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00:50:05

원혜왕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태조 후 혜종 후 [ruby(정종, ruby=定宗)] 후 광종 후
1
신혜왕후
2
장화왕후
3
신명왕후
4
신정왕후
5
신성왕후
6
정덕왕후
1
의화왕후
1
문공왕후
2
문성왕후
1
대목왕후
<rowcolor=#670000> 경종 후 성종 후 목종 후 현종 후
1
헌숙왕후
2
헌의왕후
3
헌애왕후
4
헌정왕후
1
문덕왕후
2
문화왕후
1
선정왕후
1
원정왕후
2
원화왕후
3
원성왕후
4
원혜왕후
5
원용왕후
6
원목왕후
7
원평왕후
<rowcolor=#670000> 덕종 후 [ruby(정종, ruby=靖宗)] 후 문종 후 순종 후
1
경성왕후
2
경목현비
3
효사왕후
1
용신왕후
2
용의왕후
3
용목왕후
1
인평왕후
2
인예왕후
1
정의왕후
2
선희왕후
<rowcolor=#670000> 선종 후 숙종 후 예종 후 인종 후
1
정신현비
2
사숙왕후
1
명의왕후
1
경화왕후
2
순덕왕후
3
문정왕후
연덕궁주
복창원주
1
공예왕후
2
선평왕후
<rowcolor=#670000> 의종 후 명종 후 신종 후 희종 후
1
장경왕후
2
장선왕후
1
의정왕후
1
선정왕후
태자비 왕씨
1
성평왕후
<rowcolor=#670000> 강종 후 고종 후 원종 후 충렬왕 비
1
사평왕후
2
원덕왕후
1
안혜왕후
1
정순왕후
경창궁주
1
제국대장공주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충숙왕 비 충혜왕 비 공민왕 비
1
계국대장공주
1
복국장공주
2
조국장공주
3
경화공주
4
공원왕후
1
덕녕공주
2
희비 윤씨
1
노국대장공주
6
순정왕후
<rowcolor=#670000> 우왕 비 공양왕 비
근비 이씨
1
순비 노씨
}}}}}}}}}
원혜왕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태조 태후 혜종 태후 [ruby(정종, ruby=定宗)] ~ 광종 태후 경종 태후
정화왕후 장화왕후 신명순성왕태후 대목왕후
원창왕후
위숙왕후
<rowcolor=#670000> 성종 태후 목종 태후 현종 태후 덕종 ~ [ruby(정종, ruby=靖宗)] 태후
태황태후

신정대왕태후
헌애왕태후
(천추태후)
신성왕태후 원성왕태후
효숙왕태후
선의왕태후
왕대비

문화대비
왕대비

순안왕대비
<rowcolor=#670000> 문종 태후 순종 ~ 선종, 숙종 태후 헌종 태후 예종 태후
원혜태후 인예태후 사숙태후 명의태후
<rowcolor=#670000> 인종 태후 의종 태후 명종 ~ 신종 태후 희종 태후
문경태후 공예태후 공예태후 선정태후
왕대비

선평왕후
<rowcolor=#670000> 강종 태후 고종 태후 원종 태후 충렬왕 태후
광정태후
태황태후

원덕태후
안혜태후 순경태후
상황후

성평왕후
<rowcolor=#670000> 충선왕 태후 충숙왕 태후 충혜왕 태후 충목왕 ~ 충정왕 태후
인명태후 계국대장공주 명덕태후 덕녕공주
<rowcolor=#670000> 공민왕 태후 우왕 태후 창왕 태후 공양왕 태후
명덕태후 인덕태후
왕대비

