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18:53:36

소크라테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소크라테스(동명이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서양 철학사
고대 철학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16px -11px;"<tablewidth=100%> 고대 철학 중세 철학 근대 철학 현대 철학 }}}
<colbgcolor=#545454><colcolor=#ffffff>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
탈레스 · 아낙시만드로스 · 아낙시메네스 · 헤라클레이토스
피타고라스 · 필롤라오스
엘레아학파 크세노파네스 · 파르메니데스 · 제논 · 멜리소스
다원론자 엠페도클레스 · 아낙사고라스 · 데모크리토스
아테네 철학
소피스트 프로타고라스 · 고르기아스 · 히피아스 · 프로디코스 · 트라시마코스 · 칼리클레스 · 안티폰
소크라테스 · 플라톤 · 아리스토텔레스
헬레니즘-로마 제국 철학
안티스테네스 · 디오게네스
스토아학파 제논 · 세네카 · 에픽테토스 · 아우렐리우스 / 절충주의: 키케로
에피쿠로스 · 루크레티우스
회의주의 피론
플로티누스
기타 학파 아카데미아학파 · 키레네학파 · 메가라학파 }}}}}}}}}
소크라테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Our Time's Greatest Philosopher
※ 2005년 영국 BBC 방송이 BBC 라디오 4 청취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철학자'를 선정
1위2위3위4위5위
카를 마르크스 데이비드 흄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프리드리히 니체 플라톤
6위7위8위9위10위
이마누엘 칸트 토마스 아퀴나스 소크라테스 아리스토텔레스 칼 포퍼
출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00 Greatest Greeks
※ 2009년 그리스 Skai TV 방송이 그리스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그리스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 2위 3위 4위 5위
알렉산드로스 3세 게오르요스 파파니콜라우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 콘스탄티노스 카라만리스 소크라테스
6위 7위 8위 9위 10위
아리스토텔레스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플라톤 페리클레스
11위~100위
11위12위13위14위15위
미키스 테오도라키스 콘스탄티노스 카라테오도리 멜리나 메르쿠리 안드레아스 파판드레우 니코스 카잔차키스
16위17위18위19위20위
오디세아스 엘리티스 호메로스 마노스 하지타키스 레오니다스 1세 히포크라테스
21위22위23위24위25위
피타고라스 콘스탄티노스 카바피 마리아 칼라스 아르키메데스 아리스토틀 오나시스
26위27위28위29위30위
하릴라오스 트리쿠피스 엘 그레코 콘스탄티노스 11세 요르기오스 세페리스 리가스 페레오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아리스 벨루키티오스 요안니스 메탁사스 니코스 갈리스 게오르기오스 카라이코스 데모크리토스
36위37위38위39위40위
게오르기오스 게미스토스 플레톤 디오니시오스 솔로모스 야니스 마크리야니스 아다만티오스 코라이스 야니스 리트오스
41위42위43위44위45위
테미스토클레스 헤라클레이토스 투키디데스 에우클레이데스 파블로스 멜라스
46위47위48위49위50위
아테네의 크리스토둘로스 아타나시오스 디아코스 테오도로스 자고라키스 디미트리 나노풀로스 무명용사
51위52위53위54위55위
페이디아스 아리스토파네스 코스티스 팔라마스 에톨리아의 코스마스 마놀리스 안드로니코스
56위57위58위59위60위
소포클레스 니코스 벨로야니스 코넬리우스 카스토리아디스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니콜라오스 마르지오리스
61위62위63위64위65위
알렉산드로스 파나굴리스 요르요스 파파도풀로스 에피쿠로스 알렉산드로스 파파디아만티스 오톤
66위67위68위69위70위
반젤리스 솔론 클레이스테네스 아이스퀼로스 바실리오스 2세
71위72위73위74위75위
콘스탄티누스 1세 이온 드라구미스 코스타스 시미티스 니콜라오스 플라스티라스 디미트리 미트로풀로스
76위77위78위79위80위
테오 앙겔로풀로스 니코스 실루리스 스텔리오스 카잔티디스 차릴로스 플로라키스 에우리피데스
81위82위83위84위85위
카롤로스 코운 유스티니아누스 1세 라키스 라조폴로스 헤로도토스 다나시스 벤고스
86위87위88위89위90위
헬레네 글리카츠아흐와일러 카티나 팍시누 알리키 부지욱라키 마르코스 밤바카리스 그리고리스 람브라키스
91위92위93위94위95위
바실리스 치차니스 피로스 디마스 마노스 로조스 마노리스 글레조스 엘레나 무잘라
96위97위98위99위100위
필리포스 2세 디미트리스 혼 라스카리나 부불리나 탈레스 프락시텔레스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
<colbgcolor=#000><colcolor=#fff> 소크라테스
Σωκράτης | Socrates
[1]
파일:external/media1.britannica.com/75569-004-3B260631.jpg
출생 기원전 470년
고대 그리스 아테네
사망 기원전 399년 (향년 71세)
고대 그리스 아테네
직업 철학자, 석공, 군인
1. 개요2. 생애
2.1. 개인사2.2. 공적인 삶
3. 사상
3.1. 소크라테스 문제3.2. 산파술3.3. 악법도 법이다?3.4. 변증법
4. 소크라테스의 재판5. 사망6. 영향과 평가7. 제자들8. 소크라테스에 대한 어록들9. 기타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검토되지 않은 삶은 살 가치가 없다.[원문]
소크라테스의 변명, 38a

고대 그리스 아테네철학자.

밀레토스의 탈레스와 더불어 "철학의 아버지"로 칭송된다. 탈레스가 자연철학 분야를 개척했다면, 소크라테스는 인간 내면으로 눈을 돌렸다. 그의 생애와 사상은 경건하고 윤리적이며 보편성과 객관성을 열망하는 면모가 강하면서도, 신비적, 감성적, 권위적이기보다는 이성적, 비판적, 반성적인 자세와 토대를 추구한 것이었다.[4] 그는 이러한 태도를 타자에게 설교하기보다 자기자신이 우선 체화하고자 노력했고, "나는 내가 아무 것도 모른다는 것을 안다"는 깨달음을 얻으며 오늘날 말하는 메타인지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 개인의 성격은 소탈하고 친절했으며, 대화에는 해학이 있었으므로, 그의 추한 외모에도 불구하고 알키비아데스, 플라톤 등 명문가 젊은이들까지 매료되어 그를 추종하기도 하였다.

일반적인 소피스트들과는 달리 소크라테스는 여간해서는 스승을 자처하지 않았으며, 자신을 어리석은 사람으로 낮추었고, 대화자의 학생을 자처했으며, 다만 함께 대화하며 진리를 모색하고 검토할 것을 요청했다. 이 문답 과정에서 그의 탐구 및 교육 방법으로 유명한 산파술 혹은 변증술이 탄생했다. 그는 화제의 핵심과 선결 요건[5]을 파악하고 상대 논변의 맹점과 반례를 제시하는 데 탁월했지만, 이를 상대를 부정하고 배제하기 위해서가 아닌 상호 지양적인 목적에서 행하였다.[6][7] 이것은 오늘날 토론[8]학문이 지향하는 바의 모범이 되었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이 직접 어떠한 저술이나 일기를 남기지 않았다. 때문에 그의 제자 혹은 지인들, 대표적으로 플라톤이나 크세노폰, 소크라테스에게 비판적인 극작가 아리스토파네스 등이 남긴 저술을 통해서만 간접적으로 그의 삶과 사상을 알 수 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소크라테스의 일화나 행적은 대부분이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에 근거한 것이다.

대화편 가운데 특히 <<변명>>, <<크리톤>>, <<파이돈>> 3부작은 서구 문학사상 예수의 최후에 필적하는 매우 비극적이고 경건하며 장엄한 최후를 묘사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것이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핍박받은 성인, 진리를 위해 죽은 현자로서의 소크라테스 이미지 형성에 크게 기여하였다.

2. 생애

2.1. 개인사

석공인 소프로니스코스(Σωφρονίσκος)와 산파인 파이나레테(Φαιναρέτη)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본인도 본업이 석공이었다고 전해진다.

외모는 못생겼었다고 전해지며 이 때문에 외모지상주의 풍조가 있던 당시 아테네에서 꽤 고생을 했다고 한다.[9][10] 실제로 소크라테스가 아테네 시민들 사이에서 알려진 것도, 그의 미남 제자아고라에서 소크라테스를 찬양하는 연설을 하면서부터였다 하니,[11] 아테네의 외모지상주의나 소크라테스의 추모(醜貌)가 얼마나 심각했는지 대략 짐작해 볼 만하다.[12] 플라톤의 저작 『메논』에서 메논은 소크라테스와 논쟁 중에 그를 '전기가오리 같다'고 비하하기도 했다.[13]

그러나 외모를 불문에 부치고도 그의 풍모는 상당히 비범했던 것으로 보이는데, 신발을 신지 않고, 누더기가 되기 직전의 옷을 걸치고 다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크라테스는 이에 대해서 난 이렇게 다녀도 익숙해서 편하고 정신력도 단련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다른 사람들이야말로 옷이나 신발에 길들여져서 불편한 거 아니냐고 했다고 한다.[14] 이런 초연한 풍모를 과시하고 다닐 뿐만 아니라, 석공 출신이라 그런지 상당히 튼튼한 몸을 타고난 것으로 여겨진다. 잔치 자리에서 술을 가장 많이 들이키고도 가장 말짱한 정신으로 가장 늦게까지 토론을 하다가 유유히 떠날 수 있는 체력과 정신력 그리고 알콜 분해력의 소유자로 여겨진다. 또한 전투에 참전했을 당시에도 배고픔이나 목마름, 추위, 더움, 잠자리, 적군 등에 조금도 동요하지 않고 평상심을 유지하던 강철멘탈의 소유자였다고 한다. 게다가 사색을 즐겨 하여, 어떤 문제가 떠오르면 해답이 떠오를 때까지 밤낮을 가리지 않고 가만히 서서 몇 시간이고 길게 생각에 잠기다가 해답을 찾고 자리를 떠나는 일이 종종 있어서 다른 아테네 사람들이 구경하였다고 한다. 여러 모로 기인의 풍모를 지니고 있었음에는 틀림이 없다.

그의 아내였던 크산티페는 못생긴 악처(惡妻)였다고 전해지는데,[15] 사실 앞뒤 정황을 따져보면, 소크라테스의 아내는 오히려 현처(賢妻)였을 가능성도 있다.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에서 유명한 철학자였지만, 사실 아내 입장에서 소크라테스는 돈도 없는 주제에 맨날 돈 많은 사람(대표적으로 플라톤)과 사색한답시고 수다나 떨러 다니는 남편으로, 집안 살림은 크산티페가 다 책임졌다. 소크라테스가 물려받았으나 운영 등에 무관심하여 거의 내팽개치다시피 했던 석공소도 크산티페가 직접 운영했다.

그러나 이런 크산티페가 소크라테스를 내쳤다는 기록은 없으며, 외려 소크라테스가 독배(毒杯)를 마시고 사망할 때 그의 죽음을 슬퍼하며 울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물론 다혈질기가 있었고 잔소리에 자주 티격태격하긴 했지만 부부관계가 파탄날 정도로 심각한 건 아니었다. 아내의 잔소리에, 소크라테스는 이런 부인이 참을성을 길러준다고 했다나 어쨌다나. 하여튼 이런 점들을 종합해 볼 때, 크산티페가 악처라고 전해지는 것은 다툼이 많은 친구를 악우라고 하는 것처럼, 단어 그대로의 의미가 아닌 것으로 보이며, '효자보다 악처가 낫다'는 이야기와도 통한다. 소크라테스가 말했다고 전해지는, "젊은이여, 결혼하라. 좋은 처를 얻으면 행복할 것이고, 악처를 얻으면 철학자가 될 것이다"라는 농담도 그 행간(行間)을 읽을 필요가 있다.[16]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와 스파르타가 대결한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30대 후반에서 40대의 나이에 중보병으로 종군하기도 했다. 당대 아테네 시민은 신체 및 정신에 장애가 있거나 만 50세를 넘지 않았다면 군복무 의무가 있었으므로, 소크라테스도 군인으로 참여했다. 대표적인 참전 전투로는 델리온 전투가 있는데, 이때 아테네군이 패배했지만, 소크라테스는 침착하게 후퇴하는 담대함을 보여주었으며, 그가 소속된 부대도 소크라테스의 침착한 대처 덕분에 무질서하게 패주하지 않고 무사히 전장을 빠져나올 수 있었다고 한다.[17][18] 무려 세 번이나 참전했다고.[19]

《아테네의 변명》과 《소크라테스의 재판》이라는 책에서, 소크라테스의 삶과 당시 세계관이 잘 드러난다.

소크라테스는 평생 동안, 위에 서술된 것처럼 세 번 참전했던 것과, 딱 한 번 이스트모스에서 포세이돈을 위해 열리는 대축제였던 이스트미아 제전을 구경하러 간 것을 합쳐, 단 네 번밖에 아테네를 벗어난 적이 없었다고 한다. 플라톤의 《크리톤》에서 아테네의 법이 소크라테스에게 묻는 형식으로 자문자답한 《소크라테스의 독백》에 의하면, '우리(아테네의 법)와 우리의 도시(아테네)만으로도' 소크라테스에겐 충분했기 때문이라고.

2.2. 공적인 삶

우선 소크라테스의 삶은 가난했다.[20] 일을 한다는 것 자체가 철학자의 삶에 어긋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돈을 벌어오라는 아내의 구박을 많이 받았고, 이 때문에 상술했듯 티격태격 싸우는게 일상다반사가 된 것. 이에 영향을 받았는지, 하루는 제자들 중 한 명이 "스승님, 결혼은 해야 합니까, 말아야 합니까?" 라는 질문에, "해도 후회하고 안 해도 후회한다" 라고 답했다고 전해진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드는 의문이, 이렇게 가난했던 소크라테스가 일개 수병도 아니고 최소 중산층 이상은 돼야 군장(軍裝)을 마련할 수 있었던 중장보병으로 어떻게 참전할 수 있었느냐다.[21][22] 이에 역사가들이 제시하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석공소 주인이었던 소크라테스의 아버지가 페리클레스의 아테네 재개발 사업으로 단단히 한몫 잡았을 거라는 설, 소크라테스 대신 석공소를 운영했던 크산티페가 의외로 수완이 탁월한 경영자였을지도 모른다는 설, 알키비아데스 같은 부유한 제자들이 스승님을 위해 대신 군장을 마련해 드렸을 것이라는 설 등. 아니면 그냥 대대로 군장을 물려받았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아직 확실한 사실은 밝혀지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고향인 아테네를 지극히 사랑했던 철학자로서, 소피스트들의 궤변에 아테네가 놀아나고 상대주의에 빠지는 모습을 보며, 이에 반발하여 보편적 지식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주장하며 등장했다.

