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트랜스포머 라쳇}}}에 대한 내용은 [[라쳇(트랜스포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라쳇(트랜스포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라쳇(트랜스포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트랜스포머 라쳇: }}}[[라쳇(트랜스포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라쳇(트랜스포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라쳇(트랜스포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리부트 이후의 라쳇}}}에 대한 내용은 [[라쳇(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리부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라쳇(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리부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라쳇(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리부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리부트 이후의 라쳇: }}}[[라쳇(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리부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라쳇(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리부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라쳇(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리부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 |
트랜스포머 1~트랜스포머 2에서의 모습[1] | |
라쳇 Ratchet | ラチェット | |
차량 | 허머 H2 기반의 탐색구조 차량 (1~4편) |
소속 | 오토봇, NEST (이전) |
직위 | 오토봇 군단 군의관 → 오토봇 군단 부사령관[2][3] |
성우 |
1. 개요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라쳇. 오토봇 소속의 군의관이다.2. 작중 행적
2.1. 트랜스포머 오리지널 시리즈
2.1.1. 트랜스포머
| |
로봇 모드. | 비클 모드는 GM(실 제작사는 AM제너럴)의 허머 H2를 베이스로 한 탐색구조 차량.[9] |
부사령관이자 맞선임었던 재즈 다음으로 동기 아이언하이드와 함께 옵티머스 프라임 바로 밑에 위치하는 간부이다.
의사가 아닌 의무관이라 사실 치료에 특화된 게 아니고 엄밀히는 동료를 안전한 곳으로 데리고 가서 응급처치를 하는 쪽이라고 한다. 필요하다면 자기 부품을 뽑아서 넣는다고 한다.[10] 1편에서 범블비의 목소리를 고치는 건지 목 부분에 치료용 빔 같은 걸 쏘는 장면이 있다. 영상 매체 이외에 코믹스에선 사이버트로니안들끼리 전쟁이 벌어지기 전에는 스타스크림을 치료하는 장면이 나온다.
나긋나긋하고 차분한 말투에 "I sense..."란 표현을 쓰는 캐릭터인데 그 덕분에 웃긴 장면도 더러 나온다. 오토봇과 샘 윗위키의 첫대면에서는 "음... 소년의 페로몬 수치를 보아하니 여성과의 짝짓기를 갈망하는군요."를 진지한 말투로 말해 샘과 미카엘라를 민망하게 한다던지[11] 오토봇들이 샘의 집마당에 몰래 숨어들어갔다가 후퇴할 때 동료들 면박주며 걷다가 전깃줄에 걸려서 한바탕 빙빙돌고 넘어진다.[12]
범블비가 섹터 7에 끌려간 이후 옵티머스가 샘의 고조부 안경을 스캔하여 올스파크의 위치를 파악하자 디셉티콘들도 곧 움직일 것이기에 서둘러 큐브를 찾아야할 것을 간접적으로 옵티머스에게 전한다. 또한 옵티머스가 최악의 상황이 올 경우 올스파크를 자신의 스파크와 결합시킬 것이라고 하자 힘이 너무 강력해서 옵티머스 또한 죽을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후반부에는 미션 시티에서 샘, 범블비와 합류해 올스파크를 가지고 있는 샘이 무사히 빌딩에 갈 수 있도록 아이언하이드와 함께 호위한다. 그러다가 갑자기 나타난 스타스크림 때문에 아이언하이드와 고전해 잠깐 리타이어. 임팩트 있게 큰 활약을 했다기 보다는 현자이자 조력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렇다고 활약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고 도심 전투 때 전기톱으로 브롤의 팔을 잘라내는 위엄을 보이기도 했다.
