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23:18:50

리모스

제우스의 자식들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373a3c> 자녀 어머니
헤파이스토스
대장장이
아레스
전쟁
헤베
청춘
에일레이튀이아
출산
<colbgcolor=#e6e6fa,#08082a> 헤라
페르세포네
씨앗
데메테르
아테나
전쟁
메티스
아폴론
태양
아르테미스
레토
헤르메스
전령
마이아
디오뉘소스
세멜레
리모스
굶주림
에리스
헤라클레스
용기
알크메네
폴뤼데우케스
팡크라티온
레다
호라이 테미스
에우노미아
질서
디케
정의
에이레네
평화
무사이 므네모쉬네
칼리오페
서사시
에라토
연애시
에우테르페
서정시
클레이오
역사
탈리아
희극
멜포메네
비극
테르프시코레
우라니아
천문학
폴뤼휨니아
찬가
카리테스 에우뤼노메
에우프로쉬네
유쾌
탈리아
발랄
아글라이아
아름다움
브리토마르티스
사냥, 그물
카르메 }}}}}}}}}
파일:아침 님프의 춤.png
리모스 (Limos)
기아, 배고픔, 굶주림의 신
그리스어 Λιμός
라틴어 Fames
그리스어 라틴문자 표기 Limos

1. 개요2. 에뤼시크톤 일화3. 대중매체

1. 개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신. 제우스와 불화의 여신 에리스의 딸[1]기아, 배고픔, 굶주림의 여신이다. 로마에서는 파메스(Fames)로 불렸으며, 영어로 기근을 뜻하는 'Famine'의 어원이 되었다.

리모스의 얼굴은 창백하고, 머리카락은 까치집처럼 헝클어져 있다. 시퍼런 입술은 갈라져 있고, 눈은 어디에 있는지 모를 정도로 들어가 있었고, 뼈만 남은 몸뚱이는 움직일 때마다 삐그덕거렸다고 묘사된다.

데메테르와 관련된 에뤼시크톤 이야기를 제외하면 이렇다 할 전승이 없다시피한 신이라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의 비중은 거의 없다. 심지어 그 성별조차도 전승에 따라 남신과 여신을 오락가락 할 정도이다.

2. 에뤼시크톤 일화

데메테르의 신전 근처에는 신성한 신수 참나무 한 그루가 있었는데, 가지에는 꽃장식이 달려 있었다. 숲의 요정 하마드리아스들이 노래하고 춤출 때면 주위가 환해지는 것 같아서, 데메테르는 이 나무를 정말 좋아했다.

그런데 어느 날, 지방의 유지였던 에뤼시크톤이 참나무를 발견해서, 그 나무를 베어가다 집을 지으면 좋겠다며 당장 이 나무를 베도록 하인들에게 지시했지만 한 사람도 나서지 않았다. 나무를 베어 버리면 분명히 큰 벌을 받을 것이기 때문인데, 보다못한 에뤼시크톤은 간 크게 직접 도끼질을 하기 시작했다. 참나무는 베인 자리에서 피가 흐르면서 에뤼시크톤에게 반드시 복수해 주겠다는 말을 했지만, 에뤼시크톤은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참나무를 베어버렸다.[2]

숲의 요정들이 데메테르에게 에뤼시크톤이 참나무를 베어 버렸다고 알리자, 데메테르는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벌을 내리겠다고 했다. 데메테르는 산의 요정 오레아스에게, 당장 리모스에게 가서 에뤼시크톤에게 평생 배고픔에 시달리는 형벌을 내리도록 하라고 말했다.[3]

당장 리모스에게 달려간 오레아스는 리모스에게서 멀리 떨어져서[4] 데메테르의 말을 전했고, 명령을 받은 리모스는[5] 자고 있는 에뤼시크톤에게 가서 몸 구석구석에 배고픔의 기운을 불어넣었다. 리모스가 임무를 마치고 돌아가자 에뤼시크톤의 입이 움직이기 시작했다고 한다.

아침이 되자, 에뤼시크톤은 너무 허기가 심해져서 먹을 것부터 찾았다. 에뤼시크톤은 식탁 위에 차려진 음식을 정신없이 먹어 댔고, 하인들은 그의 불호령에 줄을 서서 음식을 날랐다. 그 결과 집안의 음식이 다 떨어진 뒤 에뤼시크톤의 엄청난 재산은 순식간에 음식값으로 사라져 버렸다. 에뤼시크톤에게는 딸 메스트라밖에 남지 않았는데, 메스트라가 더 이상 음식을 살 돈이 없다고 말하자 에뤼시크톤은 딸을 하녀로 판 돈으로 음식을 사 먹었다. 물론 에뤼시크톤의 배는 그 동안 쌓아올린 신용을 모두 잃어버리고 나서도 채워지지 않았다.

