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00:56:45

브롤 아레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17dda>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 브롤스타즈
게임 모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표시된 이벤트는 5대5가 지원되는 모드다.
굵게 표시된 이벤트는 경쟁전에서 등장하는 이벤트들이다.
파일:icon_ranked_front.png
경쟁전
개별 슬롯
파일:SHOWDOWN.png
쇼다운
파일:BRAWLBALL.png
브롤 볼*
파일:GEMGRAB.png
젬 그랩*
파일:Knockout.png
녹아웃*
팀 이벤트 1
파일:HEIST.png
하이스트
파일:Hot_Zone.png
핫 존
팀 이벤트 2
파일:Wipeout.png
클린 아웃*
파일:BOUNTY.png
바운티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
커뮤니티 이벤트
커뮤니티 이벤트
후보 이벤트는 기울임, 당선 이벤트는 굵게 표시하며, 현재 이벤트는 ^ 표시함.
파일:Duels_icon.png
듀얼^
파일:VOLLEYBRAWL.png
발리 브롤
파일:BASKETBRAWL.webp
바스켓 브롤
파일:Siege.png
시즈 팩토리
파일:Hunters.webp
헌터즈
기타 이벤트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
5대5 이벤트
파일:브롤스타즈 로고.webp
기간 한정 이벤트
특별 이벤트
파일:BIGGAME.png
빅 게임
파일:ROBORUMBLE.png
로보 럼블
파일:보스전.png
보스전
파일:powerup_debuff_boss_robot.png 파일:powerup_icon_atk_spd.png 파일:powerup_debuff_meteor.png 파일:powerup_icon_healing_mushroom.png
특수 모드
파일:brawlstars_gamemode_deleted.png
삭제된 이벤트
}}}}}}}}}


1. 개요2. 기본 규칙3. 전략4. 브롤러 픽
4.1. 추천 브롤러4.2. 괜찮은 브롤러4.3. 비추천 브롤러4.4. 편차가 심한 브롤러
5. 맵6. 업데이트 내역7. 기타

1. 개요

파일:icon_BrawlArena.png
Destroy the enemy base to win in this intense 3vs3 battle! As the match progresses, you'll grow stronger as you earn Arena XP. Be on the lookout for the Kaiju, a massive beast that can change the outcome of the game if defeated, and robots that can be defeated for Arena XP. The first team to destroy the opposing base wins, so strategize carefully and work together to claim victory!
치열한 3v3 전투에서 적의 기지를 파괴하고 승리를 쟁취하세요! 매치가 진행될수록 아레나 XP를 획득해 브롤러가 점점 강해집니다. 처치하면 전세를 뒤집을 수 있는 거대한 괴수를 조심하고, 처치 시 아레나 XP를 제공하는 로봇들도 전략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상대방의 기지를 먼저 파괴하는 팀이 승리합니다. 전략을 신중하게 세우고 팀원과 협력해 승리를 향해 나아가세요!
BRAWL ARENA
Destroy the enemy base to win!
브롤 아레나
적 기지를 파괴하여 승리하세요!

브롤스타즈게임 모드 중 하나. 2025년 6월 와사비 파워업 종료 이후 출시된 모드로, 최초의 AOS 모드다.

2. 기본 규칙

리그 오브 레전드와 유사하게 3개의 라인이 존재한다. 다만 미드 라인은 없으며 그 자리에는 보스 로봇을 미니버전으로 축소화시킨듯한 중립 로보들이 소환되는 거점(정글)이 존재한다. 또한, 라인에는 포탑이 있으며 주기적으로 라인을 따라 움직이는 로보들이 나온다.

그리고 이 모드에서는 적을 처치하거나 로보를 부수면 토큰 비슷한 걸 얻어서[1] 레벨업 할 수 있는데 이걸로 초반에 최대한 빨리 적을 처치하는 것에 집중해야 하며 최대 15레벨까지 올릴 수 있다. 레벨이 높아질수록 체력, 공격력, 이동속도, 특수 공격 충전량, 재장전 속도가 증가한다.

