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3 23:13:04

이나리

1. 배우 이상희의 본명2. MBC 프로그램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의 줄임말3. 신(神)
3.1. 이나리(稲荷)
3.1.1. 유래3.1.2. 여우와의 관계
3.1.2.1. 창작물에서
3.2. 유부초밥3.3. 지명3.4. 가면라이더 기츠의 최종폼3.5. 이나리, 콩콩, 사랑의 첫걸음의 주인공3.6. 노리프로 게이머즈 소속 稲荷いろは3.7. 천년전쟁 아이기스의 등장인물 妖狐イナリ3.8. GARO 홍련의 달의 등장인물 稲荷(三狐神)3.9. Summer Pockets의 등장 동물3.10. 디아블로 시리즈의 등장인물 이나리우스를 일본에서 부르는 별명
4. 미니어처 게임 Warhammer 40,000 등장 팩션 Ynnari5. 신데렐라 일레븐의 등장인물

1. 배우 이상희의 본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상희(배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MBC 프로그램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의 줄임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신(神)

3.1. 이나리(稲荷)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잠 · 거치녀 · 거치봉발 · 견상여야록 · 경강적룡 · 경어목야유광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공주산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꺼먹살이 · 나군파 · 나티 ·노구화위남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녹족부인 · 능원사 · 단피몽두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영차 · 대인 · 대구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마귀굴 · 망태기 할아버지 · 매구 · 맹용 · 머리 아홉 달린 괴물 · 모선 · 몽달귀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마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비하대어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삼족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성성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양수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의가작수 · 이매망량 · 이목룡 · 이무기(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점청화 · 일촌법사 · 자유로 귀신 · 자이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축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처녀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색구인 · 청양 · 청우 · 취생 · 칠우부인 · 콩콩콩 귀신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해중조 · 해추 · 허주 · 호문조 · 홍난삼녀 · 홍콩할매귀신
사령(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개명수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 길조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목어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셔글룬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예렌 · 예티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유성신 · 인면수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 황요 · 황포괴 · 해태 · · 흑풍괴
가고제 · 가난뱅이신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멘레이키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케조리 · 바케쿠지라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뵤부노조키 · 분부쿠챠가마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슈노본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시사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마메하기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와로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마히메 · 야만바 · 야토노카미 · 여우불 · 오가마 · 오뉴도 · 오니 · 오니구모 · 오니바바 · 오니쿠마 · 오무카데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와뉴도 · 와이라 · 요모츠시코메 · 요스즈메 · 우라 · 우미보즈 · 우부 · 우부메 · 운가이쿄 · 유키온나 · 유킨코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게온나 · 카라스텐구 · 카라카사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칸칸다라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케조로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쿄코츠 · 쿠다키츠네 · 쿠로보즈 · 쿠네쿠네 · 쿠단 · 쿠시 · 쿠비카지리 · 쿠즈노하 · 큐소 · 키도마루 · 키요히메 · 키이치 호겐 · 키지무나 · 타카온나 · 터보 할머니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테아라이오니 · 테케테케 · 텐구 · 텐조 쿠다리 · 텐조나메 · 텐조사가리 · 팔척귀신 · 하마구리뇨보 · 하시히메 · 하하키가미 · 한자키 · 호야우카무이 · 화차 · 효스베 ·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몽골
모쇼보 · 몽골리안 데쓰웜 · · 알마스
기타
사신(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 교인 · 구미호 · 천호 · 독각귀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비어 · 백두산 천지 괴물 · 옥토끼 · · 용생구자(비희 · 이문 · 포뢰 · 폐안 · 도철 · 공복 · 애자 · 금예 · 초도)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천호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이나리
稲荷
파일:이나리 신.jpg
곡물과 농경의 신
<colbgcolor=#950017><colcolor=#fff> 신족 쿠니츠카미
이름 이나리노카미, 이나리신
(稲荷神)
표기 이나리
(稲荷, 稲生, 稲成, 伊奈利)
별칭 이나리 대명신(稲荷大明神)
신사 후시미이나리타이샤(伏見稲荷大社) 등
稲生, 稲成, 伊奈利[1]라고도 쓴다. 곡식, 농사, 풍요, 나아가 성공을 관장하는 신이다.