2.1.2. 트랜스포머: 패자의 역습
샹하이 전투 당시에는 NEST의 디에고 가르시아 기지에 남아 있었다. 이후 옵티머스가 메가트론에 의해 사망한 후 다른 오토봇들과 메가트론, 스타스크림을 급습하면서 범블비에게 샘을 데리고 안전한 곳으로 피신하라고 말한다. 자신은 엄호 사격에 나서 메가트론과 스타스크림을 물러나게 하는 데 일조했다. 이후 본인은 NEST 본부에 옵티머스의 시신과 함께 돌아왔지만 높으신 분들 대부분이 오토봇에 반감을 가지는 모습을 보고는 지구를 떠나려다가 그것은 옵티머스의 뜻이 아니라는 아이언하이드의 설득에 마음을 바꾼다.샘이 옵티머스를 살릴 매트릭스를 얻자 오토봇 병력은 레녹스의 팀의 지원을 받아 옵티머스의 시신을 이집트로 운반한다. 디셉티콘의 공세 속에서 라쳇은 시신 곁에서 미군의 탱크와 함께 대응사격을 하며 옵티머스를 지켰다. 이후 샘이 매트릭스를 가져와 옵티머스를 소생시키자, 제트파이어가 자신의 부품을 내주며 희생했고, 라쳇은 졸트에게 두 사이버트론인의 스파크를 결합시켜 옵티머스를 강화시키도록 명령했다.[13]
이번 작품에서의 비중은 적은 편.
2.1.3. 트랜스포머 3
| |
로봇 모드.[14] | 비클 모드는 GM(실 제작사는 AM제너럴)의 허머 H2를 베이스로 한 탐색구조 차량. |
초반에는 옵티머스와 함께 체르노빌에서 발견된 사이버트론 잔해를 조사하며, 이어 달에 도착해 아크에 잠들어 있던 센티널 프라임을 회수하러 우주로 나간다.
이후 시카고 전투에서 초반에 다른 오토봇들을 엄호하기 위해 건물 옥상에 있던 대형 디셉티콘을 선제 공격하는 등 나름 활약한다. 전투 후반에 다른 오토봇들과 함께 디셉티콘에게 포로로 잡혀버리나, 휠리와 브레인의 활약으로 디셉티콘 함선이 추락하며 주변을 아수라장으로 만들자 탈출에 성공한다. 이후 오토봇들과 함께 다시 전투에 참가하여, 옵티머스와 센티널이 싸우고 있던 도중에 미군의 도움을 받으며 범블비와 사이드 스와이프와 협공한다. 또 전투 막바지에는 미군과 오토봇들을 이끌고 직접 돌격[15]하면서 기둥들을 파괴하거나 범블비가 낚아챌 수 있도록 엄호해준다.
그리고 전투 종료 후엔 범블비 어깨에 손을 올리며 "잘 싸워줬어"라고 격려하는 모습도 보여줬다.[16]
여담으로 자막에는 '래칫'으로 표기되었다. 외래어 표기법을 생각하면, 이쪽이 맞는 표기지만.
2.1.4.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시카고 전투로부터 4년 후, 인간들에게 배신당한 오토봇들은 모두 흩어져 어디론가 숨어들었고, 라쳇 또한 옵티머스의 경고 메세지를 받고 폐기된 유람선 굴뚝에 숨어있다가 세메터리 윈드와 락다운의 연계로 사냥당한다.
인간들의 무자비한 공격을 받으면서 나는 같은 편이라고 애걸하며 제대로 된 저항 한 번 못하고 사지가 부서져 나가는 라쳇의 모습은 실로 비참하고 안타까울 정도. 포격에 맞아 오른쪽 다리가 날아가자 항복한다며 아군이라고 호소하지만, 이미 그를 조준하고 있던 락다운이 총을 발사해 명중당하고, 뒤이어 세메터리 윈드 부대의 집중사격을 받아 결국 치명상을 입고 쓰러지고 만다.
이후 그의 앞에 나타난 락다운이 살고 싶다면 옵티머스 프라임이 있는 곳을 말하라고 협박하지만, 옵티머스에 대한 충의를 저버리지 않은 라쳇은 살 기회조차 버리고 절대 말하지 않겠다며 거부한다.[17] 그러자 결국 락다운에게 스파크가 뽑히며 사망한다. 이후 라쳇의 시신은 KSI 본사로 보내진 뒤 인조 트랜스포머들을 제조하기 위한 트랜스포뮴의 채취를 위해 KSI 직원들에게 녹여지는 신세가 된다. 이때 KSI에 잠입한 케이드 예거가 카메라로 라쳇의 시신을 녹이는 장면을 찍어 오토봇들에게 보여주는데, 라쳇이 죽어서도 비참한 재료 신세로 전락한 모습을 보고 분노한 옵티머스 프라임이 KSI에 쳐들어가는 계기를 만들게 된다.[18] 또한 라쳇의 죽음은 이후 옵티머스가 락다운과 애틴저를 처단하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일부 팬들은 스파크가 락다운에게 남아 있기에 다시 부활할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하기도 했다. 원작에서도 트랜스포머들은 몸이 파괴되더라도 스파크가 있다면 다시 부활할 수도 있다는 묘사가 제시되기 때문이다. 또는 그의 스파크를 활용해서 또다른 트랜스포머가 나올지도 모른다는 의견도 일부 있었다.
