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6-05 16:36:47

루크레티우스


서양 철학사
고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호메로스 · 헤시오도스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헬레니즘 전 철학
초기 그리스 철학자들
탈레스 · 아낙시만드로스 · 아낙시메네스 · 크세노파네스 · 피타고라스피타고라스 학파 (메타폰툼의 히파소스 · 알크마이온) · 파르메니데스 · 엘레아의 제논 · 멜리소스 · 헤라클레이토스 · 크라튈로스 · 엠페도클레스 · 아낙사고라스 · 아르켈라오스 · 아폴로니아의 디오게네스 · 레우키포스 · 데모크리토스
소피스트들 프로타고라스 · 레온티노이의 고르기아스 · 트라쉬마코스 · 케오스의 프로디코스 · 엘리스의 히피아스 · 안티폰 · 크리티아스 · 칼리클레스 · 테베의 프록세노스 · 알키다마스 · 키오스의 리큄니오스 · 뤼코프론 · 아크라가스의 폴로스 · 아테네의 프로타르코스 · 크세니아데스 · 이소크라테스 · 파르살로스의 메논 · 익명의 소피스트 단편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 학파와 전통 크세노폰 · 스페토스의 아이스키네스 · 메가라의 에우클레이데스메가라 학파 (헤라클레이아의 브뤼손 · 투리오이의 클레이노마코스 · 밀레토스의 에우불리데스 · 칼케돈의 디오뉘시오스 · 폴뤽세노스 · 알렉시노스 · 판토이데스 · 디오도로스 크로노스 · 메가라의 필론 · 스틸폰 · 메가라의 니카레테) · 엘리스의 파이돈엘리스 학파 · 에레트리아의 메네데모스에레트리아 학파 · 키레네의 아리스티포스키레네 학파 (키레네의 아레테 · 소 아리스티포스 · 헤게시아스 페시타나토스 · 안니케리스 · 키레네의 테오도로스 · 키레네의 안티파트로스 · 키레네의 아리스토텔레스) · 안티스테네스 · 시노페의 디오게네스 · 초기 키니코스 학파 (오네시크리토스 · 테베의 크라테스 · 히파르키아 · 보뤼스테네스의 비온 · 가다라의 메니포스 · 메가라의 텔레스 · 케르키다스 · 에이기나의 필리스코스 · 모니모스 · 메트로클레스 · 메네데모스 · 가다라의 멜레아그로스) · 위-소크라테스
플라톤
플라톤의 저작 소크라테스의 변명 · 크리톤 · 카르미데스 · 라케스 · 뤼시스 · 크라튈로스 · 이온 · 에우튀프론 · 프로타고라스 · 에우튀데모스 · 고르기아스 · 메논 · 향연 · 파이돈 · 메넥세노스 · 파르메니데스 · 테아이테토스 · 파이드로스 · 국가 · 소피스테스 · 정치가 · 필레보스 · 티마이오스 · 크리티아스 · 법률 · 위-플라톤 (알키비아데스 1 · 대 히피아스 · 소 히피아스 · 클레이토폰 · 테아게스 · 알키비아데스 2 · 에피노미스 · 안테라스타이 · 히파르코스 · 미노스 · 호로이)
고아카데미아 스페우시포스 · 크세노크라테스 ·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 · 헤라클레이데스 폰티코스 · 오푸스의 필리포스 · 아테네의 폴레몬 · 아테네의 크라테스 · 솔로이의 크란토르
아리스토텔레스
전기 소요학파 테오프라스토스 · 로도스의 에우데모스 · 메논 · 로도스의 파시클레스 · 스켑시스의 넬레우스 · 메세네의 디카이아르코스 · 타렌툼의 아리스톡세노스 · 솔로이의 클레아르코스 · 에레수스의 파이니아스 · 헤라클레아의 카마일레온 · 사모스의 두리스 · 팔레룸의 데메트리오스 · 프락시파네스 · 람프사코스의 스트라톤 ·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 · 로도스의 히에로뉘모스 · 트로아스의 뤼콘 · 케오스의 아리스톤 · 프뤼타니스 · 포르미온 · 파셀리스의 크리톨라오스
헬레니즘-로마 제국 철학
안티스테네스 · 디오게네스
스토아학파 제논 · 세네카 · 에픽테토스 · 아우렐리우스 / 절충주의: 키케로
에피쿠로스 · 루크레티우스
회의주의 피론 · 아이네시데모스 · 엠피리쿠스
플로티누스 · 포르피리오스 · 프로클로스
기타 학파 아카데미아학파 }}}}}}}}}
루크레티우스
Lucretius
파일:Lucretius1.jpg
본명 티투스 루크레티우스 카루스
Titus Lucretius Carus
출생 기원전 99년?
미확인
사망 기원전 55년? (향년 44세?)
미확인
직업 철학자, 시인
학파 에피쿠로스 학파

1. 개요2. 생애와 사상3. 평가4. 어록

1. 개요

기원전 1세기에 활동한 로마 공화국시인, 철학자.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를 저술한 것으로 유명하며, 이는 현재까지 전승되는 몇 안 되는 에피쿠로스 학파 텍스트로 알려져 있다.[1]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에피쿠로스와 구분되는 그만의 독자적인 사상을 남겼다.

