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1 04:35:50

사도세자는 편하게 살고 싶다


사도세자는 편하게 살고 싶다
파일:사도편살.jpg
장르 대체역사, 빙의
작가 까다롭스키
출판사 제이트리미디어
연재처 문피아
연재 기간 2024. 02. 04. ~ 연재 중
1. 개요2. 줄거리
2.1. 회차 일람
3. 연재 현황4. 등장인물5. 개변된 역사6. 평가7. 기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대체역사물 웹소설. 작가는 까다롭스키다.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에서 사용하는 약칭은 '사도편살' 또는 '편살'이다.

2. 줄거리

사도세자가 꿈에 나비가 되었는데, 나빌레라 펄럭펄럭 날아다니니 참으로 기꺼워 스스로 사도세자임을 알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불현듯 깨어나니, 제가 사도세자의 꿈을 꾸는 나비인지 나비의 꿈을 꾼 사도세자인지 알지 못하였다.

대충 죽지만 않고 편하게 살려 하였건만, 어찌하여 나비의 날갯짓이 감당 못할 용오름이 되어 천하를 휩쓴다는 말인가.

2.1. 회차 일람

회차 [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width=5%> 화수 ||<width=7%> 회차수 ||<width=50%> 제목 ||<width=10%> 연도 ||
1 1 나비꿈(胡蝶之夢) 1757년
2
3
4 2 대붕이 만 리를 날다(鵬程萬里)[1]
5
6
7
8 3 뛰어난 언변은 어눌함과 같더라(大辯若訥)[2]
9
10
11 4 보려 하여도 보이지 않으니(視之不見)[3]
12
13
14
15 5 앎이 북녘에서 노닐다(知北遊)[4] 1758년
16
17
18 6 효자는 부모에게 아첨하지 않고(孝子不諛其親)[5]
19
20
21 7 충신은 군주에게 아첨하지 않는다(忠臣不諂其君)[6]
22
23
24 1759년
25 8 성인은 저축하지 않는다(聖人不積)[7]
26
27
28 9 소 잡는 백정(庖丁解牛)
29
30
31 10 책을 읽다가 양을 잃다(讀書亡羊)[8] 1760년
32
33
34
35 11 거룩함을 끊고 지혜를 버리면(絶聖棄智)[9]
36
37
38 12 한단 사람의 걸음걸이(邯鄲之步)
39
40
41 13 천지는 어질지 않더라(天地不仁)[10] 1761년
42
43
44 14 물고기의 낙을 어찌 알랴(知魚之樂)[11]
45
46
47 15 학의 다리가 길지언정(鶴脛雖長)[12] 1762년
48
49
50
51 16 바라는 바를 드러내지 않으면(不見可欲)[13]
52
53
54
55 17 무너진 우물 속 개구리(埳井之蛙)[14]
56
57
58 18 이름을 이름할 수 있다면(名可名) 1763년
59
60
61 19 상서롭지 못한 물건(不祥之器)
62
63
64 20 용 잡는 재주(屠龍之技)
65
66