보통 사람들의 시선에서 보면 지극히 기이한 인물로, 하는 일도 없이 시장이나 광장을 돌면서 사람들을 붙잡고 묘한 철학적 질문을 해댄 것으로 유명하다.[23]

또한 아테네에서는 공적인 자리에서 정치적인 의사를 피력하는 것이 높이 평가되었으나, 소크라테스는 그러한 공적인 모임에도 그다지 참여하지 않았다. 《소크라테스의 변명》이라는 책에서는, 그가 정치에 관여하는 것을 다이몬이 금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24]

좀 더 와 닿게 설명하자면, 돈도 안 벌어오면서 딱히 정치적인 활동을 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시장바닥이나 광장에서 지나가는 사람 붙잡아다 얘기를 나누다가 '당신은 아무것도 모른다'고 하는 인물이었다. 다만 그가 비록 공적인 모임에 참여하지 않았다 해도,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들은 공적인 삶과 사적인 삶이 현대인들보다 대단히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개중에서도 아테네와 같이 가장 번성하고 개방적인 도시국가는, 외국인이나 시민권을 얻지 못한 채 오래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도 많았기 때문에, 시민권자들은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시민권자들이 시장바닥이나 광장에서 국가정책이나 도덕에 대해 토의를 하는 것은 현대보다는 상당히 긍정적이고 자연스러운 모습이었다. 현대로 치면 명사나 학자들이 TV나 유튜브 교양 방송에 나와서 토의하는 것과 같은 역할이었다.

3. 사상

소크라테스는 윤리학을 철학에 도입한 사람이다.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25]

3.1. 소크라테스 문제

소크라테스는 생전에 어떤 기록도 남기지 않았으며, 오직 아리스토파네스, 크세노폰, 플라톤 같은 당대 인물들이 소크라테스에 대해 남긴 기록만이 남아있을 뿐이다. 거기다가 이런 소크라테스와 알고 지내던 당대 인물들조차도 '소크라테스의 견해는 무엇인가?'라는 문제에 대해서는 각기 생각이 달랐던 것으로 보이기에, 2천년이 훨씬 넘은 21세기 독자의 입장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힘들어 보인다.

바로 이러한 '소크라테스는 실제로 어떤 사람이었으며, 실제로 어떤 생각을 했는가?'라는 문제를 두고 학계에서는 "소크라테스 문제(Socrates problem)"라고 부른다.

상기된 바와 같이 우리가 흔히 아는 소크라테스의 면모는 대개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에 묘사된 소크라테스의 모습에 바탕을 두고 있으나, 역사적 소크라테스가 정말 어떤 생각을 했을지를 규명하는 것은 여전히 문헌학적인 과제로 남아있다.

3.2. 산파술

추가 질문을 계속해서 자신의 무지를 깨닫게 하는 방법을 썼다. 이러한 질문 중심 교수법을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혹은 산파법(산파술)[26]이라고 부른다.

플라톤의 글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의 대화패턴은
1. 상대가 어떤 A 주장을 한다.
2. 소크라테스가 A 주장에 나온 단어 a의 뜻을 묻는다.
3. 상대가 a = b 라고 답한다.
4. 소크라테스가 다시 b 의 뜻을 묻는다.
5. 상대가 b = c 라고 답한다.
6. 소크라테스가 a하고 c는 서로 모순됨을 지적한다.
7. 상대는 벙어리가 된다.

거듭된 질문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스스로 부정할 수밖에 없게 된다. 유도심문과도 비슷해 보이지만 그것과는 다르다. 함정에 빠뜨리거나 혹은 심문하려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것부터 검토해 나아가는 것이다. 상대방은 이내 자신이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한 개념이 사실은 오류가 있는 개념임을 깨닫게 되고, 당황하거나 화내거나 부끄러워하게 된다. 이를 아포리아(Aporia, ἀπορία)라고 한다.

소크라테스가 산파술을 사용한 이유는 그의 주상대가 소피스트라는데 있다. 당시 소피스트들이 가진 대세의 의견은 진리는 그 사람의 주관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다시말해 정답이란 정해진게 없고, 질문하는 사람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들은 상대방에 맞춰서 그때 그때 대응하는 어떻게 보면 매우 유연하고, 어떻게 보면 매우 일관성이 없는 주장을 늘어놓고는 했다. 소크라테스가 지적한 것은 사유에 있어서 정의 (definition)의 중요성이다. 정의를 제대로 내리지 않고 생각을 하니까 도대체 진척이란게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는 그의 삶동안 소피스트들을 박살내면서 정의를 내리는 것의 중요성을 몸소 실현해 보인다.

하지만 그의 산파술에 대해서는 당대로부터 많은 불만이 있어왔다.
"선생님은 누가 질문을 하면 대답은 하지 않고 대답을 회피하기 위해 무식한 척을 할 뿐입니다."
소크라테스의 답에 대한 트라시마코스의 반응. 플라톤의 <국가> 중
"당신 자신은 누구에게도 설명하기를 원하지 않고 어떤 것에 대해서도 당신의 견해를 밝히기를 원하지 않는 것을 그만 두십시오."
소크라테스를 쏘아붙이는 히피아스. 크세노폰의 <회상> 중

이에 관해서 플라톤의 경우에는 소크라테스가 스스로 아는 것이 없는 무지자라고 말하는 것으로 항상 끝맺는 태도를 보인다. 이 점은 소크라테스가 답을 찾는 여정 자체를 소중히 여겼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난 지혜를 낳지 못하네. 그리고 바로 이 점을 두고 이제껏 많은 사람들이 나를 비난했다네."
플라톤의 <테아이테토스> 중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에서 계속 산파술을 시전하고 다닌 끝에, 결국 자기가 안다고 생각하는 것을 정말로 아는 사람은 없다는 걸 깨닫게 되고, "나는 내가 아무 것도 모른다는 걸 안다"는 말을 남겼다.[27]

전해져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당시 델포이 신전에 어떤 사람[28]이 '아테네에서 소크라테스보다 더 현명한 자가 있습니까?' 라고 묻자, 무녀는 평소에 늘 쓰던 은유나 수사들을 생략[29]하고 단 한 마디로 '아니'[30] 라는 신탁을 주었다고 한다. 이에 소크라테스는 그럴 리 없다고 생각하여, 똑똑해 보이는 사람(정치인, 작가, 장인 등)들을 닥치는 대로 만나고 다니며 그들의 지혜를 시험해 봤다고 한다. 그러나 결국 '똑똑해 보였던' 사람들은 자신의 무지(혹은 편견)조차 몰랐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되고, 그제야 소크라테스는 '자기가 무지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던' 자신이 아테네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이었다고 깨닫게 되었다는 것이다.

공자도 비슷한 말을 한적이 있다.
유(=자로)야, 안다는 것이 어떤지를 가르쳐주겠다.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진정한 앎이다.
<논어> 위정편 17
하지만 비슷해보이기만 할 뿐 그 뜻은 매우 다르다. 소크라테스는 진리에 도달하기 위한 지적으로 개방적인 태도 계속하는 것을 말한것이다. 반면에 공자의 말은 전통적으로 2가지로 해석[31]되는데,
1. 수양론적 해석: 부족한 부분을 지나치지 않고 채워야 성인에 이른다는 해석이다. 부족한 지점을 알아야 그것을 채워서 완전한 경지에 이를 텐데, 이를 모르니 시간과 노력을 낭비한다는 것이다. 비유하자면 전과목을 만점을 목표로 하는 학생이 자신이 어느 과목이 약한지 모르는 것과 같다. 반면 소크라테스는 학자로써의 기본자세를 말한 것에 가깝다.
2. 순자의 해석: 잘난척하지 말고 조심하라는 해석이다. 자로에게 공자가 조언하는 맥락에서 나온 것이라는 점에 주목한 해석이다. 자로는 용맹하지만 조심성이 없는 사람이었다. 떄문에 하찮은 재주로 자랑해서 남들의 마음을 불편하게하지 말라는 의미로 말했다는 것이다. 순자는 개인의 능력은 공동체를 위해서 필요할 때 나서야 의미 있는 것으로 본다.

위와 같이 공자와 소크라테스는 매우 다른 사유와 접근법을 사용 했던 인물들이기 때문에 둘을 연결짓는 것은 무리가 있다.

참고로 "너 자신을 알라"라는 말은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 입구에 새겨져 있는 말이기도 하지만, 소크라테스가 살아생전 중요하게 여긴 말이라고도 알려져 있다.[32] 청년 알키비아데스와 소크라테스의 대화에서 소크라테스가 이 말을 인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속 편한 알키비아데스, 부디 나의 말과 델피에 있는 글귀를 받아들여 자네 자신을 알도록 하게. 적수는 이들이지 자네가 생각하는 자(아테네 정치가)들이 아니니 말일세. 돌봄과 기술(앎)이 아니라면, 다른 그 무엇으로도 그들을 능가할 수 없을 걸세. 이것들을 결여한다면, 그리스 사람들 사이에서든 이방인들 사이에서든 자네가 명성을 얻는 일 역시 결여하게 될 걸세. 내가 보기에 어느 누가 그 무엇을 사랑하는 것보다 자네가 더 사랑하는 것으로 보이는 그 명예 말일세."
{{{#!wiki style="text-align: right;"
김주일, 정준영 역, 《알키비아데스Ⅰ, Ⅱ》 이제이북스(2007).}}}

3.3. 악법도 법이다?

악법도 법이다.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는 직접적으로 위와 같은 말을 남긴 적이 없다. ''악법도 법이다"라는 말은 일본의 법철학자 오다카 도모오가 1930년대에 출판한 그의 책, 《법철학》에서 실정법주의(實定法主義)를 주장하며 쓴 글이다. 실정법주의란 서양의 철학에서 실증주의 맥락에서 나온 것인데, 좋은법 나쁜법을 따지는 것은 법률가의 영역이 아니고, 오로지 지금 존재하는 법들을 놓고서 법학을 해야한다는 입장이다. 일종의 법학의 과학화를 추구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빠르게 와전되어서 법은 존재하기 때문에 지켜져야 한다는 의견으로 나가면서 일본의 잔혹한 식민통치를 합리화하는데 이용되었다. 뿐만아니라 독일의 나치, 대한민국의 군부독재에서도 그 통치를 합리화하고, 국민들에게 재갈을 물리기 위한 명언으로 요긴하게 써먹었다. 이 때문에 당시 민주화 운동을 한다며 나선 자들 사이에선 소크라테스가 인기가 없었다는 우스갯소리도 했다. 헌법재판소는 2005년 11월에, '악법도 법이다'를 소크라테스의 어록으로서 학교에서 가르치는 것은 부적격하다는 의견을 냈다. 실정법주의는 2차세계대전의 종전과 함께 법학계에서는 사장당했고, 법실증주의조차 절름발이 설명력을 가졌다고 보아 뜯어고쳐서 써야한다는 의견이 다수설이다.

소크라테스는 직접적으로 위와 같은 말을 남긴 적이 없다. 다만 "폴리스의 결정을 내가 억울하다 해서 위배하여 이러한 일들이 반복된다면 폴리스가 유지되겠는가? 이러한 행동은 옳은가?" 와 같은 뉘앙스의 말은 한 적이 있다. 하지만 단답적으로 해석하는 것은 무지한 해석이다.[33]

'악법도 법이다' 라는 말을 하면서 독배를 든 것으로 잘못 알려져 있으나, 상술(上述)했듯 소크라테스는 《대화편》에서 이러한 말을 한 적이 없다. 사실 이 말은 고대 로마의 법률 격언 “두라 렉스, 세드 렉스(dura lex, sed lex, 법이 지독해도, 그래도 법이다)”를 번역한 말이다. 로마의 도미티우스 울피아누스가 말했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역시 자기 책에 저 격언을 인용했을 뿐이다. 소크라테스는 자신의 죄목인 불경죄를 악법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으며 자신의 죽음을 부당한 법이 아니라 부당한 판결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크리톤》에서 친구 크리톤이 탈옥을 권유했을 때, 소크라테스는 법에 의한 판결을 (비록 그 판결이 부당해 보이더라도) 개개인의 판단으로 부정하려고 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반론을 한다.
그럼 이렇게 생각해 보게. 가령 이곳에서 도망할 작정으로 있는 우리한테로, 이 짓을 어떻게든 일컫건 간에, 법률과 시민 공동체가 다가와서는 막아서고서 우리에게 묻는다고 말일세. “소크라테스여, 말해다오. 그대는 무엇을 하려고 하고 있나? 그대는 그대가 하려는 이 일로써 우리 법률과 온 나라를, 그대와 관련되는 한, 망쳐놓으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게 아니겠나? 혹시 그대가 생각하기엔 이런 나라가, 즉 나라에서 일단 내려진 판결들이 아무런 힘도 쓰지 못하고 개인들에 의해 무효화되고 손상되었는데도, 그런 나라가 전복되지 않고서 여전히 존속할 수 있을 것 같은가?” 크리톤, 우리는 이 물음들이나 또는 이와 같은 부류의 다른 물음에 대해서 뭐라 대답할 것인가?(50a~b)
이에 대해서, 그가 계약론적 사고를 가졌다는 해석도 있다. 소크라테스가 크리톤에게 한 말을 보면, 아테네와 아테네의 법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얼마든지 다른 폴리스로 떠날 자유가 있었는데도, 평생 아테네를 떠나지 않고 아테네가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을 누리며 살았다면, 이는 아테네의 법률을 지키겠다는 무언의 약속을 한 것이나 다름없다는 주장이다. 그래서 소크라테스가 탈옥을 한다면, 그 계약을 어기게 된다는 것이다. 또한 소크라테스가 외국으로 피하길 원했다면, 애초에 재판정에서 순순히 추방형을 제안했다면 충분히 받아들여졌을 텐데, 이제 와서 판결에 불복해 해외로 도피하겠다는 건 모순이라는 것도 소크라테스 스스로 지적한다. 이 계약론적 사고에 대해서 부가적인 설명을 하자면, 소크라테스는 정의를 강하게 신봉하는데, 결국 이 때문에 스스로 죽음을 택하였다고 볼 수도 있다. 압축적으로 보면, 소크라테스가 죽음을 택한 이유는 그 자신의 철학 때문인데, 그는 철학이 유일한 인생의 이유라고 보기도 하기 때문이다. ’Unexamined life for a man is not worth living.’[34] 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 소크라테스는 인생의 이유는 정의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유일하게 정의가 무엇인지를 알고 행하기 위해서는 철학이 필요하다고 믿었다. 이는 신과의 계약이며, 영혼을 아름답고 조화롭게 유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믿었던 사람이니, 소크라테스가 철학을 포기하고 도피를 하면 아테네와의 계약은 지키더라도, 신과의 계약을 어기는 행위가 되니 죽음을 택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했으리라는 것이다.

3.4. 변증법

문서 참조

4. 소크라테스의 재판

소크라테스는 아테네에서 고발되어서 재판에 선 끝에 패소하여 사형선고를 받았다.

이 소크라테스의 재판에 대해서 당대에 자세히 서술한 자료는 2개가 있는데, 하나는 잘 알려진 플라톤의 대화편의 "변론"이고, 또 하나는 또 다른 소크라테스의 제자 크세노폰의 "회상"이다.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중에서 철학적으로 성과가 가장 으뜸인 제자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크세노폰은 철학적 재능은 그보다 훨씬 못하지만, 당대에 유명한 군인이면서 외교, 정치 감각도 탁월했던 인물이다. 플라톤이 소크라테스의 철학적인 면을 잘 조명한다면, 크세노폰은 당대의 정치적 상황과 아테네 민중이 어떻게 소크라테스를 바라봤는지에 관한 단서를 풍부하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 철학자적 관점과 정치적 관점이라는 두 자료의 차이 때문에 소크라테스의 죽음의 원인을 놓고 크게 2가지 해석이 존재해 왔다.

