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02:53:08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회차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
등장인물 설정 괴이 회차

1. 개요2. 에피소드 회차 목록
2.1. 에피소드 회차 길이 순위
3. 연표
3.1. 시간 연표3.2. 환생 연표3.3. 회귀 연표
4. 여담

1. 개요

카카오 페이지 웹소설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 속 에피소드 회차 및 회귀 회차를 정리하는 문서.

2. 에피소드 회차 목록

※ 에피소드 회차가 상당히 많으므로, 원하는 회차나 등장인물, 괴이를 ctrl + f로 검색해 찾는것을 권장합니다. ※
※ 외신, 소외신, 준 소외신 관련 에피소드는 붉은 에피소드 이름으로 표시하며, 이중 외신, 소외신 토벌 에피소드의 무녀는 굵음체로 표기합니다. ※
※ 휴가 회차는 초록색 에피소드 이름으로 표시합니다. ※

2.1. 에피소드 회차 길이 순위

※ 10화 이상의 에피소드만 표기한다. ※

3. 연표

3.1. 시간 연표

※ 시간대가 명확히 나오지 않은 사건은 전후 사건 사이에 삽입합니다. ※
※ 장의사 시점에서 서술합니다. ※
※ 멸망 전 사건 및 매 회차 고정적으로 벌어지는 일에 대한 내용을 작성합니다. ※

3.2. 환생 연표

※ 고요리 시점에서 서술합니다. ※

3.3. 회귀 연표

※ 회차가 명확히 명시되지 않은 사건은 적히지 않습니다. ※
※ 장의사 시점에서 서술합니다. ※
※ 멸망 전 사건이나 매 회차 벌어지는 일에 대한 내용을 제외하고, 특정 회차에서만 일어난 특별한 사건들만을 서술합니다. ※

4. 여담

초반에는 2~4화 사이정도의 길이가 많았지만 후반들어 10화 이상의 에피소드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확실히 끝을 향해 달려가고있다는 느낌이 많이 드는 편.


