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17:06:47

원창왕후

저민의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추존 왕후
<rowcolor=#670000> 국조 후 의조 후 세조 후 대종 후
1
정화왕후
1
원창왕후
1
위숙왕후 한씨
1
선의왕후 류씨
<rowcolor=#670000> 안종 후 강종 후 원종 후 공민왕
1
효숙왕후 황보씨
1
사평왕후 이씨
1
순경왕후 김씨
4
왕대비 안씨
6
순정왕후 한씨
<rowcolor=#670000> 제후왕비
<rowcolor=#670000> 낙랑군왕비 문원대왕비 정간왕비 조선국왕비
1
죽방부인
2
낙랑공주 유씨
3
왕녀 유씨
1
문혜왕후 류씨
1
정간왕비
1
왕비 이씨
<rowcolor=#670000> 추존 공작비
<rowcolor=#670000> 영헌공 인숙공 인혜공 인효대공
1
순안비 황보씨
1
장경비 박씨
1
명예비 신씨
1
삼한국대비 왕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태조 태후 혜종 태후 [ruby(정종, ruby=定宗)] ~ 광종 태후 경종 태후
정화왕후 장화왕후 신명순성왕태후 대목왕후
원창왕후
위숙왕후
<rowcolor=#670000> 성종 태후 목종 태후 현종 태후 덕종 ~ [ruby(정종, ruby=靖宗)] 태후
태황태후

신정대왕태후
헌애왕태후
(천추태후)
신성왕태후 원성왕태후
효숙왕태후
선의왕태후
왕대비

문화대비
왕대비

순안왕대비
<rowcolor=#670000> 문종 태후 순종 ~ 선종, 숙종 태후 헌종 태후 예종 태후
원혜태후 인예태후 사숙태후 명의태후
<rowcolor=#670000> 인종 태후 의종 태후 명종 ~ 신종 태후 희종 태후
문경태후 공예태후 공예태후 선정태후
왕대비

선평왕후
<rowcolor=#670000> 강종 태후 고종 태후 원종 태후 충렬왕 태후
광정태후
태황태후

원덕태후
안혜태후 순경태후
상황후

성평왕후
<rowcolor=#670000> 충선왕 태후 충숙왕 태후 충혜왕 태후 충목왕 ~ 충정왕 태후
인명태후 계국대장공주 명덕태후 덕녕공주
<rowcolor=#670000> 공민왕 태후 우왕 태후 창왕 태후 공양왕 태후
명덕태후 인덕태후
왕대비

왕대비 이씨
왕대비

왕대비 안씨
순정왕후
국대비

삼한국대비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의조 왕후
원창왕후 | 元昌王后
생몰년 미상
능묘 온혜릉(溫鞋陵)[1]
성씨 두(豆)?
이름 저민의(翥旻義)[B]/용녀(龍女)[C]
부모 부친 - 서해 용왕(西海 龍王)[B]/두은점[C]
배우자 의조
자녀 슬하 4남 1녀[B]
아들 - 세조, 왕평달, 왕씨, 왕씨
딸 - 왕씨
시호 원창왕후(元昌王后)[A][B][C]/경헌왕후(景獻王后)[D]
1. 개요2. 각종 기록
2.1. 태조실록2.2. 편년통록 - 편년강목
2.2.1. 평가
2.3. 이제현 논평 - 성원록2.4. 번외: 세종실록 지리지

1. 개요

고려 왕조의 두 번째 추존왕 의조의 아내.

태조 왕건의 할머니다.

2. 각종 기록

2.1. 태조실록

의조(懿祖)는 경강대왕(景康大王)이라 하고 비는 원창왕후(元昌王后)라 하였으며
- 《고려사》 <고려세계> 태조실록 중.

2.2. 편년통록 - 편년강목

가장 상세한 기록은 의종 대 만들어진 《편년통록》, 충렬왕대 만들어진 《편년강목》에 있다. 문제는 이 기록이 실제 역사보단 설화에 가깝다는 점이다.
고려 건국설화의 등장인물 가계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호경
강충의 어머니(전처) | 평나산신(후처)
강충
구치의
이제건 보육(손호술)
덕주
덕주
보육
진의
당숙종
진의의 언니 작제건
저민의(서해용녀)
강씨부인 용건
몽부인(성모천왕)
왕평달
도선 왕건 왕식렴
아랫첨자는 배우자를 나타낸다.
보라색 바탕은 혈연 관계가 없는 인물.
}}}}}}}}}


신궁(神弓) 작제건은 바다를 건너 서쪽으로 가던 중, 배가 나아가질 않게 됐다. 뱃사람들이 점을 치니 '고(구)려 사람(高麗人)'[11]을 버려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결국 작제건은 활과 화살을 챙겨 한 섬에 내린다.

