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3 03:12:09

재즈(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재즈}}}에 대한 내용은 [[재즈(트랜스포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재즈(트랜스포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재즈(트랜스포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재즈: }}}[[재즈(트랜스포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재즈(트랜스포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재즈(트랜스포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external/tfwiki.net/Autobot_symbol.png
파일:트랜스포머 재즈.png
재즈
Jazz / ジャズ
비클 폰티악 솔스티스
소속 오토봇
직위 오토봇 군단 부사령관[1][2]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 다리우스 맥크러리, 앤드루 키시노(게임)
파일:일본 국기.svg 쿠스노키 타이텐[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영재
1. 개요2. 작중 행적3. 완구4. 기타

1. 개요

트랜스포머 실사영화 시리즈재즈.

비클 모드의 특징이 잘 살아 있는 은색의 유선형 몸체가 특징이며, 원작의 바이저가 잘 재현되어 있다. 직책은 부사령관. 1편 시점에서 옵티머스 프라임 다음으로 지위가 높으며 부관을 맡고 있다.[4]

주 무기로 원형 방패가 달린 총을 장비한다. 손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인간들의 총기를 빼앗기도 했다. 1편에서 등장한 오토봇 중 체구가 가장 작으며, 이에 걸맞은 민첩한 동작이 특징. 직책에 걸맞은 노련한 실력을 가지고 있으나, 체급 싸움에선 명확한 한계를 보인다.

2. 작중 행적

2.1. 트랜스포머

범블비의 연락을 받고 출동한 오토봇들 중 하나로, 다른 동료들처럼 프로토폼 형태로 등장한다.

경기장에 추락한 다음 자동차 매장까지 걸어가 전시되어 있던 폰티악 솔스티스를 스캔한다.

파일:800px-Jazz_movie_ally.jpg
안녕들 했냐 짜식들?
옵티머스: 우리 군단의 중위, 통칭 '재즈'
이 행성 꽤 물 좋은 곳이군.
- 옵티머스가 재즈를 소개할 때.

샘 윗위키 앞에서 다른 오토봇들이 변신할 때 혼자 브레이크 댄스를 추며 변신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옵티머스에 의해 소개될 때 "이 행성 꽤 물 좋은 곳이군."이라는 대사를 치는 등 상당히 위트 있는 성격임이 드러난다. 라쳇이 전깃줄에 걸려 숨어야 했을 때 가장 늦게 숨었지만, 체급이 작아서 그런지 가장 잘 숨었으며[5], 가벼워 보이는 이미지와 달리 충성심과 동료애가 꽤 강한 편이다. 특히 1편 당시 막내였던 범블비를 정말 이뻐한다. 혼자서 범블비를 걱정하는 말을 두 번이나 할 정도.
잠깐 대기해. 상황 좀 확인하고 올게. (아이언하이드랑 라쳇에게)
대장님, 정말 아무것도 안 할 겁니까?
옵티머스: 인간들을 해치지 않는 이상 범블비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래도 이건 좀 아니지 않습니까?
옵티머스: 내버려 둬.
- 섹터 7에 잡혀가는 범블비를 옵티머스가 보고만 있을 때.
범블비는 어떻게 할 겁니까? 이대로 생체 실험 쥐가 돼서 죽게 내버려 둘 겁니까?
- 범블비가 정부에게 실험 대상으로 고통받고 있을 때.
오토봇 VS 브롤

후반부 시가전에서는 비중은 적었지만 민첩함을 살려 용감히 싸웠다.
덤벼라, 디셉티콘 애송이!
Come on, Decepticon punk![6]

위의 대사와 함께 브롤에게 달려들어 포탑을 꺾고 미사일 런처를 발로 차 떼어내는 등 선전하지만 체급 차이가 너무 큰 탓인지 잡혀서 내동댕이쳐진다. 하지만 곧바로 일어나 슬라이딩하면서 동시에 사격을 가하는 등 멋진 모습을 보여준다.

메가트론이 본격적으로 등장했을 때 다른 오토봇들과 미군들은 당황하여 후퇴한 반면 혼자서 용맹하게 맞선다.[7] 그러나 메가트론이 쏜 캐논에 맞아 치명상을 입고[8] 그대로 붙잡혀 빌딩 위로 끌려간다.
재즈의 죽음
파일:external/illuminatiwatcher.com/IlluminatiWatcherDotCom-Transformers-Illuminati-Jazz-Dies.png
그럼에도 겁먹기는 커녕 메가트론을 도발하며 끝까지 저항하나 압도적인 체급 및 실력차를 이겨내지 못하고 반으로 찢겨 참혹하게 죽는다. 재즈 입장에서는 최후까지 도발했지만, 메가트론은 이를 말장난으로 받아치면서 진짜로 재즈를 두 조각(pieces)으로 찢어죽였다.[9] 직후 프라임이 현장에 도착하고, 메가트론은 죽은 재즈를 내던진 뒤 전투에 돌입한다.

