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15:02:20

바자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바자회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고 물품을 사고파는 민간 시장에 대한 내용은 벼룩시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이스탄불 그랜드 바자르.png
이스탄불 그랜드 바자르.
1. 개요2. 역사3. 바자회4. 대중 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바자르(بازار, Bazaar) 또는 바자(Bāzār), 수크(سوق, souk)는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동남부 유럽, 동유럽인도남아시아 일대, 서아프리카, 말레이시아 일대에서 열리던 정기 전통시장을 말한다. 특히 튀르키예 이스탄불의 그랜드 바자르(the Grand Bazaar)[1]가 유명하다.

바자르의 특징은 개방되어 있는 골목에 길을 따라 조성되어 있지만 지붕이 덮이고 점포가 늘어서 있어 반쯤 실내 마켓의 형태를 띄고 있다는 것이다. 옛날에는 대도시나 수도권이 아닌 지역의 바자르는 말 그대로 길바닥에 돗자리 하나 깔아 그 위에 팔고자 하는 물건(주로 향신료, 도자기, 비단 등)을 어지러이 늘어놓고 있는 이미지였지만, 요즘에는 중동 국가에서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바자르를 꽤 세심하게 관리하여, 형형색색의 전구와 장식품으로 치장하는 등 이색적이고 고급스러운 느낌이 난다. 한국으로 치면 '쇼핑 특구'라 할 수 있다. 물론, 시골에서는 아직도 옛날식으로 열리는 바자도 많다.

2. 역사

파일:A_bazaar._Oil_painting._Wellcome_V0017599.jpg
19세기 유럽의 오리엔탈리즘에 힘입어 많은 서양화가들이 중동 각지의 바자르를 그리기도 하였다. 특히 당대 중동에서는 문화재를 헐값에 유럽으로 반출하는 일이 잦았으며, 고고학의 절정기에 달해 있었기 때문에 유럽인에게 바자르는 고풍스럽고 이색적인 취미의 보고나 다름없었다. 천일야화알라딘의 요술램프 설화도 한 몫한 듯.

3. 바자회

이 '바자르', '바자'는 흔히 한국에서 '바자회' 할 때 그 바자의 어원으로, 적지 않은 사람들이 페르시아어에서 유래한 말이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하고 단지 순우리말이나 한자어일 것이라 오해하고 있다. 특히 뒤에 한자임이 명확한 '~회()'를 붙여서 쓰기 때문에 더욱 그러한 느낌이 난다. 따라서 '바자회'를 직역하면 '시장회', '장터회' 즈음 될 것이나, 실제로는 중동의 '바자르'와 한국의 '바자회'는 의미가 전혀 다르다. 즉, 단순한 외래어가 아닌 귀화어라고 봐도 좋다.
바자-회(bazar會) 「명사」
공공 또는 사회사업의 자금을 모으기 위하여 벌이는 시장. =바자.
【불우 이웃 돕기 바자회.】
【폐품이 수집되고 기부금이 모금되고, 곳곳에서 부인들 주동의 각종 바자회가 요란하게 개최되었다.≪홍성원, 육이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한국에서 바자회는 주로 '특정 목적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단체 내부에서 작은 규모로 만드는 일시적인 장터'를 말한다. 특히 공공단체, 자선단체나 환경단체, 동물단체, 종교단체 등 비영리조직에서 주로 실시하며, 내용도 '이웃 돕기 바자회', '유기 동물 기금 바자회'와 같은 사회적인 것이 대다수이다. 이 밖에 아나바다 운동[2]이 한창 유행하던 시기에 관련 바자회가 자주 열리기도 했다.

4. 대중 매체에서

시드 마이어의 문명에서 아라비아와 오스만의 고유 건물로 등장한다.

[1] 튀르키예어로는 Büyük Çarşı. 의미는 큰 시장이라는 뜻으로 그랜드 바자르는 이를 직역한 것이다. 현지인들은 '지붕 덮인 시장'이라는 의미의 Kapalıçarşı라고도 부른다.[2]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아껴 쓰고 나눠 쓰고 바꿔 쓰고 다시 쓰자'는 슬로건으로 시작한 중고 물품 재활용 운동.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1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