남신으로도 여신으로도 묘사되며 때때로 중성적인 보살이 되기도 한다. 가끔씩 이나 거미 같은 모습으로 묘사되기도 하는 등 대체로 특정 성별이 없는 존재로 표현된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여신 모습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3.1.1. 유래

이름이 이나리(イナリ)인 이유를 가장 대표적인 이나리 신사인 후시미이나리타이샤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명하길, 야마시로국 풍토기(山城国風土記) 기록 일부에서는 '가 다 되었다(稲が生った, 이네가 낫타)'라는 말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 밖에도 여러 가지 설이 있다는데 농경신답게 농사와 관련된 추측이 눈에 띈다.

우카노미타마와 이나리를 동일시하기도 하지만 15세기 무로마치 시대 이전에는 나오지 않는 이야기다. 아마 이나리와 우카노미타마 둘 다 농경신이라 세월이 흐르며 신앙이 합쳐졌으리라고 추측한다. 일본에서 불교가 전래한 뒤 불교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신토가 불교와 합쳐져 1000년 넘게 신불습합(神仏習合) 시기였을 때는 다기니천(茶枳尼天)과 이나리를 동일시하기도 했다. 다기니천과 우카노미타마가 습합된 것으로 보는 논문도 있다.

원래 기존 일본 신화에서 이나리란 신격 자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나리 신사의 기원은 지금의 교토 지역으로 이주해 온 하타씨족이 711년 자신들의 씨족신(조상신, 수호신)을 모시며 제사를 지내던 것에서 비롯하였는데, 여기서 말하는 하타씨족이 백제[2] 또는 신라[3] 도래인이라는 점과, 이들이 한반도에서 일본 열도로 이주해 올 때 농경기술을 포함한 각종 문물 전반을 전수해 주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이나리 또한 신사를 세우기 이전부터 있었던 한반도계 도래신이거나 또는 이나리와 비슷한 신이 한반도에서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4] 실제로 위와 같은 점들을 반영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본에서도 이나리 신앙의 역사는 이나리 신사의 역사보다 더 오래되었다고 추측한다.

'원래 농경신'의 제사는 여우굴에다 지냈을 것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는데, 언제부터 여우 자체를 농경신으로 떠받들었을지는 알 수 없지만, 일본 민간에서 여우를 이나리신의 사자나 신체(神體)로 여기기 시작한 것은 나라 시대부터이다. 일본 조정이 교토로 천도할 때에 이나리 신과 관계된 하타씨들이 교토를 개척하는 데 큰 공을 세운 것이 이나리 신앙의 확산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란 말도 있으나, 실제론 헤이안 후기부터 이나리 신앙이 퍼져 나가기에 하타씨의 교토 건설 참여와 이나리 신앙의 흥성은 큰 관련성이 없다.

헤이안 시대 후기부터 이나리 신앙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사람들은 이나리 신의 상징을 여우로 믿기 시작했다. 무로마치 막부 시대부터는 신앙이 더욱 강해져서 이나리 신은 기존에 담당하던 농업과 양잠 외에도 상업과 생산 그 자체를 담당하게 될 정도로 그 격이 높아졌다.

현대의 일본에서 부자와 서민을 가리지 않고 가장 대중적으로 믿는 신들 중 하나가 되었으며[5][6] 오곡의 풍요, 사업 번창, 가내 안전, 교통 안전, 예능 발달, 소원 성취 등의 분야도 담당하는 등, 막부 시대보다 더 중요성이 높아지고 신토 신들의 위계 질서에서 가장 높은 계급의 신으로 승격되었다.

3.1.2. 여우와의 관계

이나리신의 사자(使者)여우 모습이라고 하는데 야생의 평범한 여우가 아니라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투명한 여우라고 한다. 그렇기 때문인지 투명하다는 특징을 비슷하게 반영한 색깔인 흰색과 악귀를 쫓는 효과가 있다는 빨간색으로 이루어진 여우 모습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많다.[7] 농사를 지을 때 벼이삭 낱알을 노리는 를 잡아먹는 여우의 특성이 농경신 이나리와 어울리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원래는 불교 영향으로 자칼이었다고도 하며, 쥐를 사냥하는 특성은 자칼도 해당한다.