1. 플라톤적 견해 : 소크라테스는 미신과 무지, 감정에 휘둘리는 민중의 뜻에 거슬렸다는 '불경죄'를 이유로 그 중우정치에 의해 희생되었다.
2. 크세노폰적 견해 : 소크라테스는 그 주변의 정치적 인물들 때문에 희생되었다.

플라톤의 견해는 계몽시대 이전에, 크세노폰의 견해는 계몽시대부터 20세기 초까지 통설을 이루었다. 크세노폰의 정치적 원인설이 인기있었던 이유는 계몽시대 서양인들이 고대 그리스를 종교적 미신에서 자유로워서 서양의 합리주의의 토대를 이루었다는 견해가 주류였기 때문이다.[35] 그 시발은 철학사가 브루커(J.J.Brucker)의 크세노폰에 대한 견해가 헤겔의 <철학사 강의>에 반영되면서 였다는 의견[36]이 있다.

이를 염두에 두고 당대의 소크라테스에 대한 고발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소크라테스에 대한 공식 고발내용
1. 아테네가 믿는 신을 믿지 않았으며[37]
2. 아테네의 청년들을 타락 시켰다.
-고발인 시인 멜제토스, 민중파 영수 아뉘토스, 정치가 뤼콘-
소크라테스가 생각한 비공식 고발내용(당대 악소문)
1. 하늘에 높이 있는 것들을 골똘히 생각하는 자이며 지하의 온갖 것들을 탐사하는 자(=자연철학자)
2. 한결 약한 주장을 더 강한 주장으로 만드는자(=소피스트)

<플라톤, 변론>
소크라테스는
1. 국가가 인정하는 신을 믿지(nomizein) 않고,
2. 새로운 신격(다이몬daimon)을 수입한 죄를 짓고 있다. 또,
3. 청년들을 부패시킨 죄도 짓고 있다.
<크세노폰, 회상>

내용은 보다시피 거의 같지만, 플라톤과 비교해서 크세노폰에게서는 자연철학자와 소피스트라고 비난받은 점에 대해서는 직접 등장하지 않는다. 여기서 들어나는 것은 철학자였던 플라톤은 소크라테스가 자연철학자와 소피스트들과 학문적 입장이 달랐다는 것을 매우 중시하는데 반해, 정치가였던 크세노폰은 정치적 상황을 중시했다는 것이다.

정치를 중시하는 크세노폰의 성향 때문에 그의 글에는 플라톤에 전혀 등장하지 않는 정치관련 고발 내용이 풍부하게 들어가 있다.
즉 크세노폰을 정리하면 고발내용은 다시 4가지로 풀어낼 수 있다.
  1. 아테네의 종교적 권위를 무시했다.
  2. 아테네의 가부장적 권위/전통을 무시했다.
  3. 아테네의 민주주의 관직 제도를 무시했다.
  4. 아테네에 폭군들을 키워냈다.

1번과 2번의 경우, 일반 아테네 대중의 반감을 산 것으로 보이는데, 그만큼 아테네는 종교적이고 가부장적이었기 때문이다. 현대에는 아테네인들의 유수한 철학자들을 배출한 만큼 막연하게 그들이 이성적이고, 비종교적이었을 것이라는 이미지가 있다. 하지만 아테네인들은 사소한 가정문제에서 부터 중요한 군사결정까지 점을 쳐서 결정할 때가 많았고, 그러한 점치는 행위에는 신이 관여한다는 종교적인 믿음이 자리하고 있었다.
그리스 사람들의 생각에 제비뽑기 선발제도를 무시하는 것은 ... 모욕이었다. 그들은 제비뽑기 기계 클레로테리온의 구멍으로 흰색과 검은색 패를 인도하는 것은 신의 힘이라고 생각했다. 이 시대 그리스에서는 신의 승낙 없이 일어나는 일은 하나도 없었다. 클레로테리온은 단순한 제비뽑기 기계가 아니라 효험 있는 주사위 점이었다. 절대로 비웃어서는 안 될 신성하고 신비로운 절차였다.
-Bettany Hughes, 《아테네의 변명》The Hemlock Cup, 강경이 번역, 옥당, 2012, p.499

더군다나 아테네에서 데모크라티아는 근대국가의 세속헌법적 의미가 아닌, 그 자체로 신격을 지닌 신으로 대우 받았다. 그리고 선거를 민주정치의 한 형테로 인정하는 근대인의 생각과 정반대로, 아테네인에게 선거란 본질적으로 비민주적인 행위였다.[42] 이런 환경에서 직접민주정을 비판하는 소크라테스의 행보는 데모크라티아라는 신(神)에 대한 모독으로 여겨졌던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아테네에서 '추첨'은 신의 질서가 개입하는 종교적 행위였다는 것도 중요하다. 곧 '추첨'은 본질적으로 제비를 뽑아 점을 치는 행위였고, 바로 그 '점 치기'를 소크라테스가 비판한 것이다.[43]

한편 아테네의 가정은 각각 하나의 나라이고, 가부장이 그 나라의 임금이라는 관념이 있었기 때문에 아테네의 가부장적 권위는 크게 존중 받았다. 그러한 가부장들이 곧 아테네의 시민으로 여겨졌던 만큼 가부장제의 권위를 무시하는 행위는 사회를 이루는 기본 단위를 공격하는 행위로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동시대의 뛰어난 비판적 지성 중의 하나이던 아리스토파네스가 소크라테스를 증오했던 것도 1번, 2번 항목 때문이었던 것으로 학자들은 추정하고 있다.[44]

3번과 4번은 당대의 정치적인 문제와 깊게 연관이 있다. 소크라테스의 제자들 중에 위험인물들이 많이 나왔다. 대표적인 인물은 알키비아데스와 크리티아스[45]이다. 알키비아데스는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스파르타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서, 양쪽을 모두 몇 차례씩 배신한 희대의 배신자이자 기회주의자였다. 한편 크리티아스는 적의 앞잡이가 되어서 폭정을 했던 이완용 같은 인물이었다.

플라톤과 비교해서 크세노폰에만 왜 정치적인 고발내용이 이렇게 풍부하게 들어가있는지 의문이 학계에서는 제기되어 왔다. 도리옹을 비롯한 콜라이아코와 같은 학자들은 크세노폰만이 언급하는 고발내용은 플라톤이 언급하는 세명의 고발자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말한다. 이 와 관련하여 학자들은 기원전 403년에 내려졌던 '사면령'에 주목해야 한다고 말한다.

소크라테스의 재판당시 아테네는 스파르타와의 장기간의 전쟁에서 패배하여 그 황금기가 막을 내린 시점이었다. 아테네에는 잘 교육받은 귀족 엘리트를 중심으로하는 과두파와 도시의 일반 시민들을 대변하는 민중파가 존재했는데, 스파르타가 전쟁에서 승리하면서 스파르타는 과두파가 정권을 잡을것을 아테네에 요구했다.그 결과 크리티아스를 중심으로 30인이 권력을 독점했는데, 이들은 매우 끔찍한 폭정을 아테네에서 휘두른다. 참정권을 가진 시민 숫자를 3,000명으로 제한을 하는 한편 민중파와 온건-과두파를 대대적으로 학살했고, 그들의 재산을 마음대로 몰수했다. 당연히 이들의 폭정은 시민들의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1년만에 민중파가 들고 일어나서 내전이 발생한다. 민중파에 의해 민주정이 회복되었을 때, 민주정은 이전의 과두파에게 "다시는 과거사를 들추지 않겠다는 서약"을 하면서 통합을 시도한다.
누구에 대해서도 좋지 못한 과거 일을 캐서는 안된다.
...
그리고 과거사를 들추었을 때 그를 재판 없이 처형하도록 의원들을 설득하였다.
아리스텔레스, <아테네 정치제도사> 39-40장
학자 콜라이아코는 소크라테스에 대한 공식 고발장의 내용이 크세노폰과 달리 구체적이지 않은 이유를 이와 같은 사면령에 저촉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위함이라고 본다. 다시말해 사면령 때문에 소크라테스에게 배신자 알키비아데스와 폭군 크리티아스라는 위험인물을 키웠다는 혐의를 적용하고 싶어도 그럴 수가 없었던 것이다. 그래서 우회적으로 불경죄의 죄목들을 이용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를 알키비아데스, 크리티아스와 한통속으로 묶어서 처벌하는 것은 아테네인들에게도 꺼려지는 일이었던 것 같다. 성욕과 과시욕에 휘둘려서 살았던 알키비아데스와는 달리 소크라테스는 누가보아도 매우 절제된 삶을 살았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 선생님이 최소한의 재산을 가지고 아주 자족적으로 사는 것을 보았고, 그분이 모든 쾌락을 아주 잘 지배하며 자신의 말을 통해 다른 사람들을 자신이 원하는 방식대로 다루는 것을 보았다.
크세노폰, <회상>
한편 크리티아스와 소크라테스를 엮기는 더더욱 힘들었는데, 소크라테스가 공공연히 비판하면서 30인 정권의 심기를 거슬렸기 때문이다.
30인 정권이 많은 시민들을 죽이고, 불의를 행하도록 조장했을 때, 어디선가 소크라테스는 소 떼의 목자가 되어서 소들의 수를 줄이고 상태를 더 나쁘게 만들면서 자신이 나쁜 소치기라는 데 동의하지 않는 다면 그는 이상한 사람이며, 나라의 지도자가 되어서 시민들의 수를 줄이고 상태를 더 나쁘게 만들면서 부끄러워하지도 않고 자신이 나쁜 지도자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 더더욱 이상한 사람이라고 말했다.
크세노폰, <회상>
이 때문에 소크라테스는 강의하고 젊은이들에게 말하는 것을 일체 금지하는 처분을 당한다.
30인의 입법가가 되었을 때도 소크라테스에 앙심을 품고 말에 대한 기술을 가르치면 안된다고 법으로 제정했다.
그런데 이에 대해서 소크라테스는 선고된 것 중에 모르는 것이 있으면 질문해도 되는지 크리티아스에게 묻는다. 좋다고 답하자, 소크라테스는 몇가지 그 다운 질문을 한다.
몇 살까지 젊은이라고 생각해야 하는지를 정해주시오.

30세보다 젊은 장사꾼에게 가격을 묻는 것을 되오?

누가 어디에 사는지 묻는 것은 되오?

크세노폰, <회상>

또한 소크라테스는 일종의 시민 불복종 운동을 행하기도 했다.
시민들 주 어떤 사람(살라미스의 레온)을 끌고 와 사형에 처하라는 명령을 내렸을 때, 법에 어긋나게 명령을 한다는 이유로 말을 듣지 않았다[46].

이 재판은 우선 투표(배심제)로 유죄/무죄를 가린 후, 유죄로 결정되면 다시 고발자가 제안하는 처벌과 피고 본인이 제안하는 처벌 중에서 투표를 하여 채택하는 방식이었다. 이때 소크라테스는 자기가 특정 당파에 소속되지 않았다고 변론하며, 최종적으로 281:220, 61표차로 유죄가 결정됐다. 표차가 생각보다 안 났다는 건 소크라테스의 변론이 먹혔다는 걸 의미했기에, 이때까지는 소크라테스가 사형 판결을 받을 확률은 높지 않았다. 그러나 이에 고무된 소크라테스가 다시 특유의 어그로를 시전하며 자신은 무죄라며 사형은커녕 오히려 국가유공자급으로 대우받아야 한다고 장황하게 말한 후, 마지막에 "하지만 다른 사람이 벌금형을 제안하라고 권했으니 그렇게 하겠다" 라고 배심원들의 심기를 자극하는 악수(惡手)를 두고 만다.[47] 쉽게 말하면 소크라테스의 제자들 때문에 직간접적으로 피 본 사람들이, 그래도 소크라테스까지 죄를 묻는 건 옳지 않은 거 아닌가, 라며 편을 들어주고 있는데, 그렇게 실드 쳐주는 사람들 심기까지 건드리는 ‘나의 위대함을 알라’ 식으로 발언한 것이다. 그리고 소크라테스는 이 자기변호 이후 361:140이라는 압도적인 표차로 사형 판결을 받고 만다. 말하자면 무죄 쪽에 표를 던졌던 사람들도, 소크라테스의 자기변호를 들은 후에는 사형 쪽에 표를 던지게 된 것이다.[48]

5. 사망

파일:MorteDavidCgfajdavid30.jpg
자크 루이 다비드의 1787년 작품인 《소크라테스의 죽음》[49][50]

죽기 직전에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닭을 빚졌다며 갚아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아스클레피오스는 의학의 신으로서, 당시 아테네에서는 병에 걸렸다 나으면 이 신에게 감사의 표시로 제물을 바치는 풍습이 있었는데, 자신이 독약을 마시고 죽음으로써 모든 질병에서 해방되니 고맙다는 의미였다고 한다. 그리고 이 일화를 상징적으로 해석해서, 삶 자체가 질병이고 죽음은 그 '삶'이라는 병의 치료에 해당한다는 의미로 풀이하는 사람도 있으나, 소크라테스의 평소 언행은 그런 허무주의와 관계가 없었으므로, 진실일 가능성은 낮다[51]. 다른 각도의 해석으로는, 평소 소크라테스가 자신을 쇠가죽만큼이나 두꺼운 아테네인들의 '무지의 가죽'을 가렵게 하는 '등에(쇠파리)'에 빗대었듯이, '아테네인들의 무지의 병을, 나 대신 치유해 달라'는, 철학자로서의 임무를 완수해달라는 부탁으로 보기도 한다.

그 외에도 이런저런 이설(異說)들이 있다. 병으로 고생하다 나은 적이 있는데, 감사의 제물을 아직 올리지 않았기에 죽으면서 부탁을 남긴 것일 뿐이라거나, 또는 아스클레피오스라는 이름의 이웃 사람에게 진짜로 닭 한 마리를 빚지고 있었다거나, 심지어 그냥 농담이었다는 설까지 있다. 황당하게 보일 수도 있지만, 소크라테스는 대체로 할 말을 직설적으로 했지, 은유적으로 빙빙 돌려가면서 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굳이 비유적인 표현으로 보고 의미를 해석하려고 할 필요가 없다"며 직설적인 의미로 해석하려는 것도 말이 안 되는 건 아니다.