재즈의 시신은 전투가 끝난 뒤 아이언하이드에 의해 회수되었다.[10]

3. 완구

1편에서 사망한 탓에 발매된 완구가 적은 편이다.

3.1. 스튜디오 시리즈

3.2. 마스터피스

3.3. 3사

3.3.1. threezero

3.3.2. 욜로파크

4. 기타

<nopad>
2007년 12월호 웹진 신년 연하장 버전 (GM대우 G2X 버전)
<nopad>


[1] 이후 이 자리는 맞후임인 아이언하이드가 맡는다.[2] 계급은 중위. 리부트 후 이 중위 직위는 클리프점퍼가 맡는다.[3] 트랜스포머 카로봇에서는 블랙 콘보이를,트랜스포머 갤럭시 포스에서 갤럭시 콘보이를, 트랜스포머 어드벤처에서도 옵티머스 프라임을, 트랜스포머 아마다에서는 주인공 화이트의 아빠를, 범블비(영화)에서는 잭 번스를 맡았다.[4] 처음 샘이 오토봇들을 만났을 때 옵티머스가 계급이 높은 순서대로 소개를 해준다. 그래서 재즈를 가장 먼저 소개하고 그 다음에 동기인 아이언하이드와 라쳇, 마지막으로 막내 범블비를 소개한다. 범블비가 잡혀갔을 때 아이언하이드랑 라쳇보고 손짓하면서 대기하라고 하는 것 보면 한참 선배인 듯하다.[5] 참고로 가장 어설프게 숨은 건 옵티머스다. 이쪽은 덩치가 너무 거대해서 그런 듯.[6] 훗날 이 대사는 3편에서 아이언하이드가 다시 한번 사용한다.[7] 사실 영화를 자세히 보면 재즈도 후퇴하려고 했지만 자기 뒤로 미처 도망 못 간 사람들이 있어 그들을 지키기 위해 메가트론에게 맞선 것이었다.[8] 몸체가 찌그러지고 바이저도 깨져서 얼굴이 드러난다.[9] 자막판에서는 이러한 말장난을 살리기가 어려웠는지 메가트론의 대사가 "성가신 놈!" 혹은 "해볼 거나 있나!" 정도로 대충 번역됐다. 확실히 우리말로 살리기 어려운 말장난이긴 하다. KBS 더빙판에선 "내가 그렇게 탐나냐? 한 조각 줄까?"/"아니, 두 조각은 되어야지!"로 번역. "한 번 붙어볼까? 한번 붙어보라고!"/"그래! 붙을 때까지 떼주마!" 같은 식으로 번역했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의견도 있다.[10] 아이언하이드가 회수한 시신에서 오른팔이 없는 것처럼 보여서 메가트론에게 두 동강나고 빌딩 아래로 던져졌을 때 떨어져 나간 것으로 보이나 자세히 보면 옵티머스 안쪽으로 접혀있는 걸 알 수 있다.[11] 사실 위 사진의 모습을 한 해즈브로판은 마스터피스까지 출시된 이상 매물이 자주는 아니어도 간간이 뜨는 편이다. 하지만 여기에 바이저와 유리창이 무색 클리어로 변경된 타카라판은 정말로 아직까지 부르는 게 값이다.[12] 뜬금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샘이 큐브를 들고 뛸 때 재즈는 비클 모드로 근처에 있었기 때문에 말이 되긴 한다. 물론 한동안 샘을 지켜주었던 아이언하이드나 라쳇과 더 잘 어울렸을 것이다. 아무래도 가장 작은 오토봇이다 보니 보너스로 넣어줬을 수도 있고, 오토봇 피규어를 수집할 명분을 제공하는 일종의 상술일 수도 있다.[13] 샘이 너무 크게 나온 거 아닌가 할 수도 있는데, 재즈의 비클인 폰티악 솔스티스가 원래 꽤 작은 차다.[14] 그런데 정작 발 부분은 통짜나 다름없다.[15] 라쳇이 56점, 아이언하이드가 55점, 범블비가 52점.[16] 미션에서는 스타스크림을 먼저 상대하다가 교대한 블랙아웃과 맞선다. 그러다 나중에는 둘에게 다굴당하는데 둘 다 쓰러뜨린다.[17] 같이 나온 토스카는 토이, 윈스톰은 윈짱, 마티즈는 마티라는 이름이 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