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70000> 태조 후 | 혜종 후 | [ruby(정종, ruby=定宗)] 후 | 광종 후 |
1 신혜왕후2 장화왕후3 신명왕후4 신정왕후5 신성왕후6 정덕왕후 | 1 의화왕후 | 1 문공왕후2 문성왕후 | 1 대목왕후 | |
<rowcolor=#670000> 경종 후 | 성종 후 | 목종 후 | 현종 후 | |
1 헌숙왕후2 헌의왕후3 헌애왕후4 헌정왕후 | 1 문덕왕후2 문화왕후 | 1 선정왕후 | 1 원정왕후2 원화왕후3 원성왕후4 원혜왕후5 원용왕후6 원목왕후7 원평왕후 | |
<rowcolor=#670000> 덕종 후 | [ruby(정종, ruby=靖宗)] 후 | 문종 후 | 순종 후 | |
1 경성왕후2 경목현비3 효사왕후 | 1 용신왕후2 용의왕후3 용목왕후 | 1 인평왕후2 인예왕후 | 1 정의왕후2 선희왕후 | |
<rowcolor=#670000> 선종 후 | 숙종 후 | 예종 후 | 인종 후 | |
1 정신현비2 사숙왕후 | 1 명의왕후 | 1 경화왕후2 순덕왕후3 문정왕후 | 폐 연덕궁주폐 복창원주1 공예왕후2 선평왕후 | |
<rowcolor=#670000> 의종 후 | 명종 후 | 신종 후 | 희종 후 | |
1 장경왕후2 장선왕후 | 1 의정왕후 | 1 선정왕후 | 폐 태자비 왕씨1 성평왕후 | |
<rowcolor=#670000> 강종 후 | 고종 후 | 원종 후 | 충렬왕 비 | |
1 사평왕후2 원덕왕후 | 1 안혜왕후 | 1 정순왕후폐 경창궁주 | 1 제국대장공주 | |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 충숙왕 비 | 충혜왕 비 | 공민왕 비 | |
1 계국대장공주 | 1 복국장공주2 조국장공주3 경화공주4 공원왕후 | 1 덕녕공주2 희비 윤씨 | 1 노국대장공주6 순정왕후 | |
<rowcolor=#670000> 우왕 비 | 공양왕 비 | |||
폐 근비 이씨 | 1 순비 노씨 | |||
}}}}}}}}} |
헌숙왕후 관련 틀 | |||||||||||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경종의 제1왕후 헌숙왕후 | 獻肅王后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려 낙랑왕의 왕녀 왕녀 김씨 | 王女 金氏 |
영릉 전경 | |||
출생 | 950년대 추정 | ||
고려 황도 개주 추정 (現 경기도 개성시) | |||
사망 | 연대 미상 | ||
능묘 | 영릉(榮陵) | ||
재임기간 | 고려 제1왕후 | ||
975년 7월 4일 ~ 미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 경주 김씨 | |
부모 | 부왕 경순왕 모후 낙랑공주 (추정) | ||
형제자매 | 형제관계 불명[1] | ||
부군 | 경종 | ||
종교 | 불교 | ||
작호 | 왕녀(王女) → 왕후(王后) | ||
시호 | 인후회안순성의목양혜공효온경헌숙왕후 (仁厚懷安順聖懿穆良惠恭孝溫敬獻肅王后) | ||
별호 | 헌승황후(憲承皇后) |
[clearfix]
1. 개요
경종 헌화대왕의 제1비. 신라에서 귀순한 경순왕의 딸인데, 어머니가 누구인지 분명하지 않다.조선 때 만든 신라경순왕전비(新羅敬順王殿碑)에는 경순왕이 신라 왕 시절 혼인한 죽방부인 소생이라는 식으로 적혀 있으나, 역사학계에선 항복 이후 혼인한 낙랑공주 소생이라는 추정이 정설에 가깝다. 하지만 낙랑공주 소생임을 분명히 하는 증거가 발견된 것은 아니라고 한다.
정말 낙랑공주의 딸이라면 경종은 그녀의 외사촌이 된다. 그렇다면 경종은 자신의 사촌, 외사촌, 고종사촌과 결혼한 셈이 되며, 경종의 5명 부인 모두 경종의 사촌 자매가 된다. 어머니가 누구인지와 관계없이 부계로 안종의 외6촌 남매가 되기도 한다.
삼국유사 김부대왕 조에는 '헌승황후(憲承皇后)'로 기록되어 있다. 경순왕의 딸이며 경종과 헌승황후가 결혼해 경순왕이 상보(尙父)에 봉해졌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