플라톤의 책 《파이돈》에 의하면, 소크라테스는 태연하게 독약을 받고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파이돈》이라는 책은 소크라테스의 제자 파이돈이 에케크라테스라는 사람에게 자기가 본 것을 이야기해주는 방식으로 서술되어 있다. 《파이돈》에서, 소크라테스는 제자들과 얘기를 나누면서 죽음이 좋은 것이라고 말하고[52] 죽음 이후에 대해 이야기하다가 독약을 먹고 누운 상태로 몸이 굳어지다가 경련을 일으키면서 사망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런 차분한 죽음의 모습은 플라톤이 포장한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이에 대해서는 2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플라톤은 이 시기의 소크라테스와 엮이는 것을 꺼렸기 때문[53]에 실제로 소크라테스가 죽을 시기에는 소크라테스 곁에 없었다. 두 번째 이유로, 당시 그리스에서 널리 사용된 독약을 먹으면, 심한 구토 증세를 일으키면서 전신의 마비와 경련과 함께 사망한다. 플라톤의 묘사와는 상당히 다르다. 하지만 소크라테스가 먹은 독약은 일명 독당근(국명:나도독미나리)(Poison Hemlock, Conium Maculatum)으로 알려진 것으로, 알칼로이드계 독극물인 Coniine이다. 앞서 말한 구토 증세를 일으키는 독약은 중추신경계를 공격하는 독미나리이고, 소크라테스가 마신 독당근은 심장에서 가장 먼 부위부터 말초신경계를 공격해 마비시키는 독약이기 때문에, 소크라테스의 최후는 오히려 플라톤의 서술과 같은 품위 있는 것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플라톤은 그 후 소크라테스를 죽인 민주제에 대해 분노에 휩싸인다. 스승을 죽인 민주제의 한계를 중우정치라 규정하고 그 대안으로 철인정치를 주창하기도 했다.

한 편 중요한 건 소크라테스가 어떻게 죽었냐가 아니라, '왜 그가 죽음을 선택했는가?'다. 소크라테스의 나이는 이때 이미 70세를 넘겼고, 남은 삶은 길어야 몇 년 되지 않을 나이였다. 일단 그는 재판장에서도 자기 신념을 꺾느니 죽겠다고 말한 데다가, 겉으로 공표한 것이야 어쨌든 속의 진짜 죄목은 매국노와 폭군의 정신적 스승으로 많은 아테네 시민들의 증오의 대상이었으니, 재판에서 타협의 여지는 없다. 다만 소크라테스가 이들을 대놓고 돕거나 한 게 아니라, 단지 정신적 스승일 뿐인데 사형은 너무하다는 평가가 아테네 내부에서도 꽤 많았으므로, 형벌을 벌금형 정도로 줄일 수가 있었는데, 스스로 그것을 내동댕이쳤다. 또한 감옥에서 탈옥할 수 있었는데도 이를 거부했다. 법이 자신에게 유리할 때만 적용받고, 불리할 땐 피한다는 것은 소크라테스가 주장하던 논리에 정면 배치되는 것이기에, 자신의 논리를 스스로도 실천한다는 일관성을 위해서 탈옥하지 않았다.

그 외에도 소크라테스의 행동에 대한 설명으로, 처음부터 국가의 안정을 위해 스스로를 희생시켰다는 설명이 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 패배 및 이후 벌어진 피바람의 원인에 대한 청산 의도를 갖고 추진된 재판의 목적을 잘 알고 있었고, 제자들이 저지른 막장행위로 인해 벌어진 아테네의 혼란과 몰락에 대해 도의적인 책임을 져야 할 입장으로서 재판에 순응했다는 것이다. 다만 이는 정황을 통한 추측일 뿐, 소크라테스는 그런 의미를 암시하는 말조차 한 적이 없다.

6. 영향과 평가

Sed ab antiqua philosophia usque ad Socratem, qui Archelaum, Anaxagorae discipulum, audierat, numeri motusque tractabantur, et unde omnia orerentur quove reciderent, studioseque ab is siderum magnitudines intervalla cursus anquirebantur et cuncta caelestia. Socrates autem primus philosophiam devocavit e caelo et in urbibus conlocavit et in domus etiam introduxit et coegit de vita et moribus rebusque bonis et malis quaerere.
옛 철학으로부터 , 아낙사고라스의 제자 아르켈라오스에게 배운 소크라테스에 이르기까지 수와 운동들이 연구되었고, 만물이 어디에서 생겨나고 어디로 돌아가는지가 다루어졌고, 이들의 의해 별들의 크기와 간격과 궤도 등 천문이 전체적으로 열심히 탐구되었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처음으로 철학을 하늘에서 끌어내려 도시로 가져다 놓았으며 집안으로까지 들어놓았으며 삶과 도덕과 좋은 일과 나쁜 일을 탐구하게 했다.
키케로 『투스쿨룸 대화』 5.4.10


소크라테스의 독특한 점은, 다양하다 못해서 심지어 서로 충돌하는 듯한 사상들이 제자들에게서 나왔다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신국론>에서 언급하듯 이건 정말 이례적인 일이다. 이러한 다양성이 나올 수 있었던것은 그만큼 소크라테스라는 인물이 가진 사상과 삶의 폭이 넓고 깊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54] [55]

이러한 소크라테스 학파의 난립에 관해 요한네스 힐쉬베르거는 《서양철학사》에서 그 이유를 "소크라테스는 일정한 학파의 교의(도그마)를 남겨주려고 했다기보다, 오히려 철학하는 것 자체를 자극했다."라고 하면서 다음과 같이 평했다.
소크라테스의 사상이 자기의 주위에 모여 있던 사람들에게 이렇게 서로 다르게 반영되고 있다는 사실은 기묘하기 이를 데 없다. 그의 사상은 그만큼 비밀스러웠던 말인가? 또는 그렇게도 풍부했다는 말인가? 또는 그만큼 미완성품이었단 말인가? 이런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사상의 방향들 중에서 어느 것이 스승의 원래적인 본질과 의도에 꼭 들어맞는 것일까? 이런 물음에 관한 결정은 우리들이 이 사람들 중에서 가장 위대한 사람, 즉 플라톤을 알게 되었을 때에야 비로소 내려질 수 있다.
요한네스 힐쉬베르거

그는 생전에 책을 쓴 적도 없고, 자신만의 사상을 전개한 적도 없다. 중앙대 심리학과 이장주 교수에 따르면, 그는 책이 기억력과 사고력을 감퇴시킨다고 믿었기 때문에 책을 쓴 적이 없다고 했다.[56] 이런 사고방식은 고대 세계에서는 의외로 그리 드물지 않았다.[57] 어떤 의미로는 노장(老莊)사상과도 통하는 데가 있다.

참고로, 그러한 이유로 소크라테스를 플라톤에 의해 날조된 인물로 의심하는 사람도 있으나, 그것만으로 실존하지 않았다고 보기는 어렵다. 실제로 소크라테스는 플라톤뿐만이 아닌, 다른 제자들이나 당대의 다른 소피스트들의 글에서도 볼 수 있었다. 다만, 다른 문헌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특히 제자인 크세노폰의 《소크라테스 회상》에 등장하는 소크라테스)의 언행은 플라톤의 것과 상당히 차이가 있다. 플라톤의 후기 작품에 나오는 소크라테스는 이름만 소크라테스일 뿐, 플라톤의 고유한 사상을 소크라테스라는 등장인물이 말하게 하는 것에 불과하다.

때문에 철학적 업적 자체는 적다고 생각하는 이가 더러 있는데, 이는 상당히 잘못된 생각이다. 소크라테스의 산파술귀납적 방법론[58] 통해 비로소 대상에 대한 보편적 진리를 인식할 수 있는 길이 열렸고, 이것이 바로 플라톤의 이데아론으로 직접적으로 계승되어, 더 나아가서는 2,600년 서양 철학사를 꿰뚫는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형상철학으로 이어지기 때문. 때문에 철학적 업적 또한 결코 적지 않다. 당장 플라톤을 비롯해 그의 제자들이 각지에서 아카데미를 연다든가 하면서 각자의 철학 학파를 창설했을 정도다. 또한 소크라테스의 인기는 죽은 이후에 오히려 올라갔으며, 소크라테스식 대화법은 상당히 유행했다고 한다.

따라서 비록 플라톤만큼은 아닐지라도, 그 철학적 업적과 영향력은 상당한 편. 그리고 더 나아가 인지도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최고[59]를 달린다. 이는 소크라테스가 살았던 삶의 모습과 진리를 대하는 참된 자세, 그리고 죽음의 상징성[60]이 매우 크게 작용했기 때문인 듯하다.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에서 묘사되듯이, 소크라테스의 제자나 친구들은 재산을 가진 이들이 많아서 끊임없이 탈옥을 권한다. 고대는 물론 중세에 이르기까지 대부분의 사회에서는, 반역죄나 살인죄 같은 엄청나게 사악한 죄상이 아니고서는 죄수를 처박아놔서 콩밥 먹이거나 사형을 시행시켜봤자 딱히 좋거나 얻을 게 없기 때문에, 걍 범죄종자가 꺼져버리고 다신 자기네들 공동체에 얼씬도 않으면 그러려니 했었다. 실제로 진상이 다르게 밝혀지거나 범죄자가 다시 필요해져서 불러들이는 경우가 없는 것도 아니고. 《플라톤의 대화》에서 묘사되는 간수들은 소크라테스에게 상당히 호의적이고, 그를 사형시키기 싫어하면서 은근히 탈옥에 대해서도 그리 부정적인 태도가 아니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평생 내가 아테네의 법률을 따랐고 그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고 혜택을 입었으며, 또 평생 아테네를 위해 옳은 말을 해왔는데, 탈옥한다면 내 가르침들이 빛이 바래고 말 것이니 사형 선고에 묵묵히 복종하고 후회하지 않겠다며 의연하게 독배를 마셔 죽음을 택했다. 아마 이로 인해 아테네인들에게 소크라테스는 커다란 충격을 안겨주지 않았나 하고 많은 사람들이 추측하고 있으며, 실제로도 소크라테스의 위상이 그의 사후에 급격하게 올라가면서 특히 죽음을 담담하게 맞이하는 모습이 크게 조명되었다. 어느 공동체가 안 그러겠냐만 당시 아테네인들은 공동체에 대한 헌신과 절제 등을 주요한 가치로 여겼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빗대어서 직접 민주주의의 실패 또는 중우정치의 위험성을 경고하기도 한다. 잘 선동된 군중들을 이용해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거나 정적을 매도하는 것이 매우 쉬운 일이 된다는 것

고로 철학적 업적에 있어선 플라톤, 칸트 등이 많이 거론되나, 자신의 사상을 몸소 실천한, 가장 모범이 되는 철학자로는 소크라테스가 많이 꼽히는 편이다.

또한, 사상 최강의 토론실력을 가졌다고 평가되는 사람이기도 하나, 그 기록이라는 것이 플라톤의 저작에서 비롯된다. 플라톤의 저작에서, 소크라테스는 프로타고라스를 포함한 14:1의 토론에서도 무쌍을 펼치나, 플라톤의 저작에 대한 정의는 《대화편》이고, 이건 철학과 문학의 중간 형태라고 보면 된다. 초기 《대화편》이 내용상으로는 소크라테스의 사상을 잘 표현해주었을 수도 있으나, 이 안의 묘사는 어느 정도 문학으로 파악해야지 곧이곧대로 역사적인 기록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물론 이건 당대 사람들이 읽으라고 쓴 글이며, 토론의 무간지옥인 고대 아테네 전성기에서 아가리 파이터논객(論客)으로 유명했던 소크라테스가 토론에 대단히 뛰어났다는 것 정도는 사실일 것이나, 그의 전적이 정확하게 어느 정도다 하고 표현하는 것은 과장에 속한다.

그리고 사실 멍청한 척하면서 산파술을 펼치는 모습은 주로 플라톤이 묘사하는 소크라테스의 모습이고, 크세노폰이 묘사하는 소크라테스는 평범한 아테네 시민으로서의 사리 분별이 지극히 뚜렷하고 양식이 있으며 사나이다운 모습이다. 뭐가 진실인가는 요즘도 학자들의 연구주제이긴 하다. 크세노폰은 소크라테스가 사람에 따라 태도를 달리 했다고 하니, 아마 그에 기인한 측면도 있지 않나 추측해 본다. 표리부동하다든가 그런 게 아니라, 상대방의 성격이나 지적수준 등에 맞춰서 상대방이 쉽게 알아먹고 도움이 되는 식으로 대화를 전개했다고 한다.[61]

소크라테스의 죽음 이후, 플라톤은 그리스 여러 나라를 다니면서 소크라테스의 철학을 알리는 데 지대한 공헌을 한다. 그리고 그러한 가르침을 또 감명 깊게 받은 제자들 중 한 명이 바로 그 유명한 아리스토텔레스다. 참고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가 고대 그리스 역사의 위인인 알렉산드로스 3세이니, 따지고 보면 알렉산드로스는 소크라테스의 증손제자에 해당된다. 허나 정작 알렉산드로스가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받은 영향이라고는 일리아스와 귀납적 추론 뿐이다. 알렉산드로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조카를 죽인 것은 물론이고 다시 태어나면 디오게네스로 태어나고 싶다고 했다. 거기에 더해 물욕 뿐만 아니라 식욕과 성욕까지 자제하는 성격을 가졌다. 이러한 실천은 오히려 디오게네스의 철학과 닿아 있다. 사실상 아리스토텔레스와 알렉산드로스의 관계는 정치적 파트너라고 보는 것이 맞다. 당장 알렉산드로스가 주장했던 세계시민주의는 소크라테스의 철학에서는 나올 수 없는 사상이며 이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와 많이 싸웠다.

