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7 05:15:12

득보아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121212 0%, #4f5054 100%); color:#ffffff; margin: -5px -10px; min-height: 26px"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등장인물 · 평가 · 시대 재현 · 실제 역사와 비교
등장인물
주요인물

정도전
이성계 · 이인임 · 최영 · 정몽주 · 이방원
주요 인물 주변 인물
<colbgcolor=#676767><colcolor=white> 정도전 측근 최씨 부인 · 득보아범 · 남은 · 윤소종
이성계 측근 신덕왕후 · 이방우 · 이방과 · 이방석
이지란 · 무학대사 · 배극렴 · 조준 · 권근
이방원 측근 하륜 · 원경왕후 · 조영규 · 이숙번
고려 지배층
고려 왕실 우왕 · 정비 안씨 · 공양왕
권문세가 임견미 · 염흥방 · 박가
신진사대부 이색 · 박상충 · 이숭인
군부 변안열 · 조민수
기타
인물 양지
}}}}}}}}}}}} ||

파일:external/img.kbs.co.kr/subcast_01_02.jpg

1. 개요2. 작중 행적3. 기타

1. 개요

정도전의 등장인물. 이춘식 배역.

정도전의 집에서 일하는 노비로, 주인공의 집사 캐릭터. 정도전의 아버지인 정운경이 어릴 때부터 일을 해온 노비로 정도전을 업어 키운 장본인. 노비이긴 하나 가문에서 일한 세월이 있는 만큼 정도전 부부도 어느 정도 어른 대접을 해 준다.[1]

큰 비중은 없으나 정도전에 집에 들를 때마다 꾸준히 얼굴을 보인다. 주로 개경 소식을 집에 전하는 역할을 맡고있다. 한두마디 툭툭 내뱉는게 익살스럽게 웃긴 개그 캐릭터. 누가 정도전 집에서 오래 묵은 노비 아니랄까봐 촌철살인의 드립이 예술이다.

2. 작중 행적

초반에는 정도전을 모시다가 정도전이 귀양간 뒤 최씨 부인과 둘이서 집을 지킨다. 이후 거평부곡이 왜구의 공격을 받았다는 소식을 듣고 걱정하다 못해 정도전을 찾아 나서려는 최씨 부인을 말리다가, 때마침 돌아온 정도전을 보고 놀라며 반긴다. 이후로도 쭉 정도전 내외를 모시게 되었다.

24화에서 한양산성 축성에 징발되어 집을 떠나면서 늘그막에 고생[2]하는 듯 했지만 26화에서는 다시 컴백했고, 27화에서는 위화도 회군을 한 병사들이 성 내로 난입하여 시가전을 벌이는 와중에 빼꼼 등장을 하였다. 34화에서 최씨 부인이 정도전이 역적이라는 말을 듣고 충격을 받는 사이에도 숙련된 노비답게 문단속부터 철저히 하는 모습을 보였다. 35화에서 불타는 토지 문서 더미를 보며 세상이 바뀌긴 바뀔 것 같다는 감상을 말한다.

40화에서 최씨 부인과 함께 사가에서 남은을 맞이하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46화에서 죽기 전에 정도전과 마지막을 보내고 싶었는지 정도전의 요동 유람을 같이 떠나게 되며 요동의 모습을 보게 된다.

최종화 50화에서 남은의 첩 집에서 고기를 뜯고 있었는데, 이방원의 군사들이 들이 닥치자 다른 하인들과 함께 잠시 맞서나 곧바로 도망가버린다. 이후 정도전의 아들인 정영, 정유와 함께 정도전을 구하러 달려가다가 이숙번의 군사들과 만나 교전이 벌어지자 급하게 숨었는데, 모시는 상전의 아들들이 죽자 달려나와 울부짖는 장면이 마지막이다.

마지막에 득보영감을 이숙번이 바라보는 것 때문에 죽었거나 이숙번이 노비로 취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있다. 마지막 화 최대의 미스터리가 득보아범의 생사라는 소문이... 충노가 되신 득보영감님 정갤에 온 이pd는 현재까지도 살아서 어디선가 고기집을 하고 있을 거라고 말했다(...). 별에서 온 득보아범 아니 훗날 정도전 집의 노비였다가 훗날 선조의 내시로 부활했다가 다시 태조의 상선으로 복귀한다

3. 기타

별 비중은 없는 창작 인물이지만, 전반적으로 진지하고 무거운 본작에서 약방의 감초처럼 개그를 도맡아 한 캐릭터인지라 시청자들 사이에서 컬트적인 인기를 끌었다.

제작진에 의하면 득보아범을 나이 든 사람으로 설정한 것은 실제로 정도전이 부친 사후 젊고 건장한 노비들은 형제들에게 보내고 자신은 늙은 노비 하나만을 가졌다는 점에서 착안한 것이라고 한다. 실제 역사에서 모티브를 따서 창작된 캐릭터인 셈이다. 그런데 정도전의 아버지 정운경이 어릴 때부터 일했다는 사람이 정도전이 50이 넘어간 시점까지 팔팔하다 못해 한양에서 요동까지 도보여행을 떠난다. 정도전의 장남 정진도 득보아범에게 아직도 건강하다며 말할 정도. 정운경의 생몰년이 1305~1366인데 어릴 때부터 일을 했다니 정운경 출생 당시 나이를 15~25세 사이로 잡아도 1280~1290년생, 104~114세 가량 된다(...).레알 도민준 다만 이렇게까지 빠듯하게 볼 필요는 없는 것이 노비의 자식은 노비가 되는 것이 정상이므로 정운경의 노비가 정운경의 유년기 때 득보아범을 낳았고 아이 때부터 일을 했다고 가정하면 최대 1320년생 정도로도 볼 수 있으니 이쯤되면 당시 기준으로 장수했기는 해도 아주 무리수로 볼 수는 없다. 이렇게 따지면 대략 70대 후반~80대 초반.


[1] 최씨 부인은 득보아범에게 아예 존대를 한다.[2] 노비는 세금과 역의 의무를 지지 않으니 아마 면천되어 양인이 되어 있었거나 당시 조정에서 인력이 없으니 노비까지 징발했던 모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