여기서 유래한 별명으로서 여우를 이나리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일본 사람들도 자주 헷갈리는지 이나리신을 여우신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나리신 자체는 여우가 아니다. 이나리신이 부리는 심부름꾼이 여우 모습일 뿐이다.

이러한 이나리신과 여우와의 관계로 인해 이나리 신앙 종교 의식의 일환으로서 신악(神楽, 카구라), 축제(祭り, 마츠리) 등 이나리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여우(狐面, 키츠네멘)을 쓰는 경우가 있다. 선사시대부터 세계 각지의 사람들은 에 새긴 얼굴에 인격을 부여하여 종교적인 용도로도 사용해 왔고, 이는 일본 신토에서도 마찬가지라 '탈(가면)은 착용했을 때 신이 깃든다(탈이 지닌 인격을 대신한다)'고 여겨서 원래는 이렇게 종교 기관에서 쓰던 제사 도구였던 탈을 에도 시대 이후부터 서민들도 축제에서 쓰는 경우가 생겼다고 한다. 여우는 사람들의 소원을 이나리신에게 전해주고 해당 소원을 이룰 수 있도록 이나리신의 복을 사람들에게 다시 전해주는, 사람과 신을 오가며 이어주는 행운의 존재이니 여우탈을 부적풍수 인테리어처럼 사용하는 것이다. 사람과 신을 동물이 이어준다는 종교적인 면에서는 마치 한국솟대와 비슷한 뜻을 지니는 물건이다.

상술한 대로 전통적으로는 원래 흰색 탈이었지만 현대에 상품화의 일종으로 색깔이나 무늬를 바꾼 디자인으로 판매하기도 하는데 색깔, 무늬별 부적으로서 상징 차이는 딱히 없다고 한다. 풍수 인테리어로서 집에 장식해 둘 때는 손님이 드나드는(복이 드나드는) 현관문을 내려다 보는 방향으로 놓아야 좋다느니 하는 이야기가 있는 듯 하지만 어느 일본인이 후시미이나리타이샤로 문의한 결과 그냥 마음에 드는 곳 아무 데나 놓아도 상관 없다고 한다.

옛날부터 동아시아에서 을 만들 땐 종이를 여러 겹 두껍게 겹쳐 만들거나 나무를 깎아서 만드는게 공통적인 방식이었는데, 현대에는 중국 등지에서 값싸게 찍어내어 대량생산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파는 경우가 많아졌다. 전통방식으로 만들면 값이 훨씬 비싸기 때문이다. 한편으론 어느 나라나 대다수는 서민들이라는 점에서 이렇게 흔히 접할 수 있는 저가형 제품들이 전통 문화의 입문 장벽을 낮춰주고 전통을 현대화 하여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면도 있다.
3.1.2.1. 창작물에서
서브컬처에서 등장하는 사례는 여우, 여우 설화, 구미호 항목 참고.
여우로서의 이나리를 소재로 한 노래와 춤이 있는데 제목은 '건너편 골목길 이나리 씨(向こう横丁のお稲荷さん)'이다.

여기서 말하는 이나리는 이나리 신과는 관련이 없고 여우로 비유한 듯한 여성[8]과 찻집에서 만나는 것을 암시하는 내용이다.[9]

여우탈을 쓰고 여우의 몸짓에서 따온 듯한 동작으로 춤을 추는데 가사 자체는 에도 시대부터 내려오는 동요(...)라고 하며 춤에 대한 설명은 찾기 어려운 것으로 보아 일본 무용 형식으로 현대에 만든 창작 무용인 듯 하다. 노래 가사와 해설(일본어)
당시 여대생이었다는 개인이 만든 창작 무용. 여우가 옮겨붙은 듯한 모습을 표현했다.

