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70000> 태조 후 | 혜종 후 | [ruby(정종, ruby=定宗)] 후 | 광종 후 |
1 신혜왕후2 장화왕후3 신명왕후4 신정왕후5 신성왕후6 정덕왕후 | 1 의화왕후 | 1 문공왕후2 문성왕후 | 1 대목왕후 | |
<rowcolor=#670000> 경종 후 | 성종 후 | 목종 후 | 현종 후 | |
1 헌숙왕후2 헌의왕후3 헌애왕후4 헌정왕후 | 1 문덕왕후2 문화왕후 | 1 선정왕후 | 1 원정왕후2 원화왕후3 원성왕후4 원혜왕후5 원용왕후6 원목왕후7 원평왕후 | |
<rowcolor=#670000> 덕종 후 | [ruby(정종, ruby=靖宗)] 후 | 문종 후 | 순종 후 | |
1 경성왕후2 경목현비3 효사왕후 | 1 용신왕후2 용의왕후3 용목왕후 | 1 인평왕후2 인예왕후 | 1 정의왕후2 선희왕후 | |
<rowcolor=#670000> 선종 후 | 숙종 후 | 예종 후 | 인종 후 | |
1 정신현비2 사숙왕후 | 1 명의왕후 | 1 경화왕후2 순덕왕후3 문정왕후 | 폐 연덕궁주폐 복창원주1 공예왕후2 선평왕후 | |
<rowcolor=#670000> 의종 후 | 명종 후 | 신종 후 | 희종 후 | |
1 장경왕후2 장선왕후 | 1 의정왕후 | 1 선정왕후 | 폐 태자비 왕씨1 성평왕후 | |
<rowcolor=#670000> 강종 후 | 고종 후 | 원종 후 | 충렬왕 비 | |
1 사평왕후2 원덕왕후 | 1 안혜왕후 | 1 정순왕후폐 경창궁주 | 1 제국대장공주 | |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 충숙왕 비 | 충혜왕 비 | 공민왕 비 | |
1 계국대장공주 | 1 복국장공주2 조국장공주3 경화공주4 공원왕후 | 1 덕녕공주2 희비 윤씨 | 1 노국대장공주6 순정왕후 | |
<rowcolor=#670000> 우왕 비 | 공양왕 비 | |||
폐 근비 이씨 | 1 순비 노씨 | |||
}}}}}}}}} |
고려의 왕녀 [[틀:고려의 왕녀/선종 ~ 공양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왕영(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5AA58;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 |||
}}}}}}}}}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강종의 왕후 안혜왕후 | 安惠王后 | |||
고려 고종의 모후 안혜태후 | 安惠太后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려 희종의 왕녀 왕녀 류씨 | 王女 柳氏 | }}}}}}}}} | |
출생 | 미상 | ||
사망 | 1232년 6월 1일 | ||
능묘 | 미상 | ||
재위기간 | 고려 왕녀 승복궁주 | ||
1211년 ~ 1218년 | |||
고려 왕후 | |||
1218년 4월 14일 ~ 1232년 6월 1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 부계 개성 왕씨 모계 □□ 류씨[1]] | |
부모 | 부왕 희종(熙宗, 1181 ~ 1237) 모후 성평왕후(成平王后, ? ~ 1247) | ||
형제자매 |
| ||
배우자 | 고종 | ||
자녀 | |||
관저 | 승복궁(承福宮) | ||
작호 | 승복궁주(承福宮主) | ||
존호 | 승복궁주(承福宮主) - 왕비(王妃) | ||
시호 | 안혜태후(安惠太后) |
1. 개요
고종 안효대왕의 왕후. 시호는 고종 安효왕과 安 자 돌림이다.2. 가족관계
아버지는 희종 성효대왕, 어머니는 성평왕후 임씨. 안혜태후는 엄연히 말해 개성 왕씨이고 혹 어머니를 따라 임씨를 이을 수도 있지만 희한하게 안혜태후는 유씨다.[2]남편 고종과는 6촌이 된다.
아들로 원종 순효대왕, 안경공이 있다. 딸로는 수흥궁주(壽興宮主)가 있다.
3. 생애
희종의 딸로 태어나 승복궁주(承福宮主)에 봉해져 승복궁(承福宮)을 관저로 받았다. 이후 아버지가 폐위되고 7년 뒤, 6촌 형제 고종과 결혼하여 왕비가 된다.1232년, 고종 재위 19년에 죽었는데 당시 권신 최우가 금과 은으로 만든 관을 선물했다고 한다. 안혜태후가 사망했을 당시에 아버지인 희종과 모후인 성평왕후가 아직 살아 있었다.[3]
아들 원종이 즉위해 왕태후로 추존됐다. 증손자 충선왕 때 원 무종이 충선왕의 증조모란 이유로 '고려왕비'로 추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