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01:39:49

비FA 다년계약

비FA에서 넘어옴
1. 개요2. 제도 도입 과정3. 역대 계약
3.1. 투수3.2. 야수3.3. 100억 클럽
4. 특징
4.1. 장점4.2. 단점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BO 리그에서 FA 자격[1]을 얻기 전에 원 소속 구단과 추가로 체결하는 다년 계약을 의미한다.

사실상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연장계약과 동일하다. 기존에는 FA 취득 전까지 구단에 선수의 보류권이 있지만 매번 1년씩의 계약만 가능했는데, 이제는 1년이 아닌 그보다 더 긴 기간을 계약하는 것이 허용되었고 한국에서는 그동안 FA 자격을 취득해야만 2년 이상의 계약이 가능했기 때문에 새로운 제도라 이런 특수한 명칭이 붙은 것뿐이다. 미래에 제도에 대해 익숙해지면 그냥 연장 계약이라 불릴 수도 있다.

2. 제도 도입 과정

안치홍이 남긴 위대한 유산…KBO리그 '다년 계약' 시대 열렸다

2020 FA 시장에서 안치홍이 2+2년 최대 56억으로 롯데 자이언츠로 이적을 했다. 그런데 당시 계약 내용에는 2년 계약 후 선수와 구단의 상호 합의시 남은 +2년을 파기하고 FA 자격을 얻을 수 있다는, 기존 한국 프로야구에는 없었던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안치홍의 에이전트 이예랑이 메이저리그 에이전트도 겸하고 있던 인물이라, 메이저에 있는 계약 형태를 따온 것이다. 그러나 KBO 규정상 FA 선수의 FA 재자격 취득은 4시즌을 뛰어야 부여받을 수 있었고, 만약 안치홍의 해당 내용이 실행된다면 롯데와 계약을 해지하더라도 'KBO가 인정하지 않는 자유계약선수'가 되어 1년 계약을 두 번 맺어 4시즌을 채운 후에야 2차 FA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는 희한한 상황이었다.

이에 대해 안치홍의 에이전트 이예랑을 포함한 여러 곳에서 목소리를 내었고, KBO가 법적 검토를 거친 후 "계약 기간이 끝나면 연장계약이 가능하다"는 유권해석을 내리면서 본격적으로 비FA 다년계약이 허용이 됐다.

이는 사실 비정상의 정상화라고 볼 수 있는데 단년 혹은 다년에 관한 조항이 없다고 하여 그걸 단년만 가능하다고 보는 유권해석 자체가 엉터리이기 때문이다. 계약기간에 대한 내용이 없다면 계약기간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는 보는 게 정상이다. 그걸 굳이 단년만 가능하다고 해석하는 것은 조항에도 없는 규제를 하겠다는 것이나 마찬가지며, 애초에 다년계약 금지에 관한 규약이 2003년에 공정위에게 시정명령을 받아서 사라진 것이라 조항에 없다고 단년만 가능하다는 유권해석을 내린 것은 18년간 공정위와 선수들을 기망한 것이나 다름없다.

유권해석으로 출발한 비공식적인 제도 때문에 초창기에는 다년계약 기간도 FA 자격 일수 기준에 충족되어서 FA 등록에 혼선이 생길 가능성이 있었고, 실제로 비FA 다년계약을 체결한 오지환과 LG는 보호 명단을 늘리기 위해 2023 시즌 종료 후 계약을 파기하고 FA로 다시 계약을 체결하는 전략을 썼다. 일단은 규정이 없었으니 오지환의 FA는 인정됐지만,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결국 2024년 1월 11일 KBO 이사회 결정에 따라 비FA 다년계약 규정이 신설되었다. 구단은 비FA 다년계약 발표 다음 날까지 KBO에 계약서를 제출하고 KBO는 계약서를 받은 다음 날 계약 사실을 공시하며, 계약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 계약 질서를 어지럽히는 행위로 간주해 상벌위원회에서 제재 심의를 한다. 비FA 다년계약 선수는 계약 기간 중 FA 자격을 취득할 수 없다.

3. 역대 계약

3.1. 투수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역대 KBO 리그 비FA 다년계약 투수 목록
<rowcolor=#fff> 이름 소속 구단 계약 일자 계약 규모 역대 비고
1 문승원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2021년 12월 14일 5년 55억
2022~26년, 연봉 총액 47억, 옵션 8억
공동
1호
역대 최초
비FA 다년계약
박종훈 5년 65억
2022~26년, 연봉 총액 56억, 옵션 9억
2 김광현 2022년 3월 8일 4년 151억
2022~25년, 연봉 총액 131억, 옵션 20억
5호 [2][3]
3 박세웅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2022년 10월 26일 5년 90억
2023~27년, 연봉 총액 70억, 옵션 20억
6호 군 복무시 2029년까지[4]
4 구창모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2022년 12월 17일 6년 125억
2023~2831년[5], 연봉 총액 90억, 옵션 35억
(조건부 7년 132억)[6]
7호 역대 최연소
5 고영표 파일:kt wiz 엠블럼.svg 2024년 1월 25일 5년 107억
2024~28년, 연봉 총액 95억, 옵션 12억
13호
6 김상수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2024년 2월 2일 2년 6억
2024~25년, 연봉 총액 4억, 옵션 2억
14호
7 류현진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2024년 2월 22일 8년 170억
2024~31년, 연봉, 옵션 세부 내용 비공개[7]
15호 역대 최대 규모 역대 최장기간 계약