2. 생애와 사상

기원전 99년에 태어나 기원전 55년 약 44세의 나이로 죽은 것으로 추정되는 것 빼고는, 루크레티우스의 생애에 대해서는 전해지는 바가 거의 없다. 교부 히에로니무스에 따르면, 루크레티우스가 애인이 준 사랑의 묘약을 먹고 광기에 빠져서 제정신이 들 때마다 쓴 책이 바로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이며 결국에 그는 자살했다고 하는데, 이는 루크레티우스의 유물론을 공격하기 위해 히에로니무스가 창작한 허구라는 게 최근 학자들의 견해이다.[2]

루크레티우스는 철저한 무신론유물론에 기반해 합리론쾌락주의 입장을 취했는데,[3] 이 같은 사상 때문에 5세기 이후 기독교 사회에 접어든 유럽에서 루크레티우스는 강력한 비난을 받고 사라지게 된다.

15세기 르네상스 시기에 이르러서야 루크레티우스는 지식인들에게 재발견되어, 후대 많은 사상가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영향을 받은 유명인으론 대표적으로 레오나르도 다빈치, 니콜로 마키아벨리, 미셸 드 몽테뉴, 조르다노 브루노, 토머스 제퍼슨, 퍼시 비시 셸리, 프리드리히 니체, 질 들뢰즈 등이 있다.

3. 평가

루크레티우스의 시는 네가 편지에서 언급한 것처럼 빛나는 천재성으로 가득하더구나. 그런데 매우 예술적이기도 하더군.[4]
키케로
사물의 원인을 밝히는 데에 성공한 자에게는 축복이 있을진저.[5]
베르길리우스
숭고한 루크레티우스의 시는 세계가 멸망하는 그날까지도 결코 사라지지 않을 운명이다.[6]
오비디우스
루크레티우스는 우주의 본연 그대로, 강렬함 속에 있는 그 위대한 힘으로 '신성한 즐거움'을 노래한다. 우주론적 자기 확신을 갖고 있는 루크레티우스는 우리에게 죽음의 공포를 무관심한 일로 돌리라고 권한다. … 베르길리우스의 시에 비해 그리 다양하지 않은 루크레티우스의 시가 내게 끼친 미학적 영향은 베르길리우스만큼 크지 않지만 읽는 보람은 훨씬 더 크다.[7]
해럴드 블룸

4. 어록

Tantum religio potuit suadere Malorum.
종교가 악행을 조장할 수 있음이 이토록 크다. [8]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1권 101행
nullam rem e nihilo gigni divinitus umquam.
어떤 것도 결코 신에 의해 무(無)로부터 태어나진 않았다.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1권 150행
corpus ubi interiit, periisse necessest confiteare animam distractam in corpore toto.
육체가 죽은 곳에서, 영혼도 몸 전체로 흩어져 소멸된다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3권 799행

[1] 사실상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의 《철학자들의 생애와 그들의 주장》과 더불어, 현존하는 유이(唯二)한 에피쿠로스학파 자료이다.[2] 현대의 고전 연구자들은 루크레티우스에 대한 성 히에로니무스의 기술 내용을 매우 회의적인 시각으로 본다. 연대기는 루크레티우스가 죽은지 수백 년이 지난 후에 작성되었으며 어쩌면 사실을 기록했다기보다는 지어냈다는 표현이 옳을지도 모른다. 성 히에로니무스는 이교도 철학자들과 관련하여 경고가 될 만한 이야기를 전하는 데에 관심이 많았던 기독교 논객이었다. (스티븐 그린블랫 『1417년, 근대의 탄생』 이혜원 옮김, 까치글방, 서울, 2013, p.70)[3] 과격하게 요약하면, "이 세상에 추상적인 가치는 없다. 오직 물질 뿐이다. 그러니 즐기며 살아라!"라고 할 수 있다.[4] 기원전 54년 2월 11일에 키케로가 그의 동생 퀸투스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5] 스티븐 그린블랫 『1417년, 근대의 탄생』 이혜원 옮김, 까치글방, 서울, 2013, p.68 참조.[6] 스티븐 그린블랫 『1417년, 근대의 탄생』 이혜원 옮김, 까치글방, 서울, 2013, p.68 참조.[7] 「사람이 알아야 할 모든 것 : 세계문학의 천재들」, 손태수 역, 들녘, 2008, p.108[8] 직역하면 "종교가 (그들을) 악들로 설득시킬(권유할, 부추길, 조장할) 수 있는 것이 이만큼 크다." 루크레티우스는 이 문장의 바로 앞에서, 종교로 인해 죄없는 아가멤논의 딸이 제물로 바쳐졌다는 것을 상기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