새 주인을 따라 바닷가로 나간 메스트라는 포세이돈에게 다시 집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 달라고 간절하게 기도했다. 포세이돈은 메스트라를 어부로 만들어 주고 동물 변신 능력도 부여해 주어, 메스트라는 집에 돌아갈 수 있었다. 메스트라가 기쁜 마음으로 집에 돌아오자 에뤼시크톤은 동물 변신 능력을 가진 딸을 동물로 변신시켜 팔고 곧바로 돌아오게 하고, 다시 동물로 변신시켜 팔았다가 돌아오게 하는 패턴을 계속 반복시켜 엄청난 식비를 충당한다.

이 와중에 이 소문을 들은 시쉬포스도 메스트라를 이용하여 떼돈을 벌 목적으로 자신의 아들 글라우코스와 결혼시키겠다고 거짓말을 하고는 에뤼시크톤에게 거액의 식비를 지불하고 메스트라를 데려와 동물로 변신시켜 팔지만, 당연히 메스트라는 시쉬포스가 아니라 아버지에게 돌아갔다. 메스트라를 내놓으라는 시쉬포스와 자신의 딸을 사기에 이용한 놈과는 사돈 맺을 수 없다는 에뤼시크톤의 언쟁이 과격해지자 메스트라는 시쉬포스에게 자신을 다시 데려가고 싶으면 돈을 다시 지불하라고 말한다. 속이 쓰렸지만 메스트라가 아까웠던 시쉬포스는 진짜로 글라우코스와 결혼시키겠다며 돈을 다시 주고 데려온다.

하지만 예전에 아이기나 문제로 단단히 벼르고 있던 제우스가 시쉬포스의 대를 끊어버리겠다며 화를 내면서 포세이돈에게 메스트라를 데려가 버리라고 지시한다. 포세이돈 역시 일련의 반복되는 상황에 메스트라를 걱정하고 있던 차였고, 보다못해 에뤼시크톤을 더 이상 봐줄 수 없다며 메스트라를 코스 섬으로 데려와 버려, 다시는 에뤼시크톤 곁으로 돌아올 수 없게 만들었다. 메스트라는 포세이돈과의 사이에서 에우리필로스를 낳았고, 나중에 아우톨리코스와 결혼한다고도 한다.[6]

주린 배를 움켜잡고 딸이 돌아오기만을 기다리던 에뤼시크톤은 급기야 자기 몸의 살덩어리와 붙어있는 것들을 먹기 시작해서, 마지막에 에뤼시크톤이 있던 자리에는 잇몸과 이빨만이 남는 최후를 맞았다고 전해진다.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그 이빨은 그 와중에도 음식을 먹기 위해 계속 딱딱 소리를 내게 되었다고 한다.

리모스는 데메테르와 관장하는 영역이 완전 상반되는지라 데메테르와는 엇나가기로 유명했지만, 이번만큼은 같은 신으로서 인간의 오만방자함에 치를 떨어서 그대로 명령을 따랐던 것이었다.

3. 대중매체

파일:IMG_리모스.jpg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구판


[1] 또는 에리스가 스스로 낳은 딸.[2] 이때 한 하인이 에뤼시크톤에게 제발 그만하라며 팔을 잡자, 불같이 화를 내면서 그 하인의 허리를 참나무랑 똑같이 베어죽였다는 전승도 있다.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그냥 발로 차 버렸다고 한다.[3] 데메테르가 리모스를 끌어들인 이유는 농경의 여신이 내릴 수 있는 가장 큰 벌은 곡물을 먹어도 먹어도 허기가 채워지지 않는 배고픔이기 때문이다. 데메테르가 직접 가지 않고 전령을 보낸 것은, 풍요를 상징하는 데메테르와 기아를 상징하는 리모스는 속성상 상극이기에 직접적으로 상호작용을 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4] 멀리 떨어져서 말을 전했는데도 그녀를 보기만 한 것만으로 금세 시장기가 느껴졌다고 한다.[5] 두 신이 상극이기는 해도, 의외로 사이가 그렇게 나쁘지는 않았는지 둘이 충돌했다는 이야기는 없고, 평소 업무가 업무다 보니 리모스는 항상 데메테르와 반대로 행동했다고 하지만 이 때만은 데메테르 여신의 말을 그대로 따랐다고 한다.[6] 그리고 에우리필로스는 폭풍을 피해 코스 섬에 상륙했다가 해적으로 오인받아 싸움을 벌인 헤라클레스에게 죽는다는 전승이 있고, 헤라클레스가 에우리필로스의 딸 칼키오페에게 반해 납치하려고 침공을 계획했다는 전승도 있다. 하여튼 칼키오페는 헤라클레스와의 사이에서 테살루스를 낳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