[1] 소설의 화자가 장의사로 진행된다.[2] 실질적인 이름은 감□자, 즉 '감시자'이다.[3] 에피소드명중 유일하게 '사람 자'를 끝에 사용하지 않는 에피소드 이름. 단자는 單子를 사용한다.[4] 이례적으로 회의론자의 24화는 여태까지의 로마자 표기가 아닌 24:00으로 표기되었다.[5] 현재까지 사용해오던 로마자 숫자 표기를 이용하여, 당서린의 정체가 밝혀진 19화는 장의사와 당서린 사이에 생긴 벽을 표현해 XIX, 장의사가 당서린을 받아들인 20화는 당서린이 벽을 넘어갔다 하여 XX, 이후 당서린이 장의사쪽으로 완전히 넘어왔다는 뜻에서 XXI로 표현해놓았다. 일종의 '숫자유희'인 셈.[6] 장의사가 기억하지 못하는, 고요리의 환생회차들을 말한다.[7] 연재 내용을 생각한다면 사실상 무한 회귀자인데 썰 푼다 전체라고 할수도 있다.[8] 검후의 본명이다.[9] 소설의 화자는 오독서이나, 이후 IF 스토리들에선 다시 장의사의 시점으로 화자가 바뀌었다.[10] 본래 완전기억능력으로 기억하지 못했던 1~4회차를 '도화지'로써 사용하고있었고, 마지막 남은 2장을 뜻한다.[11] '배드 엔딩'이란, 장의사가 현재 3558회차의 루트를 타지 않고, 특정 시점들에서 다른 선택을 한 장의사를 뜻한다. 또한 이런일이 발생하더라도 장의사가 우담바라에 감염된 후 고요리가 장의사의 완전기억능력을 재개화 시키면 되므로, 정말 벌어졌었을수도 있는 일이 되는 셈이다.[12] 다만 이 부분때문에 IF스토리 시작 당시 언급된, '거짓된 이야기'중 하나가 노도하 IF일 가능성이 크게 상승했다. 장의사에겐 실질적으로 회귀능력이 있는것이 아닌, 쇼노인의 회귀 회차들을 모두 기억하는것이니 쇼노인이 시간봉인당하는 순간 회귀 자체가 불가능해지기에 모순이 발생한다.[13] 사실 이건 부산역 대합실 인원들, 즉 서규와 심아련을 방관해 로그아웃 게임 당시 심아련이 동료가 아니었고, 마지막에 접속해 장의사와 함께있어줬던 심아련이 없어서 선택지가 사라진것에 가깝다.[14] 무조건적으로 정예지가 장의사에게 복종하고, 천리안이 단방향에서 양방향으로 적용되는 능력이 되었으며, 조금만 장의사가 실망한듯한 티를 내면 바로 정예지가 사과하는, 한마디로 피폐물 여주화가 되었다.피폐? 오독서 또 너야?[15] 멸망 전, 유지원과 함께 지내던 회차다.[16] 대장마 시절 토벌 에피소드 '잠수자' 10화까지 포함하면 총합 34화이다.[17] 실제론 1차 토벌 에피소드 '대척자'의 11화와 토벌 뒷처리 에피소드 '수신자' 또한 토벌 에피소드에 속하는지라 실질적인 길이는 총합 45화이다. 심지어 이중 대척자를 제외한 34화는 중간에 다른 에피소드 없이 쭉 이어놓았다.[18] 실제론 음모자 직전 에피소드 '실험자' 또한 흑막 토벌 에피소드이기에 흑막 토벌전만 총 22화이다. 다만 합쳐도 회의론자보단 적다.[19] 이 날짜는 본 소설의 1화가 올라온 2024년 4월 29일 16:00과 동일하다.[20] 해당 내용이 등장한 회차에선 총 7회간 오독서의 각성과 사망이 표시된 로그가 반복된다. 각각 사망 일자는 05/06 17:11, 05/07 19:20, 05/08 04:44, 05/08 04:44, 05/08 04:44, 05/08 13:10, 05:09 08:36이다. 이후엔 '오독서, 각성'로그 다음에 사망 로그 없이 '회귀자, 회귀'로그가 등장했다.[오독서] 오독서가 미래를 개변한 결과, 일어나지 않은 일이 되었다.[22] 이 시간대는 본 소설의 회귀자 에피소드 마지막화 '회귀자 IV'가 올라온 2025년 6월 17일 13:59와 동일하다.[23] 다만 괴이 현상 자체는 6월 17일 전에도 존재했다. 7년 전 레비아탄이나 며칠 전 성녀의 텔레파시, 이틀 전 헤카테의 강림같은 예시가 존재한다.[오독서] [오독서] [오독서] [27] 당시엔 국도관리대같은 큰 조직은 없었다. 또한 각성자도 없었다.[28] 『완전기억능력』의 초기 버전. 이후로 점차 강해저 완전기억능력이 되었다고 한다.[29] 매 생 다른곳에서 등장하는 레비아탄을 서울 달동네로 유인해 유지원과 접촉시킨다거나, 원래라면 강남파괴로 인해 사망했을 성녀를 구해놓기 위해 동선을 바꾼다거나.[30] 다만 장의사는 수학 등의 학업공부 위주였다면 고요리는 도덕경을 비롯한 사이비 종교 공부를 시키는 선생이었다. 물론 그 이후 고요리 또한 학업공부를 시키기도 하였다.[31] 이때 장의사는 수능 만점자였으며, 장의사와 고요리는 서로 지인이었다고 한다. 서로 칭찬과 신뢰를 마다않을정도로.[32] 실제론 노도하에 의해 질식사했는지, 몬스터 웨이브에 의해 사망했는지는 불명이지만 장의사는 노도하가 한 회차동안 바뀐것으로 인해 사망했다고 보았기에 이를 '자살' 이라고 불렀다.[33] 다만 이미 장의사의 뇌내에 기생하고있다. 어찌보면 장의사에게 해리성 정체성 장애가 생겼다고 봐도 무방하다. 최소 수억 이상의 인격이 자율적으로 소통하는.[34] 오독서가 읽는 소설의 진도가 555회차에 도달했다.[35] 오독서가 오지 않는것을 보고 타임머신 능력이라도 각성하고자 했으나, 재능이 없는지라 이것이 불가능했고 이때 내뱉은 말이 소설 1화의 "시발. 이건 안 되겠는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