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의 분류 | ||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bee,#033><colcolor=#000,#fff> 조음 방법 | 비음 · 파열음 · 파찰음 · 마찰음 · 접근음 · 탄음 · 전동음 · 내파음 · 흡착음 · 방출음 · 충격음 |
조음 위치 | 양순음 · 순치음 · 설순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권설음 · 치경구개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인두음 · 후두개음 · 성문음 · 이중조음 | |
조음 방향 | 중설음 · 치측음 · 설측음 | |
성대 진동 여부 | 유성음 · 무성음 | |
기식 흐름 여부 | 유기음 · 평음 · 무기음 · 비음 |
[clearfix]
1. 개요
齒莖口蓋音 / Alveolo-palatal consonant음성학에 따른 조음 방법 분류.
잇몸센입천장소리, 치경경구개음, 치조경구개음, 전경구개음이라고도 부르며, 혀끝을 잇몸에 대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쳐서 내는 소리다.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의 언어들과 인도아리아어군, 슬라브어파 언어에서 자주 볼 수 있다.
치경음의 변이음으로 많이 나온다. 조음 위치상 치경음과 전설 고모음([i], [y]와 이에 대응하는 반모음 [j], [ɥ])은 궁합이 맞지 않아, 이것을 피하는 두 방법이 생겼는데 하나는 전설 고모음을 쓰지 않는 방법[1]이고, 또 하나는 전설 고모음에 최적화된 음가를 만드는 것이다. 치경구개음은 후자를 따른 음가다.
치경구개음 기호의 모양새는 치경음에서 꼬리를 동그랗게 만 것처럼 생겼다. 이 꼬리가 의미하는 게 치경구개음이며, 어디서 유래한 건지는 알 수 없다.
아무래도 서구권 언어에는 거의 없는 발음이다보니 공식적으로 지정된 건 마찰음([ɕ],[ʑ]) 뿐. 이외의 음의 경우 밑에서 쓰는 기호를 쓰지 않고 [d̠ʲ],[t̠ʲ], [n̠ʲ], [l̠ʲ]로 쓰기도 한다. 다만 본 나무위키에서는 그 기호를 그대로 쓴다.
한국어에는 치경음에 해당하는 음소(ㄴ, ㄷ, ㄸ, ㅌ, ㄹ, ㅅ, ㅆ)[2]가 많기 때문에
후치경음과 치경구개음은 조음 위치가 상당히 유사한데, 후치경음에서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치면 치경구개음이 된다. 대부분의 언어는 후치경음과 치경구개음을 크게 구분을 안하다 보니 일종의 변이음으로서 오가기도 하고, 대부분의 화자들이 후치경음과 치경구개음을 잘 구분하지 못하며, 타 언어를 학습할 때 처음에는 서로의 음가를 자기 언어가 가지고 있는 음가로 발음하곤 한다. 예를 들어 한국어 화자가 영어에 입문할 때 ch 등을 ㅊ로 발음하거나, 영어 화자가 한국어에 입문할 때 ㅊ을 ch로 발음한다. 왜냐하면 사실상 ㅊ과 영어 ch는 거의 같은 소리라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파찰음과 마찰음을 제외한 치경구개음의 기호는 공식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 아래는 각각의 발음의 다른 표기법이다.
발음 | 확장 기호 | 후설화+구개음화 기호 | 전설화 기호 |
치경구개 비음 | ȵ | n̠ʲ | ɲ̟ |
무성 치경구개 파열음 | ȶ | t̠ʲ | c̟ |
유성 치경구개 파열음 | ȡ | d̠ʲ | ɟ̟ |
설측 치경구개 접근음 | ȴ | l̠ʲ | ʎ̟ |
2. 조음 방법
2.1. 치경구개 비음
[ruby(치경구개 비음, ruby=Alveolo-palatal Nasal)] | |
ȵ ȵ̥ | |
<colcolor=#fff>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12121> 치경구개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비음 |
|
혀끝을 잇몸에 붙이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친 상태에서 코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한국어에서는 [i], [y], [j], [ɥ] 앞의 ㄴ이 이 소리가 난다.[3] 다만 이 기호는 공식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 경구개 비음(/ɲ/) 등으로 대체해서 쓰고 있다.
세르보크로아트어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이 발음을 이중문자인 NJ로 표기한다.
