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4 07:15:09

황룡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황룡(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사신 청룡 <colbgcolor=#b84a63> 주작 백호 <colbgcolor=#616264> 현무
오룡 {{{#!wiki style="margin: -16px -10px" 청룡 <colbgcolor=#b84a63> 적룡 황룡 백룡 흑룡 }}}
사령 응룡 봉황 기린 영귀
사흉 도철 궁기 도올 혼돈
그 외
<colbgcolor=#fff,#000> 용생구자 · 이무기 · 강철이 · 촉룡 · 계룡 · 교룡
인면조 · 짐조 · 비익조 · 삼족오 · 삼두일족응 · · 상양 · 청조 · 선학 · 앵무 · 가릉빈가
수생
삼족섬 · 인어 · 목어 · 비목어 · 저파룡
기타
달두꺼비 · 뇌수 · 해태 · 구미호 · · 불가사리 · 백택 · 천구 · 텐구 · 옥토끼 · 예티 · 신구 · · 신록 · 추인 · 요정 · 시사 · · 코마이누
{{{#!wiki style="margin:-15px -10px;"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파일:attachment/Hwangnyong.jpg
평안남도 강서군 강서대묘의 널방 천장 벽화 모사도 중 일부
1. 개요2. 상세3. 대중매체에서의 황룡
3.1. 게임3.2. 만화3.3. 애니메이션3.4. 기타

[clearfix]

1. 개요

파일:황룡 호수.jpg

황룡(黃龍)은 한자 문화권상상의 동물로, 노란색 혹은 금색을 띤 을 말한다. 다른말로 금룡(金龍)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황금 용은 고대 중국의 제국에서는 황제의 상징이었다. 용들 중에서 존귀한 용신이라고 하며 지상에 경사로운 일이 생기면 등장하는 성서로운 용이며 모든 용들을 거느리는 용들의 수장이라고 한다. 성격 자체 또한 사신수보다도 기린과 함께 훨씬 자비로우면서도 온순한데, 이로 인해 사신수 중 하나인 청룡과는 극명하다고 할만큼 다른 탓에 사이는 그렇게 좋지 않다고 한다.
서양에서 묘사되는 노란 용 혹은 금빛 용은 골드 드래곤을 참고.

2. 상세

오방색에 따라 동서남북의 가운데 있는 중앙은 황금 또는 황금 빛(土)으로 상징했는데, 황제의 상징인 용과 중앙을 가리키는 황금 또는 황금 빛을 결합함은 필연. 이에 따라 중국인들은 용을 강력한 황제의 상징으로 크게 존중했다.

이런 점에 착안해 도가에서 네 방위를 가리키는 사신만 있고 중 즉 중앙이 허전하다는 이유를 들어 기린과 황룡이 사신을 거느린다는 식으로 끼워맞추려는 주장도 있다.[1] 황룡이 황제[2]의 또다른 모습이라는 것도 이유 중 하나인 듯.

애초에 오행사상의 관점에서 중앙의 '대지'에 해당하는 생물은 기본적으로는 인간이다. 실제로 오방의 수호신을 적용할 때 가운데에는 기린을 넣으며, 황룡은 사방에 오룡을 다 깔아놨을 때 주로 사용되지만 혼용되기도 한다. 당제국 구양순이 칙령을 받들어 편찬한 유서인 예문유취(藝文類聚) 98권에서 서응도에서 말하길 황룡은 사룡의 장이라고 기록하고 있다.(瑞應圖曰. 黃龍者. 四龍之長)(출처)

그러면서, 이 황룡은 사방신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중재하는 역할을 맡는 것은 물론, 음양의 조화와 만물의 성장, 중앙을 수호하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존재 자체가 권위와 조화를 상징하기에 절대권력의 수호자로도 묘사가 된다. 상징하는 음양오행은 토(土). 자연의 토양을 관장하고, 인간의 생(生)을 담당하며 다른 사신들의 왕에 해당되는 사신들의 왕이자 모든 용들 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존재인 용신에 해당되기도 한다. 세계의 중심에 거하며, 세계의 중심과 다른 사신들까지 지배, 통솔하고 관장하는 신으로도 알려져 있다고 한다. 달리 행운과 권력을 나타내고 일부는 시간과 계절을 조종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

물리적인 힘을 행사하기 보다는, 정신적으로 상대에게 자발적인 복종심과 충성심을 끌어내는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사신수들과 함께 오방신으로 불리며, 절대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다고 한다. 일본 위키백과에서는 응룡혹은 십이천장의 일원인 구진, 그리고 기린과 동일시된다고 서술하고 있다.

전한(前漢) 및 오(吳)나라의 연호(年號), 그리고 수(隋)제국 시대의 병함(兵艦) 본명으로 쓰이기도 했다.

한국사와 관련해서는 신라 진흥왕조 553년 원래 궁전인 월성(月城)의 동쪽에 새로운 궁전을 건설하려 했는데 그 곳에서 황룡이 나타났고, 이에 궁전 건설은 포기하고 대신 거대한 사찰로 고쳐 짓게 하였고, 사원의 이름을 황룡사라고 하게 되었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3년, 봄 3월, 황룡이 골령(鶻嶺)에 나타났다. 가을 7월, 골령 남쪽에서 상서로운 구름이 나타났는데 그 빛이 푸르고 붉었다.(고구려본기) 5년 여름 4월, 황궁의 문기둥에 벼락이 쳐 황룡이 그 문에서 날아갔다.(백제본기)

고구려 시조 추모왕이 황룡을 탔다고 한다. 다만 삼국시대 기록인 광개토대왕릉비문무왕릉비에는 황룡을 탔다고 되어 있지만, 고려시대부터는 황룡 대신 기린을 탔다고 되어 있다.

고려는 태조 왕건의 조상인 원창왕후 저민의가 서해 용왕의 자녀이며 황룡이라는 전설이 있다. 그래서 고려 황실도 용의 피가 흐르는 용족이라고.

조선시대 군영에서 쓰던 대오방기에는 동서남북에 사신을, 가운데에는 하늘을 나는 파충류를 그린 등사기*를 놓았다. 그밖에 도교류 주문에는 中央戊己五十土(중앙무기오십토) 黃帝將軍(황제장군) 句陳騰蛇(구진등사)라는 존재가 나타나기도 한다.

3. 대중매체에서의 황룡

3.1. 게임

3.2. 만화

3.3. 애니메이션

3.4. 기타



[1] 다만, 경복궁 같은 궁궐에서는 황룡→사신→12지신 순으로 장식을 해놓기는 했다. 경복궁의 경우 황룡은 근정전 천장을 장식하고 사신은 높은 단을, 12지신은 낮은 단의 조각을 장식하고 있다.[2] 중국의 세속 군주 칭호 皇제가 아니라 중국 신화에 나오는 삼황오제의 일원인 黃제 헌원씨를 가리킨다. 이름에도 보다시피 황색이 들어갔다는게 포인트.[3] 2002년과 2003년 초중반. 거상의 첫오픈때와 초창기에는 힘꽤나 쓰는 플레이어들이 여럿이서 파티해서 덤벼도 못 이길만큼 강했었다.[4] 상대의 주변을 불바다로 만드는 스킬.[5] 창룡의 갑옷(타프턴산, 단 중보스 전투를 거쳐야 한다), 백호의 갑옷(피드나 마왕전), 주조의 갑옷(화술요새), 현무의 갑옷(해저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78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78 (이전 역사)
문서의 r17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