이 다음부터 《고려사》는 두 버전을 기록했다.

1. 홀로 있던 작제건은 한 노인을 만났다. 그는 스스로를 서해 용왕(西海 龍王)이라고 소개했다. 노인은 늘 밤마다 악한 여우가 '치성광여래상(熾盛光如來像)'으로 변해 주문을 외웠고, 그로 인해 천천히 죽어가고 있었다. 그는 결국 신궁으로 소문난 작제건에게 없애달라고 부탁하기 위해 그를 배에서 내리게 했다.

2. 섬에서 내린 작제건은 섬을 둘러보다가 어떤 길을 찾아냈다. 이 길을 따라가니 한 채의 큰 전각이 있었다. 전각의 문이 열려있어 들어가보니 누군가가 금(金)물로 베껴쓰고 있던 불경이 보였다.

주변은 마치 누군가가 방금까지 쓰고 있었던 것처럼 보였다. 작제건은 이 불경을 마저 쓰기 시작했는데 갑자기 한 여성이 등장해 작제건을 처다보았다. 작제건은 그녀가 관세음보살인 줄 알고 무릎을 꿇고 절했으나 머리를 들자 보이지 않았다. 다시 불경을 베끼고 있자 여성은 다시 나타나 작제건에게 말했다.
"나(我)는 용녀(龍女)요. 오래 경(經)을 써왔지만 지금까지 끝내지 못했소.

낭군(郞君)이 글을 잘 쓰고 활도 잘 쏘니, 군(君)을 배에서 남기어 내(吾) 공덕(功德)을 쌓는 걸 돕고 우리 집안의 어려움을 풀어주길 바라오.

그 어려움이 무엇인지는 7일이 지나면 알게 될 것입니다."
- 《고려사》 <고려세계> 중.

두 이야기는 결국 내용은 같다. 다만 작제건을 남긴 주체가 서해 용왕인지 서해 용녀인지에 차이가 있을 뿐이다. 어쨌든 작제건은 부처인 척 하는 늙은 여우를 쏘아 죽였고, 용녀 저민의와 결혼한 뒤 용왕에게 칠보(七寶)와 돼지 한 마리를 받고 의기양양하게 돌아온다.

사람들은 작제건과 서해 용녀가 온 것을 보고 개주(開州), 정주(貞州), 염주(塩州), 백주(白州) 4주를 합치고, 강화현(江華縣), 교동현(喬桐縣), 하음현(河陰縣)의 사람들을 불러 성을 쌓아 바치니 영안성(永安城)이었다.

저민의는 은그릇으로 우물을 파내고 집을 지었다. 하지만 1년이 넘도록 돼지가 우리에 들어가려고 하질 않자 저민의는:
"만약 이곳이 살만한 곳이 아니라면 난(吾) 네(汝)가 가려는 곳을 따르겠다."
- 《고려사》 <고려세계> 중.

라 하자 돼지는 이곳저곳 돌아다니다가 작제건의 조상 호경이 살던 옛 송악군 터에 누웠다[12]. 이 곳에서 새 집을 짓고 영안성과 송악군을 경영했는데 저민의는 이 집에도 우물을 파 서해 용궁으로 갔다가 돌아왔다. 저민의가 예전 남편 작제건과 약속하기를:
"내(吾)가 용궁으로 돌아갈 땐 절대 바라보지 마시오. 그렇지 않으면 두번 다시 오지 않겠소."
라 했지만 궁금함을 참지 못한 작제건은 몰래 저민의와 막내딸이 궁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봤다. 저민의와 딸은 황룡(黃龍)으로 변하고, 주위엔 오색운(五色雲)이 가득했다.

저민의는 용궁에서 돌아와 화를 냈다.
"부부의 도리 중엔 신뢰가 제일 중요한데 이를 어겼으니 나(我)는 이곳에서 살 수 없소."
결국 딸을 데리고 아예 가버리니 작제건은 더이상 아내를 만날 수 없었다.

저민의는 작제건과의 사이에서 용건, 왕평달을 포함한 아들 넷과 딸을 하나 낳았다. 후에 용녀 저민의는 '원창왕후(元昌王后)'로 추존되었다.