왕대비 이씨
왕대비

왕대비 안씨
순정왕후
국대비

삼한국대비
}}}}}}}}}

파일:고려 의장기 문양.svg 충선왕 제정 재상지종 15가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태후 가문
경주 김씨
순경태후
정안 임씨
공예태후
경원 이씨
인예태후
안산 김씨
원성태후
당성 홍씨
명덕태후
재상 가문
언양 김씨
김취려
철원 최씨
최유청
해주 최씨
최충
공암 허씨
허재
평강 채씨
채송년
청주 이씨
이자림
황려 민씨
민영모
횡천 조씨
조영인
파평 윤씨
윤관
평양 조씨
조인규家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현종의 제4왕후
원혜왕후 | 元惠王后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작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려 문종조 추존 왕태후
원혜태후 | 元惠太后
}}}}}}}}}
출생 연대 미상
고려 양광도 수주 안산현 김은부 사저
(現 경기도 안산시)
사망 1022년 8월 15일 (향년 미상)
고려 개경 안복궁
(現 경기도 개성시)
능묘 회릉(懷陵)
재위기간 고려 안복궁주
연대 미상 ~ 1020년 5월
고려 연덕궁주
1020년 5월 ~ 1022년 8월 6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안산 김씨
부모 부친 안산현개국후 김은부
(安山郡開國侯 金殷傅, ? ~ 1017)
모친 안산군대부인 인천 이씨
(安山郡大夫人 仁川 李氏)
형제자매
2남 3녀 중 차녀 [ 펼치기 · 접기 ]
형제 - 김충찬(金忠贊, ? ~ 1036)
형제 - 김난원(金爛圓, ? ~ ?)
언니 - 원성왕후(元成王后, ? ~ 1028)
본인 - 원혜왕후(元惠王后, ? ~ 1022)
동생 - 원평왕후(元平王后, ? ~ 1028)
배우자 현종
자녀
2남 1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문종(文宗, 1019 ~ 1083)
차남 - 정간왕(靖簡王, 1021 ~ 1069)
장녀 - 효사왕후(孝思王后, ? ~ ?)
종교 불교
작호 안복궁주(安福宮主)
→ 연덕궁주(延德宮主)
시호 원혜연덕궁주(元惠延德宮主)
→ 원혜왕비(元惠王妃)
→ 평경원혜왕후(平敬元惠王后)
→ 평경원혜태후(平敬元惠太后)
}}}}}}}}}
1. 개요2. 시호3. 가족관계4. 연덕궁5.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현종의 제4왕후. 시호는 현종 元문대왕과 元 자 돌림이다.

2. 시호

시호가 궁주 → 왕비 → 왕후 → 태후 순으로 느릿느릿 올라갔다. 현종은 처음엔 왕후로 올려줄 생각이 없었던 듯한데 고려에서 시호를 왕후가 아닌 궁주로 하는 건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니다. 궁주로서 죽었다면 보통은 그대로 궁주로 시호를 맞춰준다.

시간이 지나 시호를 궁주에서 올려주긴 했는데 후(后)가 아닌 한 단계 낮은 비(妃)로 올려줬다. 한참 뒤 왕후에 올라 왕후로서의 대우를 받게 되었고, 이후 친아들인 문종이 즉위한 후 자신의 어머니에게 태후의 시호를 올려 예를 갖췄다.

3. 가족관계

아버지는 안산군 개국후(安山郡 開國侯) 김은부, 어머니는 인천 이씨[1]다. 현종의 제3왕후 원성왕후는 원혜왕후의 친언니이며, 제7왕후인 원평왕후는 친여동생이다.

슬하에 아들로 문종정간왕 왕기(王基)가 있으며 딸은 덕종의 제3왕후 효사왕후다.

고려 왕실의 족보는 현종 이후엔 자신의 친아들 문종이 계보를 이어나간다. 현종과 함께 고려 왕조의 중시조가 된 셈이다.

4. 연덕궁

연덕궁본궐 기준 남쪽에 있어 남궁(南宮)으로도 불렸는데 그 시초는 안복궁(安福宮)으로 원혜왕후의 관저였다. 현종은 안복궁을 연덕궁(延德宮)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이 궁궐은 이후 역대 왕후들이 한번씩 거쳐가는 궁궐이 되었다.

이후 먼 후손인 고려 제27대 충숙왕은 연덕궁을 자신의 어머니에게 바쳐 상왕비궁(上王妃宮)으로 쓴 적이 있다.

5. 대중매체


[1] 이허겸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