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20:05:13

대목왕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태조 후 혜종 후 [ruby(정종, ruby=定宗)] 후 광종 후
1
신혜왕후 류씨
2
장화왕후 오씨
3
신명왕후 유씨
4
신정왕후 황보씨
5
신성왕후 김씨
6
정덕왕후 류씨
1
의화왕후 임씨
1
문공왕후 박씨
2
문성왕후 박씨
1
대목왕후 황보씨
<rowcolor=#670000> 경종 후 성종 후 목종 후 현종 후
1
헌숙왕후 김씨
2
헌의왕후 류씨
3
헌애왕후 황보씨
4
헌정왕후 황보씨
1
문덕왕후 유씨
2
문화왕후 김씨
1
선정왕후 유씨
1
원정왕후 김씨
2
원화왕후 최씨
3
원성왕후 김씨
4
원혜왕후 김씨
5
원용왕후 류씨
6
원목왕후 서씨
7
원평왕후 김씨
<rowcolor=#670000> 덕종 후 [ruby(정종, ruby=靖宗)] 후 문종 후 순종 후
1
경성왕후 김씨
2
경목현비 왕씨
3
효사왕후 김씨
1
용신왕후 한씨
2
용의왕후 한씨
3
용목왕후 이씨
1
인평왕후 김씨
2
인예왕후 이씨
1
정의왕후 왕씨
2
선희왕후 김씨
<rowcolor=#670000> 선종 후 숙종 후 예종 후 인종 후
1
정신현비 이씨
2
사숙왕후 이씨
1
명의왕후 류씨
1
경화왕후 이씨
2
순덕왕후 이씨
3
문정왕후 왕씨
연덕궁주 이씨
복창원주 이씨
1
공예왕후 임씨
2
선평왕후 김씨
<rowcolor=#670000> 의종 후 명종 후 신종 후 희종 후
1
장경왕후 김씨
2
장선왕후 최씨
1
의정왕후 김씨
1
선정왕후 김씨
태자비 왕씨
1
성평왕후 임씨
<rowcolor=#670000> 강종 후 고종 후 원종 후 충렬왕 비
1
사평왕후 이씨
2
원덕태후 류씨
1
안혜왕후 유씨
1
정순왕후 김씨
경창궁주 유씨
1
제국대장공주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충숙왕 비 충혜왕 비 공민왕 비
1
계국대장공주
1
복국장공주
2
조국장공주
3
경화공주
4
공원왕후 홍씨
1
덕녕공주
2
희비 윤씨
1
노국대장공주
6
순정왕후
<rowcolor=#670000> 우왕 비 공양왕 비
근비 이씨
1
순비 노씨
}}}}}}}}}
대목왕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고려의 왕녀
[[틀:고려의 왕녀/태조 ~ 문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문원대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대종(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안종(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문원대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국왕 · 추존 국왕 · 왕후 · 추존 왕후 · 왕태자
후궁 : 태조 ~ 예종 · 의종 ~ 공양왕
왕자 : 국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왕녀 : 태조 ~ 문종 · 선종 ~ 공양왕
※ 작호가 있거나 성년까지 생존한 사람만 기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태조 태후 혜종 태후 [ruby(정종, ruby=定宗)] ~ 광종 태후 경종 태후
정화왕후 장화왕후 신명순성왕태후 대목왕후
원창왕후
위숙왕후
<rowcolor=#670000> 성종 태후 목종 태후 현종 태후 덕종 ~ [ruby(정종, ruby=靖宗)] 태후
태황태후

신정대왕태후
헌애왕태후
(천추태후)
신성왕태후 원성왕태후
효숙왕태후
선의왕태후
왕대비

문화대비
왕대비

순안왕대비
<rowcolor=#670000> 문종 태후 순종 ~ 선종, 숙종 태후 헌종 태후 예종 태후
원혜태후 인예태후 사숙태후 명의태후
<rowcolor=#670000> 인종 태후 의종 태후 명종 ~ 신종 태후 희종 태후
문경태후 공예태후 공예태후 선정태후
왕대비

선평왕후
<rowcolor=#670000> 강종 태후 고종 태후 원종 태후 충렬왕 태후
광정태후
태황태후

원덕태후
안혜태후 순경태후
상황후

성평왕후
<rowcolor=#670000> 충선왕 태후 충숙왕 태후 충혜왕 태후 충목왕 ~ 충정왕 태후
인명태후 계국대장공주 명덕태후 덕녕공주
<rowcolor=#670000> 공민왕 태후 우왕 태후 창왕 태후 공양왕 태후
명덕태후 인덕태후
왕대비

왕대비 이씨
왕대비

왕대비 안씨
순정왕후
국대비

삼한국대비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광종의 왕후
대목왕후 | 大穆王后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려 태조의 왕녀
왕녀 황보씨 | 王女 皇甫氏
고려 경종조 왕태후
왕태후 황보씨 | 王太后 皇甫氏
}}}}}}}}} ||
파일:고려 광종 대성대왕 헌릉 2.jpg
헌릉 전경
출생 920년 후반대 추정
고려 개경 개주 추정
(現 경기도 개성시)
사망 1001년 추정 (향년 미상)
능묘 헌릉(憲陵)
재위기간 고려 왕후
949년 4월 18일 ~ 975년 7월 9일
고려 왕태후(추정)
975년 7월 9일 ~ 1001년 추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부계 개성 왕씨
모계 황주 황보씨
부모 부왕 태조
모후 신정왕후
형제자매 부왕 기준 25남 10녀 중 3녀
모후 기준 1남 1녀 중 장녀
배우자 광종
자녀
2남 3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경종(景宗, 955 ~ 981)
차남 - 효화태자(孝和太子, ? ~ ?)
장녀 - 천추전부인(千秋殿夫人, ? ~ ?)
차녀 - 보화궁부인(寶華宮夫人, ? ~ ?)
3녀 - 문덕왕후(文德王后, ? ~ ?)
종교 불교
작호 왕녀(王女) → 왕후(皇后)
→ 왕태후(皇太后)?
시호 정예공평신경의정선명안정대목왕후
(靜睿恭平信敬懿正宣明安靜大穆王后)
}}}}}}}}}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고려 제4대 임금 광종의 왕후.

