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14:46:37

만다야교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파일:종교표지_유대교_흰색.png
유대교
파일:만다야교 상징.png
만다야
파일:종교표지_기독교_흰색.png
기독교
파일:종교표지_이슬람_흰색.png
이슬람
파일:종교표지_드루즈_흰색.png
드루즈
파일:야지디교 상징 흰색.png
야지디
파일:종교표지_바하이_흰색.png
바하이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7a3b><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옛 국가 (1955~1981) (1981~2003) · 이라크/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수메르 · 아카드 · 우르 제3왕조 · 바빌로니아 · 미탄니 · 아시리아 · 신바빌로니아 · 우마이야 왕조 · 라흠 왕국 · 아바스 왕조 · 함단 왕조 · 부와이 왕조 · 우카일 왕조 · 장기 왕조 · 잘라이르 왕조 · 흑양 왕조 · 백양 왕조 ·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 · 이라크 왕국 · 이라크 제1공화국 · 바트당 집권 이라크 · 걸프 전쟁 · 이라크 전쟁 · 이라크 연합국 과도 행정처 · 이라크 내전 · 이라크 반정부 시위
정치·
치안·
사법
정치 전반 · 황금 광장 · 바트당 · 쿠르디스탄 민주당 ·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이라크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김선일 피랍 사건
경제 경제 전반 · 이라크 디나르
국방 이라크군 · 특수 공화국 수비대 · 페슈메르가
문화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칼데아 가톨릭 · 요리 · 마스코프 · 사문 · 클레이차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프리미어 리그 · 아랍어 방언
인물 길가메시 · 이븐 알하이삼 · 사담 후세인 · 잘랄 탈라바니 · 푸아드 마숨 · 바르함 살리흐 · 압둘 라티프 라시드 · 마수드 바르자니 · 네치르반 바르자니 · 나디아 무라드
지리 유프라테스강 · 티그리스강 · 자그로스 산맥 · 알자지라 · 이라크 쿠르디스탄 · 그린 존 · 마슈리크
민족 이라크인(아르메니아계) · 아시리아인 · 야지디족 · 이라크 흑인 · 이라크계 스웨덴인 · 투르코만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ndaeans_at_prayer_by_the_riverside%2C_Ahvaz%2C_Iran_2013.jpg 파일:Mandaean-Mandi-Nasiriya-Iraq.jpg
기도하는 만다야교도들 이라크 나시리야의 만다야교 사원. 천으로 장식된 십자가 그림이 있다. 만다야 교인들은 나뭇잎과 천으로 장식된 십자가를 상징으로 사용한다.

1. 개요2. 교리3. 역사

1. 개요

영지주의적인 교리를 가진 아브라함 계통의 유일신교. 고대부터 이어진 영지주의 계열 종교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종교집단이다. 전세계의 신도 수는 6, 7만 명 정도가 되며 본거지는 이라크다. 만다야어(Mandaic language)로 알려진 아람어의 방언을 사용한다.

2. 교리

파일:만다야교 두루마리1.jpg 파일:만다야교 두루마리2.jpg

만다야교는 급진적인 이원론적 세계관을 가졌다.

이들은 신이 보낸 여러 예언자 중에 세례자 요한이 가장 으뜸이라고 말하며 예수는 세례자 요한의 모습을 따라한 예언자라고 보고 아브라함, 예수, 모세를 믿지 않으며 대신 아담과 에녹, 노아를 예언자로 공경한다. 현재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드루즈와 더불어 가장 알려진 것이 없는 종교다.

일단 만다야교의 신은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야훼와 같다고 한다. 종교의 교리나 가르침을 어떠한 문서나 기록으로 구체적으로 남기지 않고 암호화된 방식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만다야교도가 아닌 외부인이 이들의 교리를 알기는 매우 어렵다고 한다.

일부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성스러운 장소에서 요단(Yardana)이라 불리는 흐르는 물로 제사장이 집례하는 세례 의식을 행한다.[1]

3. 역사

초기 유대교적인 원-영지주의 기원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이 종교의 이름은 어근 yd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아는 자들(knowers)'을 의미한다.[2] 만다야교에서는 세례를 중시하는 대신 할례가 금지되는데 이를 근거로 만다야교가 초창기 그리스도교 교리와 문화에 영향을 주었다는 주장도 있지만 만다야교 관련한 사료가 부족하고 만다야교의 세례와 그리스도교의 세례가 다른 이유로 해당 주장은 논란이 많다.

