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16:20:38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
등장인물 설정 괴이 회차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
<nopad> 파일: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jpg
장르 헌터, 회귀, 루프, 아포칼립스, 특수설정 미스터리
작가 신노아
출판사 제이플러스미디어
연재처 카카오페이지
연재 기간 2024. 04. 29. ~ 2025. 09. 22.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4. 특징5. 등장인물6. 괴이7. 설정8. 평가9. 여담

1. 개요

한국의 회귀물 웹소설. 작가는 SSS급 죽어야 사는 헌터를 집필한 신노아다. 약칭은 무회썰 또는 회귀썰.

2. 줄거리

[무한 회귀물]
그런 장르가 있다.

어느 소설에서든 회귀는 치트키!
심지어 [무한 회귀] 능력이라면?
어떤 배드 엔딩도 걱정 없다.
어차피 주인공은 해피 엔딩에 도달할 테니.

“치트키는 개뿔.”

내가 직접 해봤더니 아니더라.
온갖 소설들에서 묘사된 회귀자의 성공 신화는 사실 가짜뉴스……!
저열한 프로파간다에 불과했다……!

“이번 회차도 글렀네.”

이것은 성공의 이야기가 아니다.
어느 실패자의 후일담.

<무한회귀자인데 썰 푼다>

1183회차의 경험자가 생생하게 들려주는 감동실화 다큐멘터리, 이제야 시작한다!

.
.
.

각본: 장의사(葬儀師)
편집: 오독서(吳讀書)
― 카카오 페이지 작품 소개

2.1. 회차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회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회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회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연재 현황

2024년 4월 29일부터 카카오페이지에서 연재를 시작하였다.

연재 주기는 4월 30일 ~ 5월 5일까지는 매일 2화씩 연재하며 5월 6일부터 월, 화, 목, 금, 토(주 5일) 연재한다.

4. 특징

괴이(怪異)라는 괴현상이 창궐해 세상이 멸망하고 각성자들이 나타난 상황에서, 종말을 막기 위해 긴 시간동안 노력해온 회귀자가 자신이 겪었던 일을 독자에게 들려주는 형식의 소설이다. 각 회차를 시간 순서와 상관없이 나열하는 옴니버스식 후일담이 주 전개이며, 대부분의 에피소드가 길어도 10화 내외다. 서사의 진행방식은 다른 판타지 웹소설들과 달리 전투보다는 단서를 수집해 괴이의 비밀을 알아내는 추리물 플롯이다.

작품 초반부엔 2~3화 분량으로 에피소드를 내보내고, 조금 분위기있다 싶으면 5~6화 분량이었으나 중반부부턴 7~8화의 에피소드도 많이 생기고, 11화 분량의 소외신 토벌 에피소드들(답파자, 공략자, 대척자)이 생기며 길이가 많이 길어졌으며, 후반부부턴 아예 길게 잡아 14화(음모자), 24화(회의론자), 21화(실종자), 13화(수신자) 등으로 에피소드 길이가 상당히 길어졌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괴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괴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괴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괴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설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설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평가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d300,#ffd300><bgcolor=#ffd300,#ffd300> 파일:카카오페이지 로고.svg ||
별점 9.8 / 10.0 | 조회 수 2950만
2025. 10. 02. 기준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table bordercolor=#58d3f7><table bgcolor=#ffffff,#2d2f34><bgcolor=#58d3f7> 파일:sosul_network_icon-removebg-preview.png ||
별점 4.06 / 5.0 | 참여자 57명 2025. 03. 21. 기준



에피소드마다의 완성도가 높아 전작보다 발전했다고 평가받는다. 온갖 장르를 버무렸음에도 비빔밥처럼 맛있는 것이 특징.

기승전결에서 카타르시스를 보기 위해 소설을 읽는 소비자들은 대부분 기-승 단계에서 지쳐서 흥미를 잃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본작은 에피소드라는 구조적 장점을 살려 빌드업 단계를 빠르게 넘김으로써 지루한 구간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런 전개 방식을 취하면서 편의적으로 보이는 일 없이 일체감을 유지하는 것도 고평가할만한 요소.

다만 '실패한 회귀자의 후일담'이라는 소재, 옴니버스 구성, 그리고 언뜻 보기에 일관성 없어 보이는 사건들을 시간 순서 없이 나열하는 방식은 호불호가 갈리기도 한다.

후반부 내용 또한 급히 진행되는 감이 있고, 외전 내용도 마찬가지로 후반이 급히 진행되었는데다 완결 시점에서 아직 안풀린 떡밥도 상당히 존재한다.

작품 외적으론 등장인물들의 외모 묘사가 은근히 자주 등장하는데에 반해 삽화가 일절 존재하지 않아 표지의 장의사를 제외하고 다른 인물의 외모는 공개되지 않았다는 점이 조금 비판받고있다.

9. 여담

표지 이미지의 인물은 총 7인으로, 장의사, 창가로 추정되는것에 기대고있는 좌측의 푸른머리의 여성[1], 위를 보고 쓰러진 우측의 구두를 신은 인물[2], 우상단에 쓰러진 성녀[3], 책상 아래에 보이는 심아련[4], 장의사 뒤 양복차림으로 주저앉은 인물[5], 우하단 다리만 보이는 인물이 있다.
[1] 당서린으로 추측된다. 마녀모자는 없지만 로브로 추측되는 옷차림을 하고 있다.[2] 양복차림의 인물을 유지원으로 놓고 가정한다면 노도하로 추정된다.[3] 물빛 머리카락, 후드티가 일치한다.[4] 초록색 머리카락이 보인다.[5] 유지원으로 추정된다. 그나마 양복차림으로 다니는 주요인물이 유지원 하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