7. 제자들[62]

8. 소크라테스에 대한 어록들

ἥδε ἡ τελευτή, ὦ Ἐχέκρατες, τοῦ ἑταίρου ἡμῖν ἐγένετο, ἀνδρός, ὡς ἡμεῖς φαῖμεν ἄν, τῶν τότε ὧν ἐπειράθημεν ἀρίστου καὶ ἄλλως φρονιμωτάτου καὶ δικαιοτάτου.[64]
이것이 우리 벗의 최후였습니다, 에케크라테스. 우리는 말할 겁니다. 그는 당시 우리가 겪었던 사람들 중 가장 훌륭하고, 무엇보다도, 가장 현명하며 가장 정의로웠노라고.
플라톤 《파이돈》 마지막 장면, 118a[65]
τῶν δὲ Σωκράτην γιγνωσκόντων, οἷος ἦν, οἱ ἀρετῆς ἐφιέμενοι πάντες ἔτι καὶ νῦν διατελοῦσι πάντων μάλιστα ποθοῦντες ἐκεῖνον, ὡς ὠφελιμώτατον ὄντα πρὸς ἀρετῆς ἐπιμέλειαν. ἐμοὶ μὲν δή, τοιοῦτος ὢν οἷον ἐγὼ διήγημαι, εὐσεβὴς μὲν οὕτως ὥστε μηδὲν ἄνευ τῆς τῶν θεῶν γνώμης ποιεῖν, δίκαιος δὲ ὥστε βλάπτειν μὲν μηδὲ μικρὸν μηδένα, ὠφελεῖν δὲ τὰ μέγιστα τοὺς χρωμένους αὐτῷ, ἐγκρατὴς δὲ ὥστε μηδέποτε προαιρεῖσθαι τὸ ἥδιον ἀντὶ τοῦ βελτίονος, φρόνιμος δὲ ὥστε μὴ διαμαρτάνειν κρίνων τὰ βελτίω καὶ τὰ χείρω μηδὲ ἄλλου προσδεῖσθαι, ἀλλ’ αὐτάρκης εἶναι πρὸς τὴν τούτων γνῶσιν, ἱκανὸς δὲ καὶ λόγῳ εἰπεῖν τε καὶ διορίσασθαι τὰ τοιαῦτα, ἱκανὸς δὲ καὶ ἄλλως δοκιμάσαι τε καὶ ἁμαρτάνοντα ἐλέγξαι καὶ προτρέψασθαι ἐπ’ ἀρετὴν καὶ καλοκαγαθίαν, ἐδόκει τοιοῦτος εἶναι οἷος ἂν εἴη ἄριστός τε ἀνὴρ καὶ εὐδαιμονέστατος. εἰ δέ τῳ μὴ ἀρέσκει ταῦτα, παραβάλλων τὸ ἄλλων ἦθος πρὸς ταῦτα οὕτω κρινέτω.
소크라테스 선생님이 어떤 분인지 아는 사람들 중에서 덕을 열망하는 사람들은 모두 덕을 돌보는 데 가장 큰 도움을 주셨던 그분을 지금까지도 계속해서 무엇보다 그리워한다. 나에게 그분은 내가 상세히 설명한 그런 분이었다. 신들의 판단 없이는 아무것도 하지 않을 만큼 경건하셨고, 누구에게도 조금도 해를 끼치지 않고 그분을 대하는 사람들에게 최대의 이로움을 줄 만큼 의로우셨으며, 더 좋은 것 대신에 더 즐거운 것을 선택하는 법이 전혀 없을 만큼 자제력이 있으셨고 더 좋은 것과 더 나쁜 것을 분간하는데 실수하지도 않고 그것들을 결정하는데 다른 사람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고 스스로 그것들을 결정하기에 충분할 만큼 현명하시고, 그런 것들을 설명도 하고 규정도 하기에 충분하셨으며, 다른 사람들을 시험하고 잘못하는 것을 논박하고 덕과 아름답고 훌륨함으로 권면하기에 충분한 분으로서 가장 훌륭하고 가장 행복한 그런 분으로 내게는 보였다. 이것들이 만족스럽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이것들과 다른 사람들의 품성을 비교해서 판단하게 하라.
크세노폰 『소크라테스 회상』 마지막 장면, 4.8.11
Σωκράτους δὲ περὶ μὲν τὰ ἠθικὰ πραγματευομένου περὶ δὲ τῆς ὅλης φύσεως οὐθέν, ἐν μέντοι τούτοις τὸ καθόλου ζητοῦντος καὶ περὶ ὁρισμῶν ἐπιστήσαντος πρώτου τὴν διάνοιαν, ἐκεῖνον ἀποδεξάμενος διὰ τὸ τοιοῦτον [...] ἐκεῖνος δ᾽ εὐλόγως ἐζήτει τὸ τί ἐστιν: συλλογίζεσθαι γὰρ ἐζήτει, ἀρχὴ δὲ τῶν συλλογισμῶν τὸ τί ἐστιν: διαλεκτικὴ γὰρ ἰσχὺς οὔπω τότ᾽ ἦν ὥστε δύνασθαι καὶ χωρὶς τοῦ τί ἐστι τἀναντία ἐπισκοπεῖν, καὶ τῶν ἐναντίων εἰ ἡ αὐτὴ ἐπιστήμη: δύο γάρ ἐστιν ἅ τις ἂν ἀποδοίη Σωκράτει δικαίως, τούς τ᾽ ἐπακτικοὺς λόγους καὶ τὸ ὁρίζεσθαι καθόλου: ταῦτα γάρ ἐστιν ἄμφω περὶ ἀρχὴν ἐπιστήμης.

소크라테스는 윤리적인 것들에 관해서는 전력을 기울였지만 전체 자연에 관해서는 전혀 그러지 않았다. 이것들에 있어서 보편적인 것을 탐색하면서 최초로 정의들에 관해 생각을 기울였다. [...] 저 사람이 어떤 것이 무엇인가를 하는 것을 탐색한 것은 합당한 것이었다. 그는 추론하기를 추구했던 것인데, 추론들의 시작은 바로 어떤 것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소크라테스 당시에는 철학적 대화술의 역량이 본질 규정 없이 반대되는 것들을 탐구할 만큼, 그리고 반대되는 것들을 동일한 학문이 다루는지를 살펴볼 만큼 충분하지 못했다. 그럼에도 소크라테스에게 마땅히 인정해야 할 것이 두 가지가 있다면, 그것은 귀납적인 논증과 보편적인 정의인데, 이것들은 모두 학문의 출발점과 관련되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 987b1, 1078b17
ἐκάνετ᾽ ἐκάνετε τὰν πάνσοφον τὰν οὐδὲν ἀλγύνουσαν ἀηδόνα μουσᾶν.
당신들이 죽였네, 당신들이 죽였네, 지극히 현명한 자를
아무런 해도 끼치지 않는, 무사들의 노래하는 새를

에우리피데스 『팔라메데스Παλαμήδης』 단편
τῷ μὲν σοφίας καὶ γνώμης οὕνεκα, σοὶ δὲ
ὅτι βρενθύει τ᾿ ἐν ταῖσιν ὁδοῖς καὶ τὠφθαλμὼ παραβάλλεις
κἀνυπόδητος κακὰ πόλλ᾿ ἀνέχει κἀφ᾿ ἡμῖν σεμνοπροσωπεῖς.
당신에게 귀 기울이는 건
당신은 고개를 꼿꼿이 들고 길을 가면서 이리저리 곁눈질을 하고
맨발로 많은 역경들을 견디며 우리에게 거만한 표정을 하기 때문이죠.
아리스토파네스 『구름Νεφέλαι』 363
ego, inquit, ironiam illam quam in Socrate dicunt fuisse, qua ille in Platonis et Xenophontis et Aeschinis libris utitur, facetam et elegantem puto. est enim et minime inepti hominis et eiusdem etiam faceti, cum de sapientia disceptetur, hanc sibi ipsum detrahere, eis tribuere inludentem, qui eam sibi adrogant: ut apud Platonem Socrates in caelum effert laudibus Protagoram Hippiam Prodicum Gorgiam ceteros, se autem omnium rerum inscium fingit et rudem. decet hoc nescio quo modo illum, nec Epicuro, qui id reprehendit, adsentior.
나는 소크라테스가 플라톤, 크세노폰, 아이스키네스의 책에서 사용한 아이러니가 재치 있고 우아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그는 결코 바보가 아니지만 오히려 재치있게, 지혜에 관한 논쟁이 있을 때 지혜를 자신에게서 빼내어, 그것을 스스로 지혜롭다고 자부하는 사기꾼들에 양보하기 때문입니다. 플라톤의 책에서 소크라테스는 프로타고라스, 히피아스, 프로디쿠스, 고르기아스 등을 하늘 높게 찬양하지만, 그 자신은 모든 것에 무지하고 생소한 척을 하는 것처럼 말입니다. 나는 이것이 그에게 어울리는지 잘 모르겠고, 이것을 비판하는 에피쿠로스의 의견에도 동의할 수 없습니다.
에피쿠로스 단편 231[66]
ἐπύθετο ποῦ διατρίβοιεν οἱ τοιοῦτοι ἄνδρες
어디서 소크라테스 같은 사람을 찾을수 있습니까?
키티온의 제논 단편 1, 크세노폰의 소크라테스 회상록 2권을 읽고 기뻐하며 서점 주인에게 한 말
His opposuit sese Socrates, qui subtilitate quadam disputandi refellere eorum instituta solebat * verbis. huius ex uberrumis sermonibus exstiterunt doctissumi viri; primumque tum philosophia non illa de natura, quae fuerat antiquior, sed haec, in quad e bonis rebus et malis deque hominum vita et moribus disputatur, inventa dicitur.
이 사람들(소피스트들)에게 소크라테스는 자신을 맞세웠다. 그는 논변의 어떤 정교함을 가지고서 그들의 교설을 물리치는 데 익숙해 있었던 것이다. 이 사람의 매우 풍부한 연설들로부터 가장 학식 있는 사람들이 나타났다. 그리고 그때 처음으로 철학이, 더 오래전에 있었던, 자연에 관한 저 철학이 아니라 좋은 것들과 나쁜 것들, 그리고 인간들의 삶과 성격에 관해 논의하는 이 철학이 발견되었다고 이야기된다.
키케로, 『브루투스Brutus』 8.31
qui, cum omnium sapientissimus esset sanctissimeque vixisset.
모든 사람들 가운데 가장 지혜로운 사람이었고 가장 경건하게 살았던 사람.
키케로, 『연설가에 대하여De Oratore』 1.231
τὸν τρόπον τοῦτον Θάρρα μὲν Ἑβραῖοι, Σωκράτην δὲ Ἕλληνες ὀνομάζουσι˙ καὶ γὰρ ἐκεῖνον ἐγγηράσαι φασὶν τῇ περὶ τοῦ γνῶθι σαυτὸν ἀκριβεστάτῃ σκέψει, μηδὲν ἔξω τῶν καθ' ἑαυτὸν φιλοσοφοῦντα.
그리고 하늘에서 당신의 사자를 끌어내리고, 거기에 존재하는 사물에 대한 탐구로부터 그를 끌어내려 당신 자신을 잘 알게 되고, 인간에게 허용된 행복에 도달하기 위해 조심스럽고 부지런히 노력하라. 이를 히브리인들은 테라, 그리스인들은 소크라테스라고 불렀는데, 그들은 후자가 저 자신을 알기를 바랄 수 있는 가장 엄밀한 학습 속에서 늙어갔고, 결코 자신의 철학적 사색을 자신을 넘어서는 주제로 향하지 않았다고 말하기 때문이다.
알렉산드리아의 필론, 『꿈에 대하여De Somniis』 1.58
si tamen exemplum desideratis, accipite Socraten, perpessicium senem, per omnia aspera iactatum, invictum tamen et paupertate, quam graviorem illi domestica onera faciebant, et laboribus, quos militares quoque pertulit. quibus ille domi exercitus, sive uxorem eius moribus feram, lingua petulantem, sive liberos indociles et matri quam patri similiores †sivere† aut in bello fuit aut in tirannide aut in libertate bellis ac tyrannis saeviore. viginti et septem annis pugnatum est; post finita arma triginta tyrannis noxae dedita est civitas, ex quibus plerique inimici erant. novissime dammatio est sub gravissimis nominibus impleta: obiecta est et religionum violatio et iuventutis corruptela, quam inmittere in deos, in patres, in rem publicam dictus est. post haec carcer et venenum. haec usque eo animum Socratis non moverant ut ne vultum quidem moverint. illam mirabilem laudem et singularem! usque ad estremum nec hilariorem quisquam nec tristiorem Socraten vidit; aequalis fuit in tanta inaequalitate fortunae.
그러나 만약 그대가 예시를 원한다면, 모든 고난 속에서 헤매었지만 가정을 괴롭게 한 가난과 군복무를 견디는 수고에도 굴복하지 않은 인내의 노인 소크라테스를 예로 들어보겠네. 그의 집에는 거친 행실과 극성스러운 혀를 가진 아내, 또는 다루기 힘든 성격 때문에 아버지보다는 어머니를 더 많이 닮은 아이들의 무리가 있었고, 그는 전쟁 중에 살았거나 폭군 치하에서 살았거나, 전쟁과 폭군보다 더 잔인한 민주주의 시대에 살았다네. 전쟁은 27년동안 계속되었지. 그 후 해로운 30인 참주들의 군대에 의해 도시는 결국 항복했으며, 그 중 많은 사람들이 그를 미워했네. 마침내 가장 심각한 비난으로 정죄가 완성되었네. 그들은 그가 종교를 어지럽히고 젊은이들에게 영향을 주어 신들과 의회를 무시하고 국가에 저항하도록 타락시켰다고 비난했지. 그 다음은 감옥과 독배였네. 그러나 이러한 모든 것들은 소크라테스의 영혼에 영향을 거의 주지 못했으며 그의 외색 하나 바뀌게 하지 못했네. 이 얼마나 훌륭하고 비범한 기적인가! 마지막까지 소크라테스가 너무 기뻐하거나 너무 슬퍼하는 것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어. 이 모든 커다란 운명의 차별 속에서도 그는 한결같았다네.
세네카, 『루킬리우스에게 보내는 도덕 서한Epistulae morales ad Lucilium』 104.27
nam quis nescit nihil magis profuturum ad absolutionem Socrati fuisse, quam si esset usus illo iudiciali genere defensionis et oratione summissa conciliasset iudicum animos sibi crimenque ipsum sollicite redarguisset? verum id eum minime decebat, ideoque sic egit, ut qui poenam suam honoribus summis esset aestimaturus. maluit enim vir sapientissimus quod superesset ex vita sibi perire quam quod praeterisset. et quando ab hominibus sui temporis parum intellegebatur, posterorum se iudiciis reservavit, brevi detrimento iam ultimae senectutis aevum saeculorum omnium consecutus.
소크라테스가 일반적인 법적 변호 방법을 사용하고 차분한 어조로 판사들의 마음을 달래고 반박에 전념했다면, 소크라테스의 무죄를 확보하는 데 더 유익했을 것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그러나 이런 행동은 그의 품성에 조금도 어울리지 않았기에 그는 자신이 받게 될 형벌을 최고의 명예라고 생각하며 형을 받기를 원했다. 이 가장 현명한 사람은 자신이 지나온 삶을 죽이느니 남아있는 삶을 죽이길 원했던 것이다. 그리고 그 당시 사람들은 그를 잘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는 판결을 후손들에게 맡기고, 최후의 노년기를 잠깐 잃으면서 곧 모든 세기의 영원함에 이르렀다.
퀸틸리아누스, 『웅변 교육Institutio Oratoria』 9.9
Σωκράτης γοῦν οὔτε βάθρα θεὶς οὔτ' εἰς θρόνον καθίσας οὔθ' ὥραν διατριβῆς ἢ περιπάτου τοῖς γνωρίμοις τεταγμένην φυλάττων, ἀλλὰ καὶ παίζων, ὅτε τύχοι, καὶ συμπίνων καὶ συστρατευόμενος ἐνίοις καὶ συναγοράζων, τέλος δὲ καὶ [συν]δεδεμένος καὶ πίνων τὸ φάρμακον ἐφιλοσόφει˙ πρῶτος ἀποδείξας τὸν βίον ἅπαντι μέρει [χρόνῳ], καὶ πάθεσι καὶ πράγμασιν ἁπλῶς ἅπασι, φιλοσοφίαν δεχόμενον.
소크라테스는 제자들과 대화하거나 산책을 하기 위해 벤치나 안락의자를 마련하거나 정해진 시간을 지키지는 않았다. 그런 일이 생기면 그는 그저 그들과 함께 농담을 하고 술을 마시고, 그들 중 몇몇과 함께 군대에 복무하거나 시장에서 어슬렁거리다가 결국 투옥되어 독약을 마셨다. 그는 인생이 언제나 모든 부분에서, 모든 경험과 모든 활동에서 보편적으로 철학을 받아들였다는 것을 보여준 최초의 사람이었다.
플루타르코스, 『노인이 공무에 종사해야 하는지An seni respublica gerenda sit』 26
Σωκράτης οὕτως ἀπετελέσθη, ἐπὶ πάντων τῶν προσαγομένων αὐτῷ μηδενὶ ἄλλῳ προσέχων ἢ τῷ λόγῳ. σὺ δὲ εἰ καὶ μήπω εἶ Σωκράτης, ὡς Σωκράτης γε εἶναι βουλόμενος ὀφείλεις βιοῦν.
이런 식으로 소크라테스는 완벽해졌고 모든 면에서 자신을 향상시켰으며 이성 외에는 아무것도 신경쓰지 않았다. 그러나 당신이 소크라테스가 아니라도, 소크라테스가 되고 싶은 사람으로 살아야 한다.
에픽테토스, 『엥케이리디온Ἐγχειρίδιον』 51
princeps sapientiae simul atque eloquentiae.
지혜와 웅변에 있어서 으뜸.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프론토, 『마르쿠스 황제에게 보내는 편지ad M. Caesarem』 3.16
οὕτως καὶ τῆς φιλοσοφίας ὁ λόγος πρότερον μὲν ἦν μονοειδὴς ὡς ὁ φυσικός, δεύτερον δὲ Σωκράτης προσέθηκε τὸν ἠθικόν, τρίτον δὲ Πλάτων τὸν διαλεκτικὸν καὶ ἐτελεσιούργησε τὴν φιλοσοφίαν.
철학의 논의는 먼저 자연에 관한 것이 유일한 형태였고, 두 번째 것으로 소크라테스가 윤리에 관한 것을 덧보탰고, 세 번째로는 플라톤이 변증술에 관한 것을 덧보태서 철학을 완성에 이르게 했다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 『유명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항』 3.56
Socrates ex ea parte damnatus, est, qua propius temptaverat veritatem, deos vestros destruendo: quamquam nondum tunc in terris nomen Christianum, tamen veritas semper damnabatur. itaque et sapientem non negabitis, cui etiam Pythius vester testimonium dixerat: "virorum," inquit, "omnium Socrates sapientissimus." vicit Apollinem veritas, ut ipse adversus se pronuntiaret; confessus est enim se deum non esse, sed eum quoque sapientissimum affirmans qui deos abnuebat. porro apud vos eo minus sapiens, quia deos abnuens, cum ideo sapiens, quia deos abnuens.
소크라테스는 당신들 신들을 파괴함으로써 진리를 더욱 면밀히 탐구했다 비난을 받았다. 비록 그 당시에는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이 이 세상에 있지는 않았지만, 진리는 항상 비난을 당하고 있었다. 이제 당신들은 소크라테스가 퓌티아가 당신들에게 '소크라테스는 사람들 중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이라고 증언한 지혜로운 사람이었다는 것을 부정하지 않을 것이다. 진리는 아폴론을 압도하여서, 그는 저 스스로를 거슬러 선언했다. 왜냐하면 그는 자신이 신이 아니라고 고백했을 뿐 아니라, 신들을 부인하는 그를 가장 현명한 사람이라고 단언했기 때문이다. 당신들에 의하면 그는 신들을 부인했기에 덜 현명하지만, 동시에 그는 신들을 부인했기에 더 현명하다.
테르툴리아누스, 『이교도들에게Ad nationes』 1.4
σφόδρα δὲ μωρὸν καὶ τό˙ "τίς ἂν ἢ θεὸς ἢ δαίμων ἢ ἄνθρωπος φρόνιμος προειδὼς αὐτῷ τοιαῦτα συμβησόμενα οὐκ ἄν, εἴ γε ἐδύνατο, ἐξέκλινεν ἀλλὰ συνέπιπτεν οἷς προηπίστατο;" καὶ Σωκράτης γοῦν ἤδει τὸ κώνειον πιόμενος καὶ τεθνηξόμενος καὶ ἐδύνατο, εἴπερ ἐπείσθη τῷ Κρίτωνι, ὑπεξελθὼν τὴν φυλακὴν μηδὲν τούτων παθεῖν, ἀλλ' εἵλετο κατὰ τὸ φαινόμενον αὐτῷ εὔλογον κρεῖττον αὐτῷ εἶναι φιλοσόφως ἀποθανεῖν ἢ ἀφιλοσόφως ζῆν.
켈소스는 어리석게도 이렇게 말한다. '어떤 신이나, 영, 혹은 현자가 그러한 일이 그에게 닥칠 거라는 걸 예견할 수 있다면, 가능하다면 그는 그것을 피하려 하지 않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미리 일어날 거라고 예측한 그 일에 성급하게 몸을 던진단 말인가?' 그러나 소크라테스는 독약을 마신 후에 자신이 죽을 거라는 걸 알고 있었다. 그 스스로 크리톤의 설득을 받아들여 감옥에서 탈출하고 이런 재난을 피하는 것은 그 자신의 힘에 달려있었다. 그럼에도 그는 스스로에게 합리적으로 여겨지는 것에 따라 비철학적으로 사는 것보다 철학자로써 죽는 것이 더 낫다고 결정했다.
오리게네스, 『켈소스 논박Κατὰ Κέλσου』 2.17
similiter Socrates civitatis suae iudicio damnatus capitali adfectus est poena: numquid inrita facta sunt quae sunt ab eo de moribus, virtutibus et officiis disputata, quia iniuria expulsus e vita est?
마찬가지로 소크라테스는 동료 시민들의 판결로 아테네에서 사형당했다. 그가 부당하게 삶으로부터 추방당했기에 그가 관습, 도덕, 의무에 대해 논의한 것들이 헛된 것이 되었는가?
아르노비우스, 『이교도 논박Adversus Nationes』 1.40
philosophiae principatum.
철학의 1인자.
락탄티우스, 『신적 교양 강요Epitome Divinarum institutionum』 37.1
πάντων Ἑλλήνων σοφώτατος Σωκράτης .
모든 그리스인들 중 가장 현명한 소크라테스.
에우세비우스, 『복음 준비Εὐαγγελικὴ προπαρασκευή』 15.6
nec reprehendo in quolibet Christiano sermonis inperitiam - atque utinam Socraticum illud haberemus: "scio, quod nescio" et alterius sapientis: "te ipsum intellege.
나는 그리스도인들의 보잘것없고 미숙한 어투를 비판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나는 우리가 소크라테스의 말인 '나는 내가 모른다는 것만을 안다'와 다른 현자의 '너 자신을 알라'를 말하길 원합니다.
히에로니무스, 『편지 57 팜마키우스에게epist. LVII: ad Pammachium』 12
philosophiae summus magister.
철학의 최고 스승.
암브로시우스 『시편 제 118편 해설Expositio Psalmi CXVIII』 16.11
magister omnium, qui tunc maxime claruerunt, tenens in ea parte, quae moralis vel activa dicitur, principatum,
그 당시 저명했던 모든 이들의 스승이자, 도덕 혹은 행실이라 불리는 부분에서 탁월한 권위를 차지했다.
아우구스티누스 『신국De civitate Dei』 18.37