[1] 장자 제1편 소요유에서 따온 제목이다.[2] 도덕경 제45장의 문구인 '크게 재주 부림은 서툰것과 같으며, 크게 말 잘하는 것은 어눌한 것 같다(大巧若拙, 大辯若訥)'에서 인용한 제목이다. 본래 뜻은 큰 재주 있는 자는 알아서 사리기에 드러나지 않는다라는 의미다.[3] 노자 제14장의 문구인 시지불견 명왈이(視之不見 名曰夷). 즉 보려 하여도 보이지 않는 것을 이(夷)라고 한다.에서 인용한 제목이다. 노자 14장은 도를 쫓는 구도자들에 대한 충고의 구문인데, 보려 하여도 보이지 않기에 이(夷)라고 하며,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기에 희(希)라 하며, 찾으려 해도 찾지 못하기에 미(微)라 부른다. 이 셋은 불가분의 관계이므로 이름을 붙일 수 없으며, 이 셋이 뒤섞이고 뒤섞여서 아무것도 없어진 것을 형태 없는 형태(無狀之狀)라 한다라고 기술한다.[4] 장자 제22편 지북유를 그대로 따온 제목이다.[5] 장자 제12편 천지(天地)의 孝子不諛其親 忠臣不諂其君에서 따온 제목이다. 정확히는 효자는 부모에게 아첨하지 않고, 충신은 임금에게 아첨하지 않는다. 라는 뜻이다.[6] 바로 위의 제목과 이어지는 내용으로, 역시 장자 제12편 천지의 문구가 원본.[7] 도덕경 제81장. 信言不美, 美言不信. 善者不辯, 辯者不善. 知者不博, 博者不知. 聖人不積. 旣以爲人己愈有, 旣以與人己愈多. 天之道, 利而不害, 聖人之道, 爲而不爭에서 발췌.[8] 장자 제8편 변무의 내용에서 따온 제목이다.[9] 절성기지 만리백배(絶聖棄智 民利百倍). 도덕경 19장의 내용에서 따왔다. "거룩함을 끊고 지혜를 버리면 백성의 이익은 백배가 된다."라는 의미.[10] 도덕경 5장 천지불인 이만물 위추구(天地不仁, 以萬物, 爲芻狗), 성인불인 이백성 위추구(聖仁不仁, 以百姓, 爲芻狗)에서 따왔다. "천지는 어질지 않기에 만물을 추구(짚으로 만든 개; 芻狗)처럼 여기고, 성인은 어질지 않기에 백성을 추구로 여긴다." 라는 의미로, 이 문구의 핵심은 "천지도 성인도 완벽하지 않다"는 의미다.[11] 장자 자비어언지어지락(子非魚焉知魚之樂). "자네는 물고기가 아닌데 어찌 물고기의 낙을 아는가"라는 문구에서 따왔다.[12] 장자 제8편 변무의 내용에서 따온 제목이다.[13] 도덕경 3장에서 따온 제목이다.[14] 장자 제17편에서 따온 제목이다.

3. 연재 현황

2024년 2월 4일, 문피아에서 연재를 시작하였다.

2024년 3월 26일, 유료화 되었다.

4.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사도세자는 편하게 살고 싶다/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개변된 역사

6. 평가

7. 기타


[15] 19년이나 빨리 죽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금보다 장수한 조선의 임금은 태조, 광해군, 고종 3명밖에 없다. 당시 시점으로 보면 광해군은 왕 취급이 아니고 고종은 태어나지도 않았으므로 2번째로 가장 장수한 임금인 것.[16] 조선 내에서, 특히 사대부들 사이에서는 그러한 소문이 퍼지기는 하는데 책봉을 내려주는 청나라 측에서는 당시 영종의 나이가 나이였던 만큼 그러려니 하고 넘어갔다. 환갑을 넘겼으니 살 만큼 살았고, 그런 사고가 나도 이상하지 않다고 본 것.[17] 이 때 '중대장은 너희에게 실망했다' 드립도 나온다.[18] 청에 항복한 준가르 전사로, 창술과 기마술에 능해 건륭제의 총애를 받았던 실존 인물이다. 원래 역사에서는 주세페 카스틸리오네를 시켜 아옥석지모탕구도(阿玉錫持矛蕩寇圖)라는 그림까지 남겼을 정도. 세계사 교과서 같은 곳에 청나라 팔기군이 돌격하는 모습이라는 설명으로 많이 소개되었다.[19] 이훤 생각에는 파시스트 VS 공산주의는 결론이 쉽게 날 수 없으니 존재감이 잊혀질거라고 계산했다.[20] 군밤 - 팔순 넘은 현대인 노인(김귀남) / 임꺽정 - 회귀한 당대 인물(임꺽정) / 바이킹 - 현대인에게서 지식을 배운 당대인(시그리드)[21] 작가와 동시에 웹소설 출판사의 대표직을 맡고 있는데, 작가의 장르가 장르다보니 출판사 또한 대체역사물의 비중이 상당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