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70000> 태조 후 | 혜종 후 | [ruby(정종, ruby=定宗)] 후 | 광종 후 |
1 신혜왕후2 장화왕후3 신명왕후4 신정왕후5 신성왕후6 정덕왕후 | 1 의화왕후 | 1 문공왕후2 문성왕후 | 1 대목왕후 | |
<rowcolor=#670000> 경종 후 | 성종 후 | 목종 후 | 현종 후 | |
1 헌숙왕후2 헌의왕후3 헌애왕후4 헌정왕후 | 1 문덕왕후2 문화왕후 | 1 선정왕후 | 1 원정왕후2 원화왕후3 원성왕후4 원혜왕후5 원용왕후6 원목왕후7 원평왕후 | |
<rowcolor=#670000> 덕종 후 | [ruby(정종, ruby=靖宗)] 후 | 문종 후 | 순종 후 | |
1 경성왕후2 경목현비3 효사왕후 | 1 용신왕후2 용의왕후3 용목왕후 | 1 인평왕후2 인예왕후 | 1 정의왕후2 선희왕후 | |
<rowcolor=#670000> 선종 후 | 숙종 후 | 예종 후 | 인종 후 | |
1 정신현비2 사숙왕후 | 1 명의왕후 | 1 경화왕후2 순덕왕후3 문정왕후 | 폐 연덕궁주폐 복창원주1 공예왕후2 선평왕후 | |
<rowcolor=#670000> 의종 후 | 명종 후 | 신종 후 | 희종 후 | |
1 장경왕후2 장선왕후 | 1 의정왕후 | 1 선정왕후 | 폐 태자비 왕씨1 성평왕후 | |
<rowcolor=#670000> 강종 후 | 고종 후 | 원종 후 | 충렬왕 비 | |
1 사평왕후2 원덕왕후 | 1 안혜왕후 | 1 정순왕후폐 경창궁주 | 1 제국대장공주 | |
<rowcolor=#670000> 충선왕 비 | 충숙왕 비 | 충혜왕 비 | 공민왕 비 | |
1 계국대장공주 | 1 복국장공주2 조국장공주3 경화공주4 공원왕후 | 1 덕녕공주2 희비 윤씨 | 1 노국대장공주6 순정왕후 | |
<rowcolor=#670000> 우왕 비 | 공양왕 비 | |||
폐 근비 이씨 | 1 순비 노씨 | |||
}}}}}}}}}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원종의 제2비 경창궁주 | 慶昌宮主 | |||
출생 | 미상 | ||
사망 | 1277년 이후 (충렬왕 3년) | ||
능묘 | 미상 | ||
재위기간 | 고려 태자비 | ||
1244년 2월 6일 ~ 1260년 3월 21일 | |||
고려 왕후 | |||
1260년 8월 2일 ~ 1274년 6월 18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 류씨(柳氏)[1] | |
부모 | 부친 - 신안공 왕전 모친 - 가순궁주 | ||
배우자 | 원종 | ||
자녀 |
|
[clearfix]
1. 개요
고려 원종의 제2비.2. 생애
남편 원종이 즉위한 1260년 왕비로 책봉되었다. 경창궁주는 원종이 원나라에 입조하고 돌아오는데도 기뻐하지 않았고, 권신의 외손[2]을 태자로 삼을 수는 없다며 태자로 책봉된 충렬왕을 참소하였다.[3] 원종은 경창궁주의 참언이 옳다고 여겼으나 김준의 간언으로 경창궁주는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후에도 경창궁주는 아들을 왕으로 만들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았는지, 1277년 경창궁주가 아들 순안공 왕정과 함께 맹인 승려 종동으로 하여금 충렬왕을 저주하게 하였다는 고변이 들어왔다. 종동은 죄를 자복하지 않았으나, 두 달 뒤에 경창궁주는 폐서인되었고 왕정과 종동은 섬으로 유배되었다.[1] 외가의 본관을 따름.[2] 충렬왕의 어머니 순경태후가 무신 김약선의 딸이었다. 김약선은 최우의 사위이자 한때 최강의 권신이었다.[3] 사실 경창궁주 입장에서는 충렬왕이 눈엣가시일 만도 했다. 원래 종친 출신인 경창궁주의 자녀들이 충렬왕에 비해 계승서열이 더 높아야 했으나, 충렬왕의 모친 순경태후가 권신 최우의 외손녀라는 이유만으로 충렬왕이 본인의 자녀보다 더 계승서열이 높아져 버리는 모순이 발생해버린 것이다. 원래는 종친 출신의 왕후가 귀족집안 출신의 왕후를 출신 성분으로 압도했으나 무신정권으로 인해 상하가 뒤바뀌어 버린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