9. 기타


소크라테스 곁에 앉은 아가톤을 질투하는 알키비아데스.
[ 펼치기 · 접기 ]
>잠시 후, 정원에서 술에 잔뜩 취한 채로 시끄럽게 소리지르는 알키비아데스의 목소리가 들려왔다. 그는 아가톤이 어디 있는지 찾고 있었고 시종들에게 자신을 아가톤에게 데려가달라고 요구하고 있었다. 알키비아데스는 플루트를 연주하는 소녀의 부축을 받아 연회장 안으로 들어왔고, 문 앞에 선 채로 연회장 안의 사람들을 내려다보았다. 그는 아이비와 월계수로 만든 월계관을 쓰고 머리에는 리본들을 두른 상태였다. "만나게 되어서 반가워요 친구들!" "술취한 자에게 이 연회의 술을 마실 수 있게 해줄텐가요? 아니면 아가톤에게 화환을 얹어주고 바로 떠날까요? 아가톤이여, 사정이 있어 어제 너를 방문하지 못했답니다. 하지만 오늘은 여기 왔고, 내 머리에 달린 리본들을 풀어 연회장에서 가장 잘생기고 가장 아름다운 이에게 묶어줄 생각이에요. 내가 말하자면 - 하! 여기 좀 봐요! 내가 술취했다고 나를 놀리는건가요?"

"웃든지 말든지 마음대로 하세요. 하지만 나는 진실을 말하고 있어요. 말해주세요. 내가 연회장 안으로 들어갈까요 말까요? 나와 함께 잔을 들텐가요 들지 않을텐가요?" 이쯤되자 연회장 안에 있던 모두가 그를 맞아들이려 분주하게 움직였다. 사람들은 알키비아데스에게 안으로 들어와 자리에 앉을 것을 권했고 아가톤도 그를 맞았다. 그는 주위 부축을 받아 아가톤 쪽으로 움직이면서 제 머리카락에 달고 온 리본들을 풀어헤치기 시작했다. 알키비아데스는 술 취한 채 리본을 푸느라 아가톤 곁에 앉아있던 소크라테스를 눈치채지 못한 채 그대로 아가톤 옆에 앉았다.

알키비아데스가 바로 곁에 앉아 난감해진 소크라테스는 옆으로 이동했다. 알키비아데스가 아가톤 곁에 낑겨앉아 제 머리카락을 풀자 아가톤은 시종들에게 "그의 신발을 풀어주어라. 그리하면 알키비아데스가 우리 둘과 함께 앉을 수 있지 않겠나?"라고 명령했다. 그 말을 들은 알키비아데스는 "아니 이 침상에 3명이나 있단 말인가요?"하고 주위를 둘러보다가 한데 앉아있던 소크라테스의 존재를 그때서야 알아차렸다. 알키비아데스는 외쳤다. "아니 소크라테스님, 왜 당신이 이 곳에 계시나요? 제가 가장 예상하지도 못한 곳에서 불쑥 나타나는 그 오랜 습관을 아직도 못고쳤단 말인가요? 아리스토파네스나 다른 못생긴 사람들이 아니라 왜 하필이면 이 연회장에서 가장 잘생긴 아가톤의 곁에 앉아 계신 건가요? 왜 하필 아가톤 곁에 앉아계셨던 건가요?"

그러자 소크라테스는 "아가톤, 나를 지켜다오. 이 친구의 나를 향한 사랑이 결코 사소하지 않다는 걸 안다네. 내가 알키비아데스를 사랑하고 난 이후부터는 단 한번도 아름다운 사람을 제대로 쳐다보거나 대화를 나눌 수 없었다네. 내가 잘생긴 사람과 대화하거나 쳐다보기만 해도 이 친구는 악의적인 질투심에 사로잡혀 나를 괴물처럼 대했고, 나에게 띠를 묶고 그의 손을 잠시도 가만두지 않았다네. 그러므로 그가 혹여나 실수를 저지르지 않게 해주게. 그가 완력을 사용하려 하면 나를 보호하고 중재해주게. 나는 그의 지나칠 정도로 열광적인 사랑에 놀라 몸서리칠 정도라네."라고 말했다.

알키비아데스는 "아니에요. 당신과 나 사이에 중재 따위는 필요 없어요. 당신에게 할 복수는 다음에 하도록 하죠. 지금은, 아가톤, 방금 네게 준 리본을 좀 돌려주세요. 내가 이 아름다운 머리에 리본을 둘러줄 수 있게 말이에요.[67]"라고 맞받았다. 그렇게 알키비아데스는 리본 몇 개를 소크라테스의 머리에 둘러준 다음 그때서야 다시 자리에 앉았다.

(중략) - 알키비아데스는 다들 정신이 멀쩡한 것 같다고 자기가 분위기를 주도할테니 어서 마시자고 재촉한다. 그러자 에뤽시마코스[68]가 알키비아데스에게 아무 것도 안하고 노래만 하겠냐고 물어왔고 알키비아데스는 에뤽시마코스에게 인사한 후 훌륭한 의사양반인 자네가 시키는 것을 하겠다고 한다. 에뤽시마코스는 지금까지 잔치 참석자들이 차례대로 에로스 찬미 연설을 했다면서, 연설을 한 다음 소크라테스에게 시키고 싶은 것을 하나 명령하고 소크라테스는 또 다음사람에게 명령하고 그렇게 순서대로 하는건 어떻냐고 제안한다.

"매우 좋은 생각이군요, 에뤽시마코스." "하지만 이렇게 술에 취해버린 나의 연설을 멀쩡한 다른 사람들의 연설과 같은 수준으로 맞추는 건 공평하지 않아요." 그리고 알키비아데스는 연달아 말했다. "그리고, 내 친구여, 방금 전 소크라테스가 말한 것에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하세요? 그가 말한 건 사실과 오히려 반대되는 이야기에요. 정작 내가 그 앞에서 다른 사람을 칭찬하면 손을 가만히 두지 않은 사람은 소크라테스였어요." 그러자 이를 조용히 듣고 있던 소크라테스는 "자, 이제 그만할 때도 되었네."라고 이야기를 중단하려 들었다. 그러자 에뤽시마코스는 "그렇다면, 소크라테스를 대신 예찬해보는 건 어떤가?"라고 제의했다.

"진심이신가요? 에뤽시마코스? 제가 여러분들 앞에서 소크라테스를 찬미하고 그에게 복수해도 괜찮으신가요?" 알키비아데스가 이렇게 말하자 놀란 소크라테스는 "그만하게나. 대체 무슨 생각을 하는 건가? 나를 예찬하는 척하면서 조롱하려는 게 아닌가?"라고 제지했다. 그러자 알키비아데스는 "저는 오직 진실만을 말할 거에요. 그런다면 허락해 주실건가요?"라고 물었고, 그러자 별 수 없어진 소크라테스도 "그렇다면 어쩔 수 없지. 진실만을 말한다는 조건 하에 원하는 대로 하게."라고 허락했다. "좋아요. 제 마음대로 할게요. 만약 제 말에 거짓이 있다면 바로 중간에 제지하고 거짓이라고 밝혀 주세요."

- 알키비아데스의 연설은 바로 아래쪽에 이어진다.

알키비아데스의 연설.
[ 펼치기 · 접기 ]
> - 소크라테스가 연설을 마친 직후, 다른 연회에서 술을 퍼마시고 취할대로 취한 알키비아데스가 등장한다. 사람들은 알키비아데스에게 연설을 해달라고 요청한다. 알키비아데스는 이를 수락한 뒤, 그에게 지대한 영향력을 끼친 소크라테스를 사티로스에 비견하면서 연설을 시작한다.

소크라테스는 내가 내 영혼의 갈망을 등한시하고 아테네 사람들의 일에 몰두하면서 내가 하고 싶은대로만 하지 말아야 한다고 고백하게 만드시지요. 그러기에 나는 마치 세이렌의 노래를 들은 것처럼 내 귀를 막고 온 힘을 다해 내 자신을 그 분에게서 떼어낸답니다. 만약 그러지 않는다면 내 평생을 그 분의 발치에 앉아 보낼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분은 나 스스로를 부끄럽게 만든 유일한 사람입니다. 당신은 내가 천성상 절대 그러지 못할거라 생각하시지만 그 분을 제외하면 내게 부끄럼을 느끼게 만들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나는 내 스스로가 그 분의 주장에 감히 토를 달거나 그 분이 시키는 것을 거역할 수 없다는 것을 압니다. 그렇기에 나는 그 분을 피하기 위해 일부러 그 앞에서 달아나고, 그 후에는 내가 그 분에 대한 감정을 은연중에 인정했다는 것에 또다시 부끄러움을 느낍니다. 나는 심지어 그 분이 차라리 죽기를 바란 적도 있지만 그 분이 돌아가신다면 내가 기뻐하기는커녕 오히려 슬퍼할 것이라는 걸 압니다.