중세국어에서 'ㅿ'가 이 발음이 났다는 설이 있다. 현대 한글에 치경구개음을 발음할 때 쓰는 글자에는 ㅈ, ㅊ, ㅉ가 있는데 이들과 ㅿ의 관계가 치경음 라인의 ㄷ, ㅌ, ㄸ과 ㄴ의 관계, 양순음 라인의 ㅂ, ㅍ, ㅃ과 ㅁ의 관계와 같다고 생각하면 된다. 실제로 한글의 파열음 중 치경음, 양순음, 연구개음에 해당하는 자음들을 살펴보면 치경 비음(ㄴ), 양순 비음(ㅁ), 연구개 비음(ㅇ)[5]은 모두 있으나 치경구개 비음은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리하면 곧 이 자리에 바로 ㅿ가 들어가야 하는 것이다. 앞의 설에 따르면 중세국어에서 ㅿ은 기존 설과는 달리 ㄴ과 매우 유사한 발음을 가졌을 것이다.[6]
그러나 위의 가설은 고대 국어의 ㅅ 음가가 중세국어에서 ㅿ로 나타나고[7], ㅿ 음가가 현대의 표준어 및 방언형에 ㅅ으로 남아있는 사례도 많으며[8], 중세국어에서 ㅅ으로 끝나는 용언의 활용형에도 ㅿ가 쓰였다는 점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 ㅅ으로 시작하는 일부 어휘가 합성어에서 ㅿ으로 시작했다는 점도 생각해야 한다.[9] 때문에 현재 언어학계의 정설은 중세국어의 'ㅿ'이 ㅅ의 약화된 발음, 즉 유성 치경 마찰음([z])과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ʑ])으로 발음되었다는 것이다.
중국어에서 중고한어 시절[10] 日母에 해당되는 한자들의 발음이 치경구개 비음에 해당되며 한글 창제 당시 日母를 일관적으로 ㅿ를 써서 표기하였다. 단, 日母는 시간이 흐르면서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과 구별이 안 될 정도로 발음이 애매해졌는데 일본 한자음의 오음(吳音)이 전자, 한음(漢音)이 후자로 발음된다는 점이 이를 증명한다.[11]
발음 방법: '냐', '냬', '녀', '녜', '뇨', '뉴', '니'에서 모음을 빼고 발음하면 된다.
2.2. 치경구개 파열음
[ruby(치경구개 파열음, ruby=Alveolo-palatal Stop)] | |
ȶ ȡ | |
<colcolor=#fff>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12121> 치경구개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파열음 |
|
(ȡ)
혀끝을 잇몸에 붙이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쳐서 붙였다가 빵 터트리는 느낌으로 기식을 내보내면서 떼는 소리다.
소리가 그리 안정적이지 못한 음가여서, 현대의 한국어에서는 아래의 치경구개 파찰음으로 대체되었다.[12][13] 마찬가지로 일본어의 ち, ぢ도 옛날에는 /ȶi/, /ȡi/였으나 파찰음으로 변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다. 그래서 /ti/, /di/를 표기하려면 ティ, ディ와 같은 표기를 쓴다.
발음 방법: [ȶ]는 ㅊ을 파열음으로 대체하여 발음하면 된다. [ȡ]는 어중에 오는 ㅈ을 파찰음이 아닌 파열음으로 발음. 사실 더 쉽게 발음하는 방법이 있는데, '띠드버거 사두떼염'의 '띠'가 이 발음에 가깝다. 즉, 치경구개 파찰음을 귀척하면서 혀짧배기 소리로 발음하면 이 소리가 난다.
2.3. 치경구개 파찰음
[ruby(치경구개 파찰음, ruby=Alveolo-palatal Affricate)] | |
t͡ɕ d͡ʑ | |
<colcolor=#fff>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12121> 치경구개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파찰음 |
| |
t͡ɕ | |
d͡ʑ |
혀끝을 잇몸에 붙이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쳐서 붙였다가 살짝 떼면서 그 틈 사이로 공기를 살살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는 ㅈ, ㅉ, ㅊ에서 이 소리가 난다.[14] 단 북한 문화어는 평양말을 기준으로 발음을 한다고 하여 서북 방언대로 치경음으로 발음한다는 가설도 있는데, 북한의 음운론 서적에서는 표준어대로 발음하는 경우가 언급되어 있다.
세르보크로아트어의 ć(ћ), đ(ђ)나 일본어의 ち와 じ(じ는 [d͡ʑi] 또는 [ʑi]로 발음된다. 원래는 ぢ의 음가가 [di]였던 게 [