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70000> 태조 후 | 혜종 후 | [ruby(정종, ruby=定宗)] 후 | 광종 후 |
1 신혜왕후2 장화왕후3 신명왕후4 신정왕후5 신성왕후6 정덕왕후 | 1 의화왕후 | 1 문공왕후2 문성왕후 | 1 대목왕후 | |
<rowcolor=#670000> 경종 후 | 성종 후 | 목종 후 | 현종 후 | |
1 헌숙왕후2 헌의왕후3 헌애왕후4 헌정왕후 | 1 문덕왕후2 문화왕후 | 1 선정왕후 | 1 원정왕후2 원화왕후3 원성왕후4 원혜왕후5 원용왕후6 원목왕후7 원평왕후 | |
<rowcolor=#670000> 덕종 후 | [ruby(정종, ruby=靖宗)] 후 | 문종 후 | 순종 후 | |
1 경성왕후2 경목현비3 효사왕후 | 1 용신왕후2 용의왕후3 용목왕후 | 1 인평왕후2 인예왕후 | 1 정의왕후2 선희왕후 | |
<rowcolor=#670000> 선종 후 | 숙종 후 | 예종 후 | 인종 후 | |
1 정신현비2 사숙왕후 | 1 명의왕후 | 1 경화왕후2 순덕왕후3 문정왕후 | 폐 연덕궁주폐 복창원주1 공예왕후2 선평왕후 | |
<rowcolor=#670000> 의종 후 | 명종 후 | 신종 후 | 희종 후 | |
1 장경왕후2 장선왕후 | 1 의정왕후 | 1 선정왕후 | 폐 태자비 왕씨1 성평왕후 | |
<rowcolor=#670000> 강종 후 | 고종 후 | 원종 후 | 충렬왕 비 | |
1 사평왕후2 원덕왕후 | 1 안혜왕후 | 1 정순왕후폐 경창궁주 | 1 제국대장공주 | |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 충숙왕 비 | 충혜왕 비 | 공민왕 비 | |
1 계국대장공주 | 1 복국장공주2 조국장공주3 경화공주4 공원왕후 | 1 덕녕공주2 희비 윤씨 | 1 노국대장공주6 순정왕후 | |
<rowcolor=#670000> 우왕 비 | 공양왕 비 | |||
폐 근비 이씨 | 1 순비 노씨 | |||
}}}}}}}}}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정종의 제1왕후 문공왕후 | 文恭王后 | |||
안릉 전경 | |||
출생 | 920년대 추정 | ||
후백제 순천 박영규의 사저 (現 전라북도 순천시) | |||
사망 | 연대 미상 | ||
능묘 | 안릉(安陵) | ||
재위기간 | 고려 제1왕후 | ||
945년 10월 23일 ~ 미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 순천 박씨 | |
부모 | 부친 삼중대광 박영규 (三重大匡 朴英規) 모친 국대부인 전주 견씨 (國大夫人 全州 甄氏) | ||
형제자매 | |||
배우자 | 정종 | ||
종교 | 불교 | ||
작호 | 왕후(王后) | ||
시호 | 안숙정혜선목순성경신효신숙절문공왕후 (安淑貞惠宣穆順聖景信孝愼淑節文恭王后) | }}}}}}}}} |
[clearfix]
1. 개요
정종 문명대왕의 1비. 정종 文명왕과 함께 文 자 돌림 시호를 받았다. 정종의 제2비인 문성왕후와는 친자매지간이다. 또한 시아버지인 태조의 제17비인 동산원부인(東山院夫人)과도 친자매지간이다.후백제 출신이자 고려 개국공신인 박영규와 국대부인 견씨[3]의 딸이다. 박영규는 옛 후백제 지역의 대호족이었기에 정종은 그와 힘을 합쳤다.
박영규는 견훤대왕의 몰락을 보고 고려에 항복을 결심했다. 이는 박영규가 견훤의 사위였을 정도로 친견훤파였기 때문이다.
문공왕후는 사후 정종과 함께 안릉에 안치됐고 시호가 계속 추봉되어 정종의 정비로서 대우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