그리고 이 것이 나와 다른 많은 사람들이 저 사티로스의 플루트 연주 때문에 겪었던 일입니다. 그러니 내가 그 분의 형상이 얼마나 뚜렷하고 그 분의 능력이 얼마나 대단한지에 관해 예찬하는 말을 들어보십시오. 나는 그 분을 알지만 이 자리에서 다시한번 그 분을 보여드리겠습니다. 한 번 시작했으니 계속할 수 밖에 없군요. 소크라테스가 아름다운 것들을 얼마나 좋아하시는지 아십니까? 그 분은 겉으로 봐서는 아름다운 이들에게 쉽게 홀리고 가까이 하려 하기도 하고, 모든 것에 무지하여 아무것도 모르는 걸로 보이지만 - 이 분의 얼굴이야말로 정녕 실레노스의 그것이 아니겠습니까? 확실히 그 분의 얼굴은 실레노스의 조각을 붙여놓은 것 같습니다. 그러나 술취한 나의 친구들이여, 그 분이 입을 열었을 때 그 분의 마음 안에 얼마나 많은 절제심이 들어있는지 아십니까! 그 분은 많은 사람들이 그토록 갈구하는 아름다움과 부와 명예 따위에 관심이 없으며 아예 멸시를 하십니다. 그에게 인간은 아무 것도 아닙니다. 그 분은 평생동안 모든 것을 조롱하고 또 조롱하며 보내오셨습니다.

하지만 내가 처음 그 분을 보았을 때, 내가 처음 그 분의 진지한 목적을 들여다보았을 때 나는 그에게서 너무나도 아름답고 신성한 황금빛 이미지를 보았기에 그 분이 시키는 것이라면 그 무엇이든 실행할 준비가 되어있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에게서 그러한 모습을 보지 못했을지 몰라도 나 자신만큼은 제 욕구를 알아차렸습니다. 나는 그 분이 제 젊음의 아름다움을 진지하게 사랑하신다고 생각했고, 내가 그 분 곁에서 그 분을 만족시켜드릴 수 있는 운을 잡은 것에 대해 환희했습니다. 나는 내 젊고 아름다운 외모에 대하여 자신감이 있었기에 그 분 곁에서 그 분이 아는 모든 것을 듣고자 하였습니다.

나는 내가 세운 계획을 실행하려 시도했습니다. 내가 어느 날 소크라테스에게 갔을 때, 나는 항상 동행하던 시종을 저멀리 보냈습니다.(소크라테스여, 저는 여기서 모든 진실을 말하려 합니다. 만약 제 말에 거짓이 있다면 바로 말씀해주세요.) 이제 그와 저는 단 둘이만 남았습니다. 나는 그 분이 나에게 마치 사랑하는 소년에게 하듯이, 연인들이 사랑하는 제 짝에게 하곤 하는 그런 말들을 해주기를 진심으로 바랐습니다. 하지만 그런 일은 없었습니다. 그 분은 평소처럼 대화하셨고 하루를 나와 함께 보낸 다음 그냥 가버리셨습니다. 하지만 나는 포기하지 않았고, 저는 그 분을 체육관으로 초대한 뒤 그 분과 함께 운동을 했습니다. 나는 옆에 아무도 없을 때 그 분과 몇 번 씨름을 하기도 했고, 잠깐동안은 잘하면 성공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마저 했습니다. 하지만 내가 원하는 일은 끝내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결국 나는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실패한 만큼 더 과감한 유혹책을 만들고 처음처럼 포기하는 실수를 반복하지 말아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나는 진짜 문제가 무엇인지 알아내야겠다고 마음먹었습니다. 나는 그 분을 저녁 식사에 초대했고 마치 그 분이 사랑하는 소년 연인처럼 행동하기로 작정했습니다.

그 분은 호락호락 넘어오지 않으셨습니다. 그 분은 저녁 식사 초대마저 꺼리는 눈치셨지만 결국 수락하셨습니다. 저녁 식사가 끝나자 그 분은 바로 돌아가려 하셨고 나는 차마 그 분을 붙잡을 명분이 없었습니다. 나는 또다시 그 분을 저녁 식사에 초대했습니다. 나는 내 계획에 따라 식사를 마치고 늦은 밤까지 그 분과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밤이 늦고 그 분이 돌아가고 싶어하시자, 나는 시간이 늦었으니 차라리 여기 계속 머무르시는 게 좋겠다고 제안했습니다. 그러자 결국 그 분은 내가 누워있던 소파 바로 옆 소파에 누우셨습니다. 방 안에는 우리 둘이 누워있는 걸 제외하면 아무도 없었습니다.

등불이 꺼지고 곁의 노예들이 모두 떠나가자, 나는 더이상 모호하게 행동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그 분을 살짝 찔러 "소크라테스님, 혹시 자고 계시나요?"라고 물었습니다. 그 분께서는 "아니다"라고 대답하시더군요. "제가 무얼 생각하고 있는지 아시나요?", 그러자 그 분은 "뭘 생각하고 있느냐?"라고 대답하셨습니다. 나는 "제 생각에, 제가 만났던 모든 연인들 중에서도 저를 가질 수 있는 분은 오직 소크라테스님 밖에 없는 것 같아요. 소크라테스님은 부끄러움이 많아 직접 이야기하지 못하시는 것 같군요. 이제 저는 이 방법, 혹은 내 재산이나 내 친구 등 그 어떠한 방법으로든 당신을 만족시켜주지 못한다면 스스로가 바보처럼 느껴져요. 저에게는 제 완벽함의 성취가 그 무엇보다 중요해요. 그리고 당신보다 저를 더 성장시켜주실 수 있는 분은 없는 것 같아요. 제가 당신에게 제 몸을 주는 것에 대하여 대다수의 바보 같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오히려 제가 당신께 제 몸을 바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일부 현명한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훨씬 더 중요해요."

내가 이렇게 말하자 그 분은 특유의 시니컬한 말투로 대답하셨습니다. "알키비아데스야, 네가 나에 대해 말하는 것이 사실이고 네가 성장할 힘이 정말로 내 안에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 너는 바보가 아니다. 너는 내 안에서 네 육체의 아름다움 따위가 아니라 그보다 더 무한히 높은 종류의 희귀한 아름다움을 보아야만 한다. 그런 종류의 아름다움이어야만 네가 진정으로 나에게서 많은 것을 배워갈 것이고 동등한 아름다움과 아름다움을 함께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네가 말한 게 사실이라면 내가 가진 아름다움이 너의 육체적 아름다움에 비해 더 월등한데 왜 내가 이득 없는 거래를 하겠느냐?[69] 너는 황금과 청동을 바꾸려 하는구나. 하지만 축복받은 이여, 다시한번 생각해보거라. 네가 알지 못하는 것 같지만 나는 무가치하다. 육체적인 갈망이 사라지면 마음 속에는 의심이 자라날 것이고 네가 늙기에는 아직도 오랜 세월이 남아있지 않느냐?"

나는 이 말을 듣자마자 말했습니다. "저는 이 방법이 저에게 최선이라고 생각해요. 제 말 한마디 한마디 모두 제 마음과 다르지 않은 게 없어요. 당신과 저에게 어떤 것이 더 좋다고 생각하는지 고려해주세요."라고 말입니다. 그 분은 "알겠다."고 말씀하시더니 "우리는 나중에 이 문제와 다른 문제들에 대해 최선의 방법으로 숙고하고 행동해 보자꾸나."라고 답하시더군요.

나는 이 말을 듣고 그 분이 제 말에 감동하신 줄 알았습니다. 제가 화살처럼 쏘아보낸 말들이 그 분의 마음을 다치고 흔들리게 한 줄만 알았습니다. 그래서 나는 그 분이 그 말씀을 하시자마자 대답도 듣지 않고 일어나 제 겉옷을 벗어 그 분 위에 둘러준 다음, 그 진정으로 악마적이고 놀라운 존재를 내 팔 안에 안은 채 밤새도록 누워 있었습니다. 다시 한번 소크라테스님, 당신은 이걸 부정하지 못하실 겁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분은 나보다도 더하시더군요. 그 분은 내 아름다움과 젊음을 경멸하고 조소하셨습니다. 소크라테스여, 모든 신들과 여신들이 내 증인이 되게 하소서! 저는 그날 밤 내내 소크라테스와 함께 누워 껴안고 밤을 보냈지만, 더이상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나는 연인은커녕 아버지나 형제의 침상에서 일어난 것만 같은 기분을 느꼈습니다.

그 후의 내 감정은 어땠겠습니까? 나는 내가 불명예를 당했다고 생각했지만 여전히 그 분의 정신력과 자제력, 성품에 감탄했습니다. 그 정도의 지혜와 인내를 가진 사람을 만나리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습니다. 그랬기에 나는 차마 그 분께 화를 내서 그와의 우정을 끊을 수조차 없었고, 더이상은 그 분을 육체적으로 끌어들이리라 희망할 수도 없었습니다. 사람이 쇠로 상처를 입지 않는다면 금으로도 상처를 입을 수 없겠죠. 게다가 내가 그 분을 덫에 빠뜨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이미 통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나는 제정신이 아닌 채로 실제 노예가 된 것보다도 더 절망적으로 그 분의 노예가 되어 방황했습니다. 이 모든 일이 그 분과 내가 포티다이아로 원정을 떠나기 전 일어난 일입니다.

이후 알키비아데스는 포티다이아에서 소크라테스의 영웅적 행동과 그의 훌륭한 성격을 예찬한다.

"여러분, 이 것이 내가 소크라테스에게 올리는 찬사입니다. 물론 이야기 도중 약간 내가 가진 불만을 섞어 말하고 그 분의 실수를 부각하기는 했지만, - 그 분이 내게 분노했던 일을 언급한 것과 같이 - 말입니다. 다만 이 것만큼은 말하고 싶군요. 나는 그 분이 이런 식으로 대한 유일한 소년이 아닙니다. 글라우콘의 아들 카르미데스, 디오클레스의 아들 에우티데모스, 그리고 그분은 나를 포함한 많은 이들을 사랑하는 것처럼 기만하고는 그 분을 사랑하게 만든 수많은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 분은 사랑하기보다는 사랑을 받는 쪽이시지요."