만다야교 전승에 따르면 만다야교도들은 서기 1세기 무렵 예루살렘 근교와 요르단 강 일대에서 거주하고 있었으나 후에 메소포타미아 지역으로 이주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만다야교도들이 사용하는 만다야어는 바빌로니아 탈무드에 사용된 아람어와 마찬가지로 메소포타미아 동남부 아람어 방언에 아카드어의 영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들이 팔레스타인 일대에서 이주해 온 것이 아니라 바빌로니아 일대의 유대인에서 바로 갈라져 나왔을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슬람 초창기 무슬림들이 사산 왕조 페르시아를 정복하는 과정에서 이라크 일대를 장악하자 만다야교 장로들은 무슬림들에게 자신들이 꾸란에 언급된 성서의 백성 중 하나인 사비교인[3][4]이라고 주장하면서 어느 정도 권리를 인정받았다. 이들이 근거로 내세운 것은 만다야교의 성서 긴자 랍바(Ginza Rabba)에 나온 요한과 관련한 내용이었는데 요한은 이슬람에서도 존경받은 예언자였다.[5] 이슬람 제국에서는 조로아스터교도들보다는 그리스도인, 유대인 같은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 신도들을 우대하는 편이었다.

서구인들에게 만다야교의 존재가 본격적으로 알려진 것은 16세기 중반 포르투갈인 선교사들을 통해서였다. 포르투갈인 선교사들은 처음에 이들을 세례자 요한을 첫째로 공경하는 그리스도인으로 생각했으나 한 세기가 지나고 나서야 이들이 그리스도교와 별개의 종교를 믿는다는 것을 파악했다고 한다. 그러나 서구인들이 이들에게 관심을 가질 무렵 18세기 말 이란의 카자르 왕조에서 만다야교도들을 대거 학살하고 박해하면서 인구 절반이 사망하면서 이들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고 묻혀 버렸다. 당시 카자르 왕조의 학살과 파괴로 만다야교 유물과 전승 상당수가 실전되었다고 한다.

근현대 이라크에서 바트당아랍민족주의가 부흥하면서 상당수의 만다야인들도 일정 수준의 권리와 의무를 주장하기 시작했으며 보수적인 만다야교 사회에도 바트당의 영향으로 세속주의가 퍼졌다고 한다. 만다야교의 교리는 군인이 되는 것과 머리를 이발하는 것을 엄금하지만 당시 세속화되고 아랍민족주의에 경도된 만다야교도들은 상당수가 군대에 자진해서 입대한 후 권리 향상을 위해 노력하였다.

2003년 이라크 전쟁 이후 이라크 내전이 일어나 상황이 어지러워지자 이슬람 극단주의의 발호로 이라크의 소수 종파들이 위협받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급속하게 대부분의 교도들이 탈출해서 본거지인 이라크에는 극소수(약 3~7천 명)만이 남았다. 그나마 주요 근거지가 이라크 중남부 지역이라 이라크 레반트 이슬람 국가의 독수(毒手)로부터는 어디까지나 상대적으로 안전했다. 이웃나라시리아, 이란으로 주로 망명했으며 시리아 내전 전후 많은 수가 이 나라를 거쳐 유럽이나 호주, 북미로도 도피하였다. 오늘날 이라크에 남아 있는 만다야교 인구보다는 유럽, 호주, 네덜란드에 거주하는 난민 인구가 더 많다.[6]

이란에서는 그리스도교의 종파로 인정받기 때문에 망명이 허용된다고 하지만 이란에서도 이슬람 근본주의자들의 횡포가 없는 게 아니라서 만다야교에서 할례가 금지되어 있다는 것을 노리고 만다야교 남성 신도를 납치해서 강제로 포경수술(!)을 시키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이렇게 강제로 포경수술을 당한 만다야교도들은 율법을 어겼다는 이유로 더 이상 만다야교 사회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 경우가 많아 울며 겨자먹기로 시아파 이슬람으로 개종하게 된다고 한다.

그래도 이라크 국회에서는 만다야교 신자 몫으로 1석을 무조건 보장받는데 마찬가지로 아시리아인 그리스도교 신자는 5석, 야지디교와 샤바크교도는 각각 1석씩을 보장받는다.


[1] 레스터 L. 그래비, '제2성전기 유대교', 컨콜디아사, 2017, 211p[2] 레스터 L 그래비, 위의 책 211~212p[3] 원래는 특정 종교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다신교 신자들 입장에서 본 종교가 없는 사람들 즉 유일신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출처는 이븐 카시르의 꾸란 주해서[4] 이 사비교라는 종교는 엄연히 쿠란에 보호해야 할 '책의 백성'으로서 그리스도인, 유대인과 함께 거론되지만 이게 무슨 종교인지 설명이 없어 이슬람 지배 아래 있던 종교들이 '사실 쿠란에 우리도 책의 백성이라고 나와 있어요'라고 주장할 때 요긴히 써먹었다. 하란의 종교인들도 스스로를 사비교도라고 일컫었는데 얘네는 아예 고대 메소포타미아 종교와 신플라톤주의의 혼합 종교였다(...).[5] 만다야교도들만 이런 건 아니고 동로마 제국의 이교 철학자 박해를 피해 사산조 페르시아로 이주한 이교 철학자들도 상당수가 자신들이 사비교인이라고 주장하면서 탄압을 피하고 권리를 보장받은 것으로 추정된다.[6] 오늘날 만다야교 신도들이 제일 많이 거주하는 국가는 스웨덴이라고 한다. 만다야교 신도 8,500여 명 이상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