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1-20 14:54:42

만석보

동학농민혁명
東學農民革命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94153e><colcolor=#ffd700> 배경 <colbgcolor=#fff,#191919>삼정의 문란 · 동학 · 만석보 · 아편전쟁 · 청불전쟁
전개 장성 황룡촌 전투 · 전주 화약 · 갑오개혁 · 청일전쟁 · 우금치 전투
관련 인물 <colbgcolor=#94153e> 농민군 전봉준 · 김개남 · 손화중 · 최시형 · 손병희 · 김창수
조선 고종 · 조병갑 · 이용태 · 홍계훈
기타 인물 이홍장 · 야마가타 아리토모 · 오시마 요시마사
기타 사발통문 · 파랑새 · 갑오군정실기 }}}}}}}}}
파일:만석보 유지비.jpg
만석보 유지비

1. 개요2. 상세3. 외부 링크4. 전라북도 기념물 제33호5. 기타/여담
5.1. 학술대회(2023년)
5.1.1. 1주제(19세기 고부지역 수리시설 현황과 만석보 수세 징수)5.1.2. 2주제(전라북도 기념물 만석보터의 위치 재지정 검토)5.1.3. 3주제(만석보의 변천 과정과 기념 사업의 현황)5.1.4. 4주제(동학농민혁명 상징 공간으로서 만석보 활용 방안)5.1.5. 종합토론

[clearfix]

1. 개요

전라북도 정읍시 이평면에 있었던 . 동학 농민 혁명의 도화선이 된 시설로 역사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만석보가 있던 터는 '만석보지(萬石洑址)'라는 명칭으로 전라북도 기념물 제33호로 지정됐다.

2. 상세

당시 전라도의 큰 고을이던 고부군[1]의 군수 조병갑은 익히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탐관오리로 악명을 떨쳤는데, 1892년 조병갑은 인근 동진강을 막는 보 건설 계획을 세우게 된다. 조병갑은 만석보를 건축하기 위하여 많은 세금을 거두었고, 동시에 보 건축 과정에서 많은 농민들을 징발하였다. 백성들 입장에서는 내 농사의 피해도 감수하면서 보 건설에 노동력을 징발당해야 하는데, 여기에다 세금까지 물게 되는 이중고를 겪게된 셈.

당초 조병갑은 만석보가 완공되는 '첫 해에는' 만석보가 설치된 곳의 물을 받는 논에는 수세(수도요금)를 받지 않겠다고 약속했으나, 약속을 헌신짝처럼 저버렸고 이에 분개한 농민들이 1894년 1월, 고부 관아에 몰려가 점령한 뒤, 보를 헐어버리게 된다. 그리고 이는 그해 동아시아의 정세를 흔들게 된 농민전쟁의 첫 걸음이 된다.

공사 2년만에 헐렸으므로 당연히 지금은 존재하지 않는다. 만석보 터에서 신평리 쪽으로 약 3km 정도 가면 동학 농민 혁명을 기리기 위한 만석보 유지비가 있다. 만석보 유지비는 1973년 세워졌다.

3. 외부 링크

4. 전라북도 기념물 제33호

보(洑)라는 것은 논에 물을 대기 위하여 둑을 쌓고 냇물을 가두어 두는 곳을 말한다.

원래 정읍천과 태인천 상류에 농민들이 설치한 보가 있었으나, 고종 30년(1893) 고부군수 조병갑이 농민들을 강제로 동원하여 두 하천이 합류하는 하류지점에 새로 만석보를 축조하였다. 만석보가 완공된 후 가을에 새 보에 대한 수세라는 명목으로 많은 양의 쌀을 착취하자 농민들이 분개하여 1894년 전봉준을 중심으로 민란을 일으켜 동학농민운동의 발단이 되었다.

만석보는 농민들에 의하여 파괴되어 지금은 둑을 쌓았던 흔적만이 남아있다. 1973년 동학농민운동의 근원지인 이곳을 기념하기 위해 비를 세웠다.

5. 기타/여담

5.1. 학술대회(2023년)

5.1.1. 1주제(19세기 고부지역 수리시설 현황과 만석보 수세 징수)

발표 : 왕현종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역사문화학 교수

5.1.2. 2주제(전라북도 기념물 만석보터의 위치 재지정 검토)

발표 : 홍성덕 전주대학교 역사콘텐츠학 교수

5.1.3. 3주제(만석보의 변천 과정과 기념 사업의 현황)

발표 : 조광환 동학역사문화연구소 소장

5.1.4. 4주제(동학농민혁명 상징 공간으로서 만석보 활용 방안)

발표 : 박정민 전북대학교 사학 교수

5.1.5. 종합토론



좌장 : 신영우 동학농민혁명연구소 소장, 김희태 前 전남문화재전문위원, 이진주 현대문화재연구원 원장, 서인석 前 동학사업소 소장, 정을경 충남역사문화연구원 책임연구원


[1] 고부군은 1914년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으로 정읍군(고부면, 이평면 등), 부안군(백산면)에 분할 편입돼 폐지되는 운명을 맞았으나, 당시에는 전주, 남원에 버금가는 현 전라북도 지역의 큰 고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