하지만 실사영화 오리지널 시리즈의 감독인 마이클 베이가 워낙 스토리와 설정구멍따위 신경쓰지 않는 막장성으로 유명하기도 하고, 원작에서 인기있는 근본 캐릭터들(재즈, 아이언하이드, 휠잭 등)도 영화에서 천대하거나 허무하게 죽여버리는 전개를 매우 많이 만들어냈기 때문에 아마 베이는 라쳇의 부활같은 건 생각조차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게다가 영화에서는 스파크 외에도 머리 또한 트랜스포머들의 급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머리를 포함한 전신이 녹여져 파괴된 라쳇이 다시 부활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한다.[19]
결국 후속작인 최후의 기사에서는 언급조차 되지 않았고, 결국 해당 영화를 마지막으로 실사영화 시리즈가 리부트됨에 따라 오리지널 시리즈의 라쳇은 완전히 사망 처리되었고, 리부트 시리즈의 라쳇은 완전히 다른 캐릭터가 되었다.
3. 무장
- 에너지 캐논
라쳇의 메인 무장. 머신건 형태의 무장으로, 레이저 총탄을 퍼붓는다.
- 버즈 소우
팔에 장착된 원형 톱날. 유일한 근접전 무장이다.
- 암 미사일
소형 미사일을 발사한다. 어디까지나 보조적 무장이라, 적을 견제하는 용도로만 사용한다.
- 힐링 레이저
영화 1편에서 범블비의 음성이 고장나서 고치는 중이라는 말이 나올 때 조사한 광선. 손상된 부분을 복구하는 기술로 보이는데, 이 장면 이후로는 사용한 적이 없다.
4. 완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쳇(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완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라쳇(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완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기타
- 사라진 시대 개봉 전, 촬영장 사진에선 라쳇의 비클인 허머 구급차가 주요 촬영지인 시카고, 홍콩에서 보이지 않았던 점과 지금까지 공개된 예고편을 종합해보면 라쳇도 인간들에 의해 죽는다고 생각되었고, 예상대로 작품 초반부에 그것은 사실이 되었다. 아이언하이드와 함께 1편부터 개근 출연한 그의 죽음은 팬들에게도 상당한 안타까움을 남겼다.
- 영화상에선 한번도 샘 윗위키를 부른적이 없다. 샘도 범블비가 다쳤을 때 딱 한번 라쳇을 불렀고 그 후 3편에서 오랜만에 재회할 때조차 비클모드에서 경광등을 점멸하며 사이렌을 작게 울려 인사를 한게 다였다. 물론 이 정도면 친하다고 봐야겠지만, 사실 영화상 비중이 적다는 걸 감안해도 오토봇의 주요 멤버들 중에선 인간과의 관계 자체가 묘한 것으로 묘사되는 장면이 있다. 2편에서는 겔로웨이 장관이 오토봇을 향해 악담을 퍼붓자 "저 작자가 헛소리 왕창하는군"이라고 대놓고 뒷담화를 한다던지 이 직후 인간에게 회의감을 느꼈는지 아이언하이드에게 지구를 떠나자고 하기도 했다. 물론 이것 이외엔 묵묵히 인간을 지키기 위해 전투에 임하는 모습이 대부분이지만, 결국 인간과 말을 주고받는 대화를 하는 모습은 4편에서 인간에게 죽기 직전이었다.[20]
- 역대 부사령관 중에서 활동이 적은데 재즈는 사이버트론에서부터 1편 당시까지 오랜 시간 동안 활동했고 아이언하이드는 전부터 사이버트론에서 디셉티콘의 대위로 활동했고 오토봇이 된 후로는 재즈 사후 2편부터 3편 중반까지 부사령관으로 활동했지만 센티널에게 사망한다. 결국 3편 후반부터는 라쳇이 부사령관으로 활동했지만 시카고 전투에서 오토봇들과 군인들에게 명령을 내린 것이 다고 4편 초반에는 결국 오토봇이 뿔뿔히 흩어지고 라쳇은 인간들에게 당하기만 한다.