3.2. 유부초밥

일본어로 '이나리즈시(稲荷寿司)'라고 하는데 일본에서는 여우가 튀김을 좋아한다는 속설이 있어서 이런 이름이 붙은 듯 하다.

일본에선 일단은 스시의 한 종류로 분류하긴 하는데 거기서도 일반적인 스시와는 다른 무언가로 취급한다. 유부초밥 문서 참고.

3.3. 지명

일본 교토부 교토시 후시미구에 있는 곳이다. 대표적인 관광 명소이자 1번 단락 이나리 신을 모신 후시미이나리타이샤가 있으며 JR 서일본나라선이 지나는 곳이기도 하다. 자세한 사항은 후시미이나리타이샤, 이나리역 항목 참고.

3.4. 가면라이더 기츠의 최종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면라이더 기츠 나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여기서 모티브를 따왔다.

3.5. 이나리, 콩콩, 사랑의 첫걸음의 주인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후시미 이나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6. 노리프로 게이머즈 소속 稲荷いろは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나리 이로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7. 천년전쟁 아이기스의 등장인물 妖狐イナリ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나리(천년전쟁 아이기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8. GARO 홍련의 달의 등장인물 稲荷(三狐神)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나리(GARO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9. Summer Pockets의 등장 동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나리(Summer Pockets)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0. 디아블로 시리즈의 등장인물 이나리우스를 일본에서 부르는 별명

공략 사이트나 관련 스레에서 이나리우스(イナリウス)를 줄여 이나리(イナリ, 稲荷)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4. 미니어처 게임 Warhammer 40,000 등장 팩션 Ynnari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나리(Warhammer 4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신데렐라 일레븐의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나리(신데렐라 일레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이나리의 원래 표기이자 가장 오래 된 표기이다. 한국 한자음으로 읽어도 '이나리'라는 발음이며 고대 삼한이나 왜국에서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언어를 음차하여 기록하던 방식과 비슷한데, 예를 들면 광개토대왕릉비에서 나오는 '아리수(阿利水)'나 야사카신사를 세운 고구려인 '이리지(伊利之)'같은 사례가 그렇다.[2] 일본서기 출처[3] 후시미이나리타이샤, 교토시 공식 홈페이지 출처[4] 알고 보면 한국도 여러모로 여우와 인연이 참 많은데, 자세한 건 구미호 문서를 같이 참고하길 추천한다. 단군 신화의 마이너한 버전으로 여우가 등장하는 이야기도 전해진다.[5] 이나리 신을 '이나리 씨(お稲荷さん, 오이나리상)'이라고 친근하게 부르는 경우도 있고,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이나리 신앙을 '서민 신앙(庶民の信仰)'이라고 표현하였다.[6] 물론 성공의 신인 만큼 돈 있는 사람들도 많이 믿는 듯하다. 신사에 늘어선 수많은 토리이들 하나당 가격을 생각해 보면... 대형 토리이 봉납 금액 기독교, 천주교식 용어로 비유해서 표현하자면 신에게 바치는 제물로서 헌금을 하고 해당 금액에 맞는 크기의 토리이에 헌금한 사람의 이름이나 회사명을 새긴 뒤 원하는 바를 이룰 수 있도록 신의 가호를 바라며 신사에 세워두는 식이다.[7] 이나리 신사를 빨갛게 칠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주칠(朱漆)'이라고 하는데, 건물이나 그릇 등 무언가를 붉은색으로 옻칠하는 풍습은 고대 한중일 모두 존재했다.[8] 가사에서 나오는 '오센(お仙)'이 에도 시대 때 존재했던 어느 가게의 미인 간판 아가씨를 뜻한다고 한다.[9] 해당 노래 가사가 정말로 이런 뜻을 지닌 가사인지는 모르겠으나 일본에서는 예나 지금이나 명목상 찻집 형태를 한 성매매 중간매개체 업소들이 존재한다. "우연히 저희 찻집에서 만난 남녀가 눈이 맞아서 윗층에 있는 프라이빗 룸에서 따로 '개인적인 시간'을 보낸 것 뿐이지 저희 찻집과는 관련이 없어요~" 하는 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