3.2. 야수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역대 KBO 리그 비FA 다년계약 타자 목록
<rowcolor=#fff> 이름 소속 구단 계약 일자 계약 규모 역대 비고
1 한유섬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2021년 12월 25일 5년 60억
2022~26년, 연봉 총액 56억, 옵션 4억
3호 야수 최초
2 구자욱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2022년 2월 3일 5년 120억
2022~26년, 연봉 총액 90억, 옵션 30억
4호 최초 100억 돌파
3 -오지환-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2023년 1월 19일 6년 124억
2024~29년, 연봉 총액 100억, 옵션 24억
8호 FA 계약기간 중 최초
내야수 최초
2023 시즌 종료 후 계약 취소[8]
3 이원석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2023년 6월 28일 2+1년 10억
2024~26년, 연봉 총액 7억, 옵션 3억
9호
4 김태군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2023년 10월 16일 3년 25억
2024~26년, 연봉 총액 20억, 옵션 5억
10호 포수 최초
5 최형우 2024년 1월 5일 1+1년 22억
2024~25년, 연봉 총액 20억, 옵션 2억
11호 역대 최고령
6 김성현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2024년 1월 20일 3년 6억
2024~26년, 연봉 총액 6억
12호
7 최주환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2024년 11월 5일 2+1+1년 12억
2025~28년, 연봉 총액 12억
16호

3.3. 100억 클럽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 역대 KBO 리그 비FA 다년계약 100억 선수 목록
<rowcolor=#fff> 이름 소속 구단 계약 일자 계약 규모
1 구자욱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2022년 2월 3일 5년 120억
2022~26년, 연봉 총액 90억, 옵션 30억
2 김광현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2021~2023).svg 2022년 3월 8일 4년 151억
2022~25년, 연봉 총액 131억, 옵션 20억
3 구창모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2022년 12월 17일 6년 125억
2023~31년, 연봉 총액 90억, 옵션 35억
4 고영표 파일:kt wiz 엠블럼.svg 2024년 1월 25일 5년 107억
2024~28년, 연봉 총액 95억, 옵션 12억
5 류현진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2024년 2월 22일 8년 170억
2024~31년, 상세 계약내용 확인불가.

4. 특징

4.1. 장점

4.2. 단점

5. 관련 문서



[1] 고졸 8시즌/대졸 7시즌 소화. 기존 FA의 경우 FA 자격 재취득에 4시즌 소화.[2] 계약 당시 금액만 보았을 때 151억 계약은 시애틀 매리너스에서 롯데 자이언츠로 4년 150억에 리턴한 이대호NC 다이노스에서 KIA 타이거즈로 이적한 나성범의 6년 150억을 넘는 역대 KBO 리그 최고 금액이었다. 현재는 토론토 블루제이스에서 한화 이글스로 리턴한 류현진의 8년 170억이 1위이다.[3] MLB에서 FA로 풀린 상태에서 계약했으니 FA 계약이 아니냐는 이야기가 있었으나 포스팅 시스템으로 진출할 경우 MLB와 KBO의 FA는 별개로 돌아가므로 이는 잘못된 해석이다. 김광현은 SK 시절 1차 FA 계약을 맺은 후 포스팅을 거쳐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로 이적했는데, KBO 규약상 포스팅으로 해외 리그에 진출하면 FA 자격 요건이 초기화돼 국내 복귀시 4시즌을 다시 채워야 FA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따라서 김광현이 SSG에 복귀하면서 맺은 계약은 비FA 다년계약이다. 당시 단장이었던 류선규도 비FA 자격이라고 직접 언급하기도 했다. 만약 김광현의 이 계약이 FA 계약이 되려면 처음부터 MLB에 진출할때 김현수처럼 KBO리그에서 FA 자격을 얻은 후 진출했어야 한다.[4] 본래 계약 내용에 포함된 사항이었으나, 2022 아시안게임 금메달로 예술체육요원 자격을 획득하여 의미 없는 조항이 되었다.[5] 군 복무로 인한 계약 기간 연기[6] 2024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획득하지 못하면 +1년 계약으로 7년 132억 계약으로 변경됨. 변경시 연봉 총액 88억, 옵션 44억.[7] 옵트아웃 포함[8] 2023 시즌 종료 후 계약을 상호 동의 하에 파기한 이후 동일 조건으로 FA 계약서를 작성했다. 다년 계약 합의 후에 2차 드래프트 부활이 결정됨에 따라 슬롯을 하나라도 더 비울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한다. 계약 기간이 2024 시즌부터라 아직 KBO 측에 계약서를 제출하지 않아서 가능했다고 구단이 밝혔다.[9] 현재까지 가장 큰 손해를 본 팀은 SSG로 꼽히며, NC 역시 실력은 좋으나 항상 부상 때문에 많이 못나오는 구창모와 거액 계약을 맺었으나 첫 시즌부터 부상과 부진으로 돈값을 전혀 하지 못 하였고, 구창모가 상무로 입대하여 사실상 망한 계약 취급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