양쪽 라인은 맨 옆쪽의 지형물을 빼면 거의 개활지로, 보통 양쪽의 로봇들을 사이에 두고 두 플레이어가 대치하게 된다. 이렇게만 보면 마냥 원거리 브롤러가 유리할 것 같지만, 미니 로봇들을 방패삼아 공격을 막을 수도 있는 데다가 중앙 부쉬와 거리가 그리 멀지 않아 중간에서 근접 브롤러가 갑자기 기습하는 경우가 많다.

중간에는 다수의 부쉬로 이루어진 정글이 존재하는데, 게임이 시작할 때 정글에 있는 세 거점에서 쿨타임을 알리는 시계방향 게이지가 다 차면 중립 로보들이 생성된다. 이 중립 로보들은 거점 내의 모든 로보가 죽으면 일정 시간 뒤에[2] 체력이 2000 증가한 상태로 다시 리스폰된다. 거점 한가운데에서는 영구적으로 체력을 회복하고 어그로를 끌어도 유저가 거점 밖으로 나가면 다시 중앙으로 돌아와서 체력을 회복하므로 제대로 잡기 위해서는 결국엔 로보를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맨 가운데 거점에선 네 마리가, 위 아래 거점에선 한 마리가 소환된다.

게임이 시작되고 3분이 지나면[3] 맵 중앙에 체력 5만짜리 괴수가 나타나는데[4] 이 괴수를 처치하면 팀 전원이 버프를 얻는다. 단 죽으면 버프가 바로 사라지니 버프 받았다고 너무 막 돌진하지는 말자.

3. 전략

브롤스타즈 최초의 AOS 모드인 만큼, 다른 게임 모드와는 다른 형식의 접근이 필요하다.

로보들이 계속 꾸준히 나오긴 하지만 주된 경험치 수급처는 상대를 잡아서 얻는 게 좋다. 예컨대 킬이 가장 중요하다는 뜻. 킬을 내면 낼 수록 점점 강해져서 더욱 킬을 내기 수월해진다는 소리다[5].

게임에서 중요한 1차 포탑은 땅속에 숨어 있으면 공격받지 않지만 두 포탑 중 하나만 공격받아도 양쪽 체력이 동시에 달며 포탑이 부서지면 양쪽이 다 한번에 부서진다.[6] 이 1차 포탑이 부서질 경우 중앙 라인에 가기 상당히 꺼려지고 부쉬플레이도 불리해지므로 최대한 1차 포탑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기에 역으로 상대 1차 포탑을 최대한 빨리 부수는 게 중요하다. 물론 급하게 포탑을 먼저 부수러 나설 필요는 없다.[7] 초중반부 넘어가선 몇몇 브롤러 궁극기 한방에 몇십퍼씩 깎아서 부술 수 있기 때문.

주의해야 할 점은 리그 오브 레전드처럼 기지 포탑이 1차 포탑보다 약하다는 점.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의 핵처럼 기지 자체에서 레이더파를 발사하는데 대형 석궁보다 더 많은 탄환을 더 빠르게 발사하지만 공격력이 낮아 봐줄 것 없이 약하다. 레벨 업해서 강해진 브롤러 스펙으로는 맞으면서 딜을 하면 진짜 순식간에 부술 수 있다. 패치로 자체 피해량이 15% 증가하고 브롤러에게 입히는 피해량이 2배로 늘어났어서 미니언 없이는 다소 버거워진 편이다.