10. 관련 문서



[1] 고대식으로는 Sōkrátēs(소크라테스), 현대식으로는 Sokrátis(소크라티스)[2] 다만 소크라테스가 직접 한 말은 아니다.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 참조.[원문] ὁ δὲ ἀνεξέταστος βίος οὐ βιωτὸς ἀνθρώπῳ[4] 오늘날 기준으로야 소크라테스도 꽤나 종교적이며 특정 가치에 편향적인 인물이고, 윤리, 보편성, 객관성 등이 이성적, 비판적, 반성적 자세와 토대를 전제로 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상식이지만, 이러한 상식화 자체가 다름 아닌 소크라테스적 전통의 영향이다. 유교, 도교, 불교, 힌두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등 동서양의 여타 전통적이고 지배적인 교설적 사상들과 견주어 본다면, 소크라테스적 이성주의와 (자기)비판주의 전통은 특이한 축에 속한다. 소크라테스와 더불어 종교성이 옅다는 공자와 견주어 보아도, 공자가 제자 재아와의 3년상 논쟁에서 보여준 교설적이고 감정적인 면모와 소크라테스가 에우티프론과의 경건함 논쟁에서 보여준 면모는 차이가 큼을 알 수 있다.[5] 대개 개념 정의 작업.[6] 플라톤의 초기 대화편인 <<에우티프론>>, <<라케스>>, <<카르미데스>> 등에서 이 면모가 특히 잘 드러난다.[7] 그러나 그의 목적이나 의도와는 상관없이 그의 말재주를 배운 이들의 악행, 그에게 논박당한 사람들의 앙심, 그를 타락한 소피스트로 판단한 민중들의 반감 등등 여러 계기가 겹쳐 그의 비극적 최후를 낳게 된다.[8] 토의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9] 실제로 고발되어 잡혀온 창녀가 예쁘다는 이유로 무죄방면 되기도 했고, 크세노폰의 《아나바시스》에는 질 게 뻔한 전투에 참여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회의에서 퇴각해야 하는 이유를 조리 있게 설명했지만, 못생겼다는 이유로 그의 주장이 묵살당한 병사의 이야기도 나온다. 고대부터 이어져온 외모지상주의[10] 당시 아테네는 지극히 인간중심적인 문화관을 갖고 있었고, 그들이 추구하는 제1의 미는 '인간의 아름다움'이었다. 오직 인간만이 지성을 갖고 철학적 대화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그들이 스스로에게 도취된 결과이다.[11] 알키비아데스는 그냥 평범한 시민 1인 소크라테스와 달리 혈통도 엄청나긴 했다.[12] 하지만 크세노폰의 기록에 따르면, '용맹하고 남자의 풍모가 넘치는 미남'이라고 한다. 다만 크세노폰은 뼛속까지 소크라테스 빠돌이였다는 것이 거의 정설이라는 점을 참고하자.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에서는 둘 모두를 고증하여 얼굴은 반반하지만 아테네의 미적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파오후로 등장한다.[13] 못생긴 외모와 더불어 말솜씨로 사람들을 현혹한다는 의미를 담은 표현. 사실 앞뒤 대화내용을 보면 논리로 한번 털린 다음 못생긴 궤변론자라고 까며 정신승리한 것에 가깝다.[14] 디오게네스와는 달리 플라톤 대화편의 묘사로는 격식이 필요한 자리에서도 완전히 거지처럼 돌아다니지는 않았던 것 같다.[15] 플라톤은 사모(師母)라고 할 수 있는 크산티페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가 거의 없었다. 부정적인 묘사가 없다기보다도 철학적인 면을 조명한 바가 크기 때문에, 크산티페가 등장하는 대목이 얼마 없다. 개중에 부정적인 묘사라고 하면 소크라테스가 죽을 때 크산티페가 울부짖었다는 정도다. 근데 남편이 죽는데 울부짖지 않으면 그게 더 나쁜 부인이 아닌지? 크산티페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는 대개가 다 크세노폰으로부터 비롯한다. 일례로, 《향연》(2.10.)의 보고에 의하면, 안티스테네스가 '어케 그런 까탈스러운 사모님과 함께 사십니까?'라고 묻자, 소크라테스가 '훌륭한 기수는 오히려 기가 센 말을 다루어 보려고 하듯이, 내가 내 아내 같은 사람을 견뎌낼 수 있다면 다른 어떤 사람들과도 교제할 수 있으니까'라고 대꾸한다.[16] 어쨌든 행복하거나 똑똑해진다는 얘기니 결혼이 나쁘단 얘기는 안 했다.[17] 아테네군의 운 좋은 일부 패잔병들끼리 뭉쳐, 소규모 집단이나마 전열을 다시 갖췄다. 추격하던 기병들은, 소규모이지만 저항할 태세를 갖춘 중보병 무리들을 회피하고, 지천에 널린 손쉬운 먹잇감인 비무장 도망병들에게로 말머리를 돌렸다.[18] 실제로 전투에서는 패닉 상태에 빠져서 무질서하게 패주하면, 궤멸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패배하더라도 침착하게 전열을 어느 정도 갖춘 상태에서 후퇴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그렇게 할 수 있다면 말이지만. 특히 그리스식 보병 방진은 전열이 무너지거나 흐트러지면 답이 없지만, 뭉쳐있으면 상당히 강력해서, 퇴각 상황에서도 전열을 유지하고 있으면 추격하는 기병이라도 함부로 덤비기가 상당히 부담스럽다.[19] 포티다이아 전투(기원전 432년), 델리온 전투(기원전 424년), 암피폴리스 전투(기원전 422년)[20] 픽션 속의 언급이기는 하지만, 크세노폰의 《경영론》, 2.3에서 소크라테스는 자기 재산을 다 처분하면 기껏해야 5므나(노무자 일당으로 환산하면 500일치)밖에 안 될 것이라고 한다.[21] 고대와 중세에서, 고급 무장(武裝), 즉 전투 장비는 병사나 기사 개인이 장만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재력이 충분한 주군에게 고용된 기사라면 예외가 될 수도 있겠지만, 중장보병의 군장(軍裝)은, 오늘날의 물가로 계산해서 어지간한 고급 중형차 한 대 값이라고 보면 되고, 기병(騎兵)용 말과 고급 장비는, 현대의 물가로 환산하면 웬만한 집 한 채 값 정도다. 그렇기 때문에 사실 아테네도 처음엔 민주정이 귀족과 자산가들 위주로 이루어졌다. 아테네에서 빈민층은 값 비싼 장비가 필요 없는 해군 노잡이로 참전했는데, 아테네가 성장하고 세력이 확장되면서 해군의 규모와 중요성이 높아져서, 이 노잡이들도 국방에 기여한다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아 참정권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22] 무지막지한 인력 동원을 자랑했던 로마는, 순수히 자비로 장비를 마련하던 시절에는 그 많은 인력 동원을 위해 흉부를 대충 보호하는 금속판만 줄에 묶어 장비한 무장을 썼었다. 마니퓰라 제도 하에서 최전선을 담당한 비숙련병인 하스타티가 대표적인 예시.[23] 광장에 소크라테스가 뜨면 다들 고개를 돌리고 모른 척 했다고 전해진다.[24] …내가 바삐 돌아다니면서 사사로이 그렇게 충고를 하면서 부질없는 참견을 하지만, 공적인 모임에 나타나서 나라에 대해서는 충고를 하지 않는 것을 아마 이상하게 생각할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그 원인은 이미 여러분이 여러 번 여기저기서 내가 말하는 것을 자주 들은 적이 있는 바로 그것, 즉 나에게 자주 나타나는 일종의 신의 알림이라든가, 신령스런 것인데…(중략)… 바로 그것이 내가 정치에 관여하기를 반대하고 있거니와, 그 반대는 매우 훌륭하다고 생각됩니다. 왜나 하면 아테나이의 여러분, 내가 일찍이 어지러운 정치에 관여하려고 했더라면 틀림없이 벌써 몸을 망치고, 여러분이나 나 자신에게나 아무 이로운 일도 없었을 것입니다.- 《소크라테스의 변명》 올재 번역본 중[25] 《유명한 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 1》 2021. 나남출판. p.32[26] '조산사'라는 뜻의 산파(産婆)와 같다.어머니가 산파였기 때문에 진리의 분만을 도와준다고 산파법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아버지는 석공인데, 이것도 진리를 점차 찾아간다는 것으로 영향을 받았다고 하기도. 그런데 이 방법을 개발한 사람이 대표적인 소피스트인 프로타고라스라는 기록이 있다. 그리스 철학자 전기작가였던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오스(Διογένης Λαέρτιος, 생몰년일은 불명. 그러나 남긴 저작을 분석으로 3세기 사람으로 추측)가 그런 기록을 하고 있다. 하지만 설령 소피스트가 이런 방법을 개발했다고 해도, 소크라테스가 산파술을 활용한 방향은, 인습과 개념의 구분을 하지 않던 소피스트들과는 정반대로, 인습에서 벗어난 개념을 정립하기 위함이므로, 소크라테스의 위상에는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는다.[27] 라틴어 구절 ipse se nihil scire id unum sciat로부터 유래한, 소크라테스와 플라톤 철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말이다. 일단 자신이 모르고 있다고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남에게 배워서 아는 것이든 스스로 숙고해서 깨닫는 것이든, 진정한 앎이 시작되기 때문이다.[28] 소크라테스의 친구였던 카에레폰(Χαιρεφῶν)이 질문했다는 설이 있다.[29] 대표적으로 크로이소스의 신탁이 있다. 리디아의 왕이었던 크로이소스가 무녀에게, "우리가 전쟁을 벌이면 승리합니까?"라고 물었더니 무녀 曰, "크로이소스가 전쟁을 한다면, 그는 대제국을 멸망시키리라" 라는 답변이 돌아와서, 이를 믿고 키루스의 페르시아와 전쟁했더니 되레 패배해 리디아가 멸망했다. 신탁에서 말한 멸망한다는 대제국은 페르시아가 아니라 리디아였던 것.[30] 다른 설도 있는데, 당시 델포이의 아폴론 신전의 신탁은 두 가지 방법으로 전해졌다고 한다. 하나는 많은 돈을 받고 정식으로 써주는 신탁이었고, 다른 하나는 적은 돈을 받고 예/아니오만 알려주는 약식 신탁이 있었다고 하는데, 당시 델포이 신전에서 신탁을 요청한 소크라테스의 친구는 이 약식 신탁을 받아서 이렇게 딱 떨어지는 답을 받았다고도 한다.[31] <논어집주>의 해석. 논어집주는 주자가 지난 2천년에 가까운 세월의 주석들을 모아 정리한 것이다.[32] 《The Philosophy Book》 by Dorling Kindersley(2010)[33] 소크라테스가 던진 질문은 사회의 존립에 대한 본질적 질문인데, 이걸 "악법도 법이다"로 둔갑시키는 것은 무지한 해석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34] ‘Unexamined life’가 핵심인데, ‘(옳고 그름이) 검증되지 않은 삶’, ‘(옳으냐 그르냐를) 고찰 or 반성하지 않는 삶’ 등등 다 의미가 통하며 다 함축돼 있다.[35] Trapp, 2007[36] Homer H. Dubs, 1997[37] 그리스인이 이성적이라는 현대의 인식과는 달리, 고대 그리스에서 공공연하게 신이 없다거나 혹은 신을 믿지 않는다고 말하는 무신론자들은 좋은 대우를 받지 못했다. 한 예로 "태양은 신이 아니라 그저 타오르는 불덩어리일 뿐이다."라고 말한 철학자는 아테네 시민들로부터 신을 모독하는 자라고 분노를 사서 추방당했다.[38] 영단어에서는 악마를 뜻하지만, 그리스에서는 하급신을 뜻한다.[39] 플라톤의 대화편에서도 검증되는 내용이다.[40] 소크라테스에 대한 고발장에 이와 같은 정치적 내용이 들어가 있었다는 것은 수사학자 이소크라테스의 <부시리스>를 통해서 검증이 된다.[41] 이는 아리스토파네스의 <구름>에서도 소크라테스가 위 법률조항을 사용하는 장면으로 등장한다.[42] 비록 아테네가 장군을 선거로 뽑긴 했지만, 이것은 '현실'을 위한 타협이었지 그 자체로 아테네에서 민주정치 요소로 인식된 건 아니다.[43] 물론 소크라테스는 신들과 다이몬들이 인간사에 개입하는 것을 믿고, 신탁에 진지하게 귀를 기울이는, 경건하고 신심 깊은 아테네인이었다.[44] 아리스토파네스의 소크라테스 풍자는 정당한가? ―그의 『구름』에서의 소크라테스 혹평에 대한 반론. 윤병렬, 철학탐구, 2012, vol.32, pp. 115-145.[45] 플라톤의 친척이기도 하다. 플라톤은 대화형식으로 그의 이름을 따서 만든 《크리티아스》라는 저술을 남겼으며, 그 유명한 전설 속 대륙 아틀란티스도 바로 이 《크리티아스》에 등장한다.[46] 플라톤 대화편에도 언급되는 내용이다.[47] 소크라테스는 정의에 대해 아테네 사람들이 숙고하도록 만드는 철학적 행위야말로 어떤 행위보다도 숭고한 것이라고 생각했고, 고로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사상과 철학을 가르친 공로가 있는 자신은 국가에 엄청난 봉사를 한 것이므로, '영빈관에서 나한테 밥이라도 한 끼 사야 되는 거 아니냐' 라는 식으로 어그로를 끌었던 것. 참고로 아테네 시민이 영빈관에서 대접받으려면, 개선장군이나 올림픽 경기 우승자급 위업을 이룩해야 했다.[48] 이런 시각도 있다. 옳고 그름을 판단하기 위한 법정에서도, (듣는 내가) 기분 나쁘다, 좋다에 따라 판단했다는 것. 그러므로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법정이 자신에게 사형판결을 내리게 만듦으로써, 그들이 알고 있고 행하고 있다고 생각한 정의가 올바르지 않다는 것을 자신의 죽음으로써 증명한 셈이라는 것이다. 물론 배심원들을 저주했다는 말도 있다.[49] 소크라테스에게 독배를 건네는 사람은 감옥의 간수인데, 투옥된 소크라테스가 그에게 항상 정중하고 친절하게 대했기 때문에 그를 존경하고 있던 터라 얼굴을 가린 채 슬퍼하고 있다.[50] 나름 고증에 맞게 제작된 그림이지만, 감옥 문이 고대 그리스에는 없었던 아치 모양인 옥의 티가 있다.[51] 단, <파이돈>을 참고하면 소크라테스는 영혼은 원래 이데아계에 있다가 육체에 깃들게 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위의 대화편에서, 자살을 종용하는 것은 아니지만 죽음이 육체로부터 영혼을 해방시킨다는 점에서 두려워할 필요가 없음을 피력한다. 허무주의의 의미라기 보다는 일종의 영혼불멸설에 대한 논의일 것이다[52] 이 이유로 소크라테스는 2가지를 들었다. 먼저 죽음은 잠과 같은 것이가 잠은 편하기 때문에 죽음도 편하다는게 첫번째 이유고, 죽어서 저승에 가면 그동안 죽었던 현자들과 공정한 지옥의 재판관들 사이에서 진정한 앎을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죽는게 좋다는 게 두번째 이유다.[53] 플라톤 본인은 당시 몸이 아팠다고 말한다. 다만 당시에도 그 이야기를 믿어준 사람은 별로 없었던 모양이다.[54] 김주일, 2023[55] 공교롭게도 이는, 공자의 사망 후 제자들에 따라 학파가 난립한 것과 비슷하다. "공자가 죽은 이래, 자장의 유가, 자사의 유가, 안씨의 유가, 맹씨의 유가, 칠조씨의 유가, 중량씨의 유가, 손씨(순자를 지칭한 것으로 추정)의 유가, 악정씨의 유가가 있었고, ..."(自孔子之死也, 有子張之儒, 有子思之儒, 有顔氏之儒, 有孟氏之儒, 有漆雕氏之儒, 有仲良氏之儒, 有孫氏之儒, 有樂正氏之儒)(《한비자》, 〈현학(顯學)〉)[56] 비슷한 일례로는 《인간의 조건》 시즌1의 휴대폰이 없다면 에피소드에서 개그맨 김준현이 한 말인, "기록이 기억을 지배한다"는 말이 있다. 즉, 기록에 의존해서 기억력과 사고력이 감퇴되는 것을 지적한 것이다.[57] 실제로 고대의 서적은 부피도 크고 휴대도 불편했으며, 활자의 제작 역시 학자의 영역보다는 장인(기술자)의 영역이었다. 또한 내용은 적게 담으면서 제작 기간 역시 오래걸리기 때문에 소크라테스는 서적보다 토론에 중점을 두었던 것으로 보인다.[58] 아리스토텔레스가 좀 오락가락하긴 하지만, 귀납의 창시자를 소크라테스에게도 돌린 적이 있기 때문에, 소크라테스가 귀납과 산파술을 통해 보편적 개념을 만들려고 했던 것은 어느 정도 인정되는 바이다.[59] 당장 한국만 해도, 플라톤을 모르는 이는 널리고 널렸지만, 소크라테스를 모르는 이는 거의 없다.[60] 자신이 믿는 진리와 정의를 위해 스스로 죽음을 택한 모습은,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에 비견될 만큼 상당히 충격적이다.[61] 아마 소크라테스는 이상주의자이고 생각이 많은 플라톤 앞에서는 산파술을 많이 펼쳐 보였고, 페르시아 원정을 다녀올 정도로 평생 군인의 삶을 산 크세노폰 앞에서는 양식 있고 남자다운 모습을 많이 보여주지 않았나 추측해 본다. 비슷한 예로 공자도 제자들 성향에 따라 같은 가르침이라도 다르게 설명하곤 했다.[62] 상명하복 관계를 상상하면 곤란하고, 말벗 비슷한 관계들이었다.[63] 밑 카르미데스와 함께 플라톤의 외가 친척이며 30인 참주정의 필두로, 폭정을 일삼다 몰락한다. 알키비아데스, 크리티아스, 카르미데스 등의 악행이 소크라테스가 아테네 젊은이들을 타락시켰다는 죄목으로 기소되는 데 큰 영향을 끼친다.[64] 로마자 전사: hēde hē teleutē ō Echekrates tou hetairou hēmīn egeneto andros hōs hēmeis phaimen an tōn tote hōn epeirathēmen aristou kai allōs phronimōtatou kai dikaiotatou[65] 원문은 Perseus Digital Library에서, 한국어 번역은 정암학당 전헌상 번역에서 발췌. 비록 파이돈의 입을 빌리기는 했지만 소크라테스에게 바치는 플라톤의 헌사이다.[66] 키케로, 『브루투스Brutus』 85.292에서 인용. 에피쿠로스 학파인 아티쿠스의 발언.[67] 즉 알키비아데스가 생각한 방 안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은 소크라테스라는 뜻이다.[68] 초반에 절주 분위기를 주도한 이들 중 하나이다.[69] 자신의 지적 아름다움이 알키비아데스의 육체적 아름다움보다 월등하다고 말하면서 그의 갑작스런 고백을 능청스럽게 받아넘기는 것에 더 가깝다.[70] 소크라테스가 처형당하기 전, 그의 아내 크산티페가 소크라테스더러 부당하게 처형당하는 것이라고 항변하자 "그럼 임자는 내가 정당하게 처형당하는 것을 바라는 것이오?"라고 되물은 적이 있다.[71] 애초에 소크라테스는 무언가를 규정하는 철학자가 아니라 모든 것에 "왜?"란 질문을 던진 철학자인데 저런 식으로 퀴즈를 낸다는 것 자체가 소크라테스에 대해 모른단 걸 인증하는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