- 나름 독특한 디자인을 지녔는데, 변신할 때 먼저 상반신을 뒤로 180도 돌린다. 또한 새끼손가락이 없고 새끼손가락이 있어야 할 자리에 엄지가 하나 더 있다.
- 차량의 장착된 경광등과 사이렌은 fedreal siren이다. 1편 초반 연기속에서 일행들과 등장하며 한번. 이 사이렌 사운드는 바리케이드가 쓴다.
[1] 3~4편에서는 색상이 녹색으로 바뀌었다.[2] 이전엔 재즈, 아이언하이드였다.[3] 여담으로 역대 부사령관 중에 가장 활동을 적게 하였다.[4] 4편에서는 레드풋도 중복으로 맡았다.[5] 트랜스포머 어드벤처에서는 헤드락을 맡았다.[6] 바비 볼리비아도 맡았다.[7] 트랜스포머 ONE에서 쇼크웨이브를 맡았다.[8] 사운드웨이브, 와일더 함장, 로버트 엡스, 모샤워 합참의장, 프라임 왕조 중 한명, 에드먼드 버튼도 맡았다. 트랜스포머 애니메이티드에서 와스프, 스크래퍼를, 트랜스포머 프라임에서는 스타스크림, 윌리엄 파울러, 유니크론을 맡았다.[9] 실존하는 차량은 아니고 영화 제작진이 허머를 따로 개조한 것이다. 트랜스포머 제작 영상에 개조 장면이 나온다.[10] 실사영화 2편의 메가트론이나 옵티머스의 수리 장면을 보면 트랜스포머들 사이에서는 흔한 방법인 듯.[11] 소설판에선 아예 직접 몸을 스캔한다(...)[12] 감전될때 차에 장착된 사이렌이 울린다. 그리고 아이언하이드가 한심하다는 듯 쳐다보고 “참도 재미있겠다.” 라고 놀리는 게 킬포인트다.[13] 졸트의 이름이 불리는 건 아번이 처음이자 마지막이기 때문에, 졸트의 존재를 이 때 처음 깨달았다는 관객이 적지 않다.[14] 색깔이 황록색에서 연두색으로 변경되었다.[15] 옵티머스가 도착하기 전까지 미군들한테 "박격포를 쏴줘!!"라고 명령한다. 아이언하이드 사후 옵티머스 다음으로 높은 간부가 라쳇임을 생각하면 당연한 것.[16] 고참 병사가 아직 어린 병사를 격려하는 듯한 모습이라 보기가 좋다.[17] 사실 살려준다고는 했어도 세메터리 윈드의 수장인 해럴드 애틴저가 인조 트랜스포머들을 만드는 회사인 KSI와 결탁 중인 만큼 트랜스포늄이 필요하기에, 라쳇이 위치를 말했어도 결국 죽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애초에 인간들이 오토봇들을 사냥하는 이유도 살아있는 생명체인 사이버트로니안들 대신 자신들의 말만을 따르는 로봇인 인조 트랜스포머들을 만들 트랜스포뮴을 얻기 위해서이기 때문이다. 아마 락다운의 살려준다는 말도 자기가 직접 죽이지는 않겠다는 뜻이었을 것이다.[18] 이때 옵티머스는 주먹으로 가로등을 박살내며 "They slaughtered Ratchet!"(라쳇을 도살하다니!)라고 말하는 등 동료의 사망에 이례적으로 엄청나게 격분한 모습을 시리즈 최초로 보여준다. 1편 때부터 함께 지구로 올 정도로 신뢰하는 충직한 부관인 라쳇이 편히 죽지도 못하고 고인능욕을 당하고 있으니 격분할만 하다.[19] 메가트론은 3편에서 머리가 뽑혀져 사망했었지만, 뽑힌 머리 자체는 비교적 멀쩡해서 의식이 남아있던 덕분에 부활할 수 있었다. 반면 라쳇은 머리가 아예 녹여져버렸다.[20] 전편의 인간을 향한 대사들은 거의 정보전달, 지시 등이라 대화라기도 뭣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