1차 포탑도 부숴지고 레벨이 상대를 압도한다면 라인을 위로 올려서 중앙에 있는 로봇들을 차지하면 된다. 중앙 로봇들은 빨리 잡을 수도 있고 본인이 잡지 못해도 팀원이 처치해주면 경험치도 많이 주기 때문, 그리고 괴수를 상대가 잡지 못하게 방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후반에 괴수를 잡아 버프를 얻었다면 상대 기지로 달려가 기지에 도박을 시도해보도록 한다. 하이스트처럼 기지 체력은 절대로 다시 차오르지 않고 딜을 넣기 좋은 브롤러 궁극기 한방에 50프로 넘게 깎이기도 해서 공격하는 팀이 상당히 유리하다.

리스폰 시간이 짧아 한타 후 라인을 미는 정석적인 플레이 보단 유리한 팀은 기지 근처에서 압박하고 불리한 팀은 기지 근처에서 방어하는 식의 플레이가 자주 나오는데, 광역기가 많은 게임 특성 상 완막하는 게 불가능해서 막기만 하다가 게임이 터질 정도.

이전의 시즈 팩토리보다도 초반에 말리면 역전이 매우 힘든 모드라서 랜덤큐보다는 호흡이 잘맞는 팀큐로 돌리는 것이 훨씬 낫다. 정 랜덤큐로 돌릴 거면 1티어 브롤러를 들고 돌리는 것이 좋다.

4. 브롤러 픽

다수의 로봇이 계속해서 소환되고 로봇을 죽여 경험치를 얻을 수 있는 만큼 광역 공격을 하거나, 지속 DPS가 강한 브롤러가 선호된다. 암살 위주 플레이를 한다고 해도 상대팀이 터렛과 로봇을 고기방패 삼아 대처하면 관통공격 없이는 할 수 있는 게 없기 때문.

4.1. 추천 브롤러

4.2. 괜찮은 브롤러

4.3. 비추천 브롤러


* 윌로우
위의 트롤픽 삼대장은 귀엽다고 느껴질 정도의 개병신 그 자체. 픽창에서 이 트롤러가 보이면 바로 닷지하는게 이득이다. 일반공격은 맞으면 병신소리를 해도 될 정도로 개느리고 궁극기는 아레나 눈에 보이는 모든 오브젝트들에 막힌다. 그렇다고 성장보정이 좋냐? 평타 존나 우겨넣어도 다른 회복스킬 딸깍에 모두 상쇄되는 기적을 볼 수 있다. 윌로우 한 번 맛보고 오면 나머지 모든 브롤러들로 할만한데? 라는 생각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개병신브롤러그자체

4.4. 편차가 심한 브롤러

5.

6. 업데이트 내역

7. 기타



[1] 게이지가 차오르는 것으로 알 수 있다.[2] 거점 가장자리의 타임 게이지를 보면 대략 언제 재생성되는지 파악이 가능하다.[3] 남은 시간으로는 5분.[4] 이 괴수는 슈퍼 시티 램피지에 나오는 그 메가 몬스터다.[5] 클랜시같은 경우는 초반에 토큰을 모으는 게 더 중요해서 괜히 싸우다가 죽는 것보단 얌전히 토큰을 수급하는 게 좋다.[6] 이는 양쪽 포탑 두 개가 같은 체력을 공유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 쪽만 부셔도 "(적)팀이 타워를 둘 다 파괴했습니다" 안내를 띄운다.[7] 근접 브롤러는 가까이서 때리면 포탑의 타켓팅도 바뀌어서 더욱 불리하다.[8] 해당 전략은 중립 로보의 힐링 매커니즘 덕분에 활용 가능하며 누군가 곰이나 로보를 건드리지 않는 이상 무한으로 힐을 공급받을 수 있다.[9] 단 6월 24일 패치로 인해 딜계수가 낮아졌다.[10] 해당 사항은 무슴 이유에서인지 6월 24일 패치로 다시 롤백되었다.[11] 미니언을 껴도, 적에게 피해를 받는다면 공격 범위를 벗어날 때까지 포탑과 본진의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12] 적이 있으면 적 팀, 없으면 아군이 파괴한 것이다.[13] 아군이 괴수를 처치했다면 느낌표 대신 마침표가 붙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