고려 태조의 제4비 신정왕후의 딸인데 남편 광종이 고려 태조의 제3후인 신명순성왕후의 아들이므로 이복남매 간에 혼인한 셈이다. 동성혼을 피하기 위해 어머니의 성씨를 따라 황보씨(皇甫氏)를 칭하였다.

2. 생애

대목왕후는 태조 왕건과 왕건의 제4후 신정왕후 소생의 딸로, 광종과 이복 남매 지간이었다. 혜종과 정종은 왕이 될 가능성이 높았으므로 호족들과의 정략 혼인을 할 수밖에 없었지만, 광종 및 다른 자식들에게서도 왕위 계승의 가능성을 보았던 왕건은 광종 이하의 자식들을 대부분 족내혼시켰다. 광종과 대목왕후의 혼인은 그 첫 사례이다.

광종과의 사이에서 2남 3녀를 보았다. 경종과 효화태자(孝和太子),[1] 천추전부인(千秋殿夫人)과 보화궁부인(寶華宮夫人), 문덕왕후를 낳았다. 천추전부인은 광종의 동생 문원대왕 왕정[2]의 아들 천추전군과 혼인하였는데,[3] 이름이 '아지(阿志)'라고 한다. 광종의 자식들 중 경종과 더불어 이름이 후대에까지 알려진 유이한 사람이다. 문덕왕후는 종친인 홍덕원군 왕규(弘德院君 王圭)와 혼인하였다가 뒤에 성종과 재혼하였다. 참고로 성종은 대목왕후와 친남매인 대종의 아들이었다. 즉, 대목왕후와 대종은 남매인 동시에 사돈이었던 것. 참고로 대종의 두 딸인 헌애왕후헌정왕후도 광종과 대목왕후의 아들인 경종과 모두 결혼했기 때문에 겹사돈이기도 하다.(...)

서로 정치적 입장이 달라 대립한 적도 있었다지만 아이가 다섯인 걸 보면 금슬은 제법 괜찮았던 것으로 보인다.[4]

956년(광종 6년) 노비안검법이 전면적으로 실시되자 노비로서 주인을 배반한 자들이 많았으며 윗사람을 무시하는 기풍이 고려에 성행하고 노비를 풀어주어야 했던 호족들이 반발하자 대목 왕후가 광종에게 간절히 간하였는데도 광종 이 듣지 않았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것으로 보아 당시 대목왕후가 외가인 황주군의 대호족인 황보씨 일가의 입장을 대변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사후 1002년 목종이 대목왕후란 시호가 내려지고 광종의 사당에 합사되었다. 이후 목종(穆宗) 5년 4월에 안정(安靜)이라는 시호가 추상되었으며, 현종(顯宗) 5년 3월에는 선명(宣明), 현종(顯宗) 18년 4월에는 의정(懿正)과 신경(信敬), 문종(文宗) 10년 10월에는 공평(恭平), 고종(高宗) 40년 10월에는 정예(靜睿)라는 시호가 추상되었다.

3. 대중매체

제국의 아침 등과 같은 과거 작품에서는 정적 숙청에 몰두하게 된 광종에 의해 비극적인 운명을 맞는 비운의 여인이란 이미지로 그려졌지만, 2010년대 작품들에 이르러서는 공주 시절부터 형제들 못지않은 상당한 야망을 가진, 아름다운 미모와 뛰어난 지혜를 가진 여성으로 주로 등장하며 이복 남매 광종에게 호감을 가지게 되면서 동복형제인 대종 왕욱 대신 광종을 왕좌에 앉히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을 주지만, 이후 광종이 사랑하는 여주인공을 질투하여 그녀에게 위험한 존재가 되는 악녀형 라이벌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출생년도가 언제인지 전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작품에 따라 광종보다 여동생인 것으로 그려지기도 하고 누나인 것으로 그려지기도 한다.

[1] 기록에 대목왕후 소생의 차남이라는 것과 시호만 남아 있어 요절한 것으로 추정된다.[2] 추증 사유 불명. 당시 광종은 왕보다 높은 황제를 자처하였기 때문에 황제의 동생도 왕으로 높인 듯 하다. 다만 호칭만 그러할 뿐이지 조선 왕조의 국왕들처럼 어떤 통치력을 가진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3] 즉 사촌 간의 결혼이다. 당장 부모도 이복남매 관계라는 걸 생각하면 이상하지도 않다(...).[4] 물론 광종의 후반 통치로 갈때에는 아들인 경종까지 죽이려 했기에 확실하게 알기는 어렵다.[5] 대목왕후의 생몰연도도 딱히 미상인 걸 보면 역사서에 대목왕후의 죽음은 딱히 표현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 부분은 작가의 창작.[6] 그리고 9년후 출연한 밤에 피는 꽃에서는 시아버지 배우가 김상중인데 참고로 김상중 배우는 제국의 아침에서 광종역이었다.[7] 원작에서는 왕소의 즉위 전이라 황보연화라는 로 나오는데, 사실 대목왕후의 휘는 그 당시의 여느 여성들처럼 알려져 있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