2.2.1. 평가

작제건 설화 속 저민의는 그야말로 신화 그 자체다. 서해 용왕의 딸이니 황룡으로 변신하고, 우물을 뚫어 용궁과 왕래할 수 있었다. 고려의 전설 중 저민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데 저민의의 존재로 인해 '고려의 임금들은 용의 후손'으로 신격화되었다. 태조 왕건용조(龍祖)라는 별칭으로 불렸고 문종용손(龍孫)이라 불렸다. 고려의 역대 국왕은 영험하고 존귀한 황룡의 자손이기에 겨드랑이에 용린(龍鱗)을 가지고 있다는 전설도 생겨났다. 이는 후대 사람들의 구전과 고려 왕실의 암묵적인 지지가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한편 이러한 설화들이 은유이고 좀 더 현실적으로 생각해본다면 저민의는 당대 유력 호족 가문의 딸이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성씨가 전해지지 않는 것으로 보아 귀족은 아닐 가능성이 높지만 지역 내에서 떵떵거리는 부유한 집안이었을 것이다.[13] 이제현이 인용한 《성원록》에서도 이와 같은 맥락의 내용을 담고 있다. 작제건의 외증조부 강충은 영안촌(永安村)의 부잣집 딸 구치의와 결혼하고 송악군을 차지했다. 비슷하게 작제건은 저민의와 결혼함으로써 영안성(永安城)을 쌓고, 송악군을 지배할 수 있었다. 즉 작제건과 저민의의 설화는 고구려계 패서 호족의 연합을 의미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2.3. 이제현 논평 - 성원록

《고려사》에는 이제현이 인용한 《성원록》의 기록이 두 줄 남아있다.
흔강대왕(昕康大王), 즉 의조(懿祖)의 처(妻)인 용녀(龍女)란 자는 평주 사람(平州人) 두은점(豆恩坫) 각간(角干)의 딸이다.
《고려사》 <고려세계> 《성원록》 중.
《편년통록》, 《편년강목》에 비해 훨씬 현실적인 기록이다. 용녀는 신라 평주[14]사람이고 아버지는 두은점이라는 관료이다. 아버지가 신라의 최고위 관등 각간을 가졌는데 이는 평주 호족 두은점이 자칭했을 가능성이 높다.[15] 역으로 각간 관등을 칭했을 정도면 두은점은 평주에서 매우 강력한 권위를 지녔다고 볼 수 있다. 이를 보면 작제건은 평주의 유력 호족과 연합해 자신의 입지를 다지고자 했다고 간접적으로 유추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2.4. 번외: 세종실록 지리지

특이하게 《조선왕조실록》에도 원창왕후의 설화가 나온다. 《세종실록》 <지리지> 구도 개성 유후사 조에 있는데 기록된 설화는 《편년강목》 기록과 동일하며 짧게 줄였다. 근데 다른 건 태조 왕건이 즉위하여 용녀(龍女)를 '경헌왕후(景獻王后)'로 추존하고, 작제건과 용녀가 살던 집을 광명사(廣明寺)로 바꿨다는 것이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나오는 '경헌왕후(景獻王后)'는 의조 경강대왕(景康大王)과 '景' 자로 시호 돌림이 같다[16]. 고려는 국왕과 왕후의 시호를 맞추는 전통이 있었는데[17] <지리지> 기록으론 이 전통이 의조 대부터 맞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고려사》 등에 나오는 시호는 원창왕후뿐이고 경헌왕후는 <지리지>에서만 나온다. 그리고 獻의 경우 중고한어 발음이 hians로 의조의 다른 시호 흔강대왕에 포함된 昕의 발음 hien과 거의 유사하다. 그러니 경헌왕후라는 명칭은 후대의 착오로 만들어진 것일 가능성이 있으며, 용녀의 시호일 가능성이 낮다.
[1] 2019년 7월 21일북한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와 유관기관의 인력이 원창왕후의 능묘인 온혜릉(溫鞋陵)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 및 발굴을 마치고 북한의 국보 유적으로 등록했다.#[B] 《편년통록·편년강목》[C] 《성원록》[B] [C] [B] [A] 《태조실록》[B] [C] [D] 《세종실록지리지》[11] 고구려 장수왕때 국호를 고려로 바꾸었다.[12] 고구려 산상왕때의 동천왕 탄생 기록에서도 돼지가 중요한 매개체로 등장한다.[13] 성원록을 통해서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저민의의 부친은 두은점(豆恩坫) 각간이다. 두씨가 성씨라면 이들과 똑같은 성씨를 가진 고구려인으로 고구려 말기의 무장인 두방루(豆方婁)가 있기 때문에 이들이 성씨가 없는 쪽으로 예단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14]황해도 평산군.[15] 각간은 진골 중에서도 진골만 가질 수 있는 관등이다. 지방의 인물이 가질 수 있는 수준의 관등이 아니다.[16] 원창왕후는 오히려 덕대왕과 시호 돌림이 같다.[17] 이 전통은 중국의 통일왕조로 400여년 동안 이어진 한나라의 예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