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0 21:55:27

장선왕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태조 후 혜종 후 [ruby(정종, ruby=定宗)] 후 광종 후
1
신혜왕후 류씨
2
장화왕후 오씨
3
신명왕후 유씨
4
신정왕후 황보씨
5
신성왕후 김씨
6
정덕왕후 류씨
1
의화왕후 임씨
1
문공왕후 박씨
2
문성왕후 박씨
1
대목왕후 황보씨
<rowcolor=#670000> 경종 후 성종 후 목종 후 현종 후
1
헌숙왕후 김씨
2
헌의왕후 류씨
3
헌애왕후 황보씨
4
헌정왕후 황보씨
1
문덕왕후 유씨
2
문화왕후 김씨
1
선정왕후 유씨
1
원정왕후 김씨
2
원화왕후 최씨
3
원성왕후 김씨
4
원혜왕후 김씨
5
원용왕후 류씨
6
원목왕후 서씨
7
원평왕후 김씨
<rowcolor=#670000> 덕종 후 [ruby(정종, ruby=靖宗)] 후 문종 후 순종 후
1
경성왕후 김씨
2
경목현비 왕씨
3
효사왕후 김씨
1
용신왕후 한씨
2
용의왕후 한씨
3
용목왕후 이씨
1
인평왕후 김씨
2
인예왕후 이씨
1
정의왕후 왕씨
2
선희왕후 김씨
<rowcolor=#670000> 선종 후 숙종 후 예종 후 인종 후
1
정신현비 이씨
2
사숙왕후 이씨
1
명의왕후 류씨
1
경화왕후 이씨
2
순덕왕후 이씨
3
문정왕후 왕씨
연덕궁주 이씨
복창원주 이씨
1
공예왕후 임씨
2
선평왕후 김씨
<rowcolor=#670000> 의종 후 명종 후 신종 후 희종 후
1
장경왕후 김씨
2
장선왕후 최씨
1
의정왕후 김씨
1
선정왕후 김씨
태자비 왕씨
1
성평왕후 임씨
<rowcolor=#670000> 강종 후 고종 후 원종 후 충렬왕 비
1
사평왕후 이씨
2
원덕태후 류씨
1
안혜왕후 유씨
1
정순왕후 김씨
경창궁주 유씨
1
제국대장공주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충숙왕 비 충혜왕 비 공민왕 비
1
계국대장공주
1
복국장공주
2
조국장공주
3
경화공주
4
공원왕후 홍씨
1
덕녕공주
2
희비 윤씨
1
노국대장공주
6
순정왕후
<rowcolor=#670000> 우왕 비 공양왕 비
근비 이씨
1
순비 노씨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의종의 제2왕후
장선왕후 | 莊宣王后
출생 연대 미상
최단(崔端)의 사저
사망 연대 미상
능묘 미상
재위기간 고려 제2왕후
1148년 8월 6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부계 직산 최씨(稷山崔氏)
모계 미상
부친 부친 참지정사 최단[1]
(叅知政事 崔端)
모친 미상
형제자매 미상
배우자 의종
관저 미상
시호 장선왕후(莊宣王后) }}}}}}}}}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고려 의종의 제2비. 시호는 의종 장효대왕과 莊 자 돌림이다.

2. 생애

《고려사》의종 세가에 의종 2년인 1148년 8월 6일에 고(故) 봉어(奉御)[2] 최단(崔端)의 딸을 맞이하여 비(妃)로 삼았다는 기록만 남아 있다.

《고려사》 후비열전에는 최단의 관직이 참지성사(叅知政事)[3]라고 기록되어 있다.

아버지인 최단을 고(故)라고 기록한 것으로 보아 장선왕후의 혼인 전에 이미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1] 직산 최씨의 시조 최홍재의 삼남[2] 고려시대 왕실에서 필요로 하는 음식, 약, 의복, 말 및 각종 물품을 공급하던 관청인 상식국(尙食局), 상약국(尙藥局), 상의국(尙醫局), 상의국(尙衣局), 상승국(尙乘局),상사국(尙舍局)의 6국인 각 국의 최고 관직으로 정6품이었다.[3] 중서문하성에 속한 관직으로 종2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