미 두씨(竇氏)로 성을 바꾼 바가 있는데, 후한말 대의 인물인 두통(竇統)의 자손들이 흘두릉씨를 사여받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더군다나 굳이 서위에서 북제를 경유해 고구려로 달아난 경위가 영 시원치 않은 것이, 두씨 일가가 기록 조작을 통해 한인(漢人) 명문(名門)으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족보 내의 설정들을 억지로 끼워맞춘 흔적들이 보인다. 이런식의 가문 단위 숭조 사업은 같은 고구려 유민 출신인 고목로(高木盧), 유원정(劉元貞), 남단덕(南單德), 왕경요(王景曜) 등의 묘지명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당장 신라에서도 당나라 황실의 후손을 자처한 고려 왕실의 사례가 있다.[8] 고구려 멸망 직전 고구려의 삼경(三京) 중 하나인 한성(漢城)과 함께 신라에 항복한 패수(浿水) 이남의 2군(郡) 12성(城)에 속했던 지역이다.[9] 왕륭[10] 자세한건 작제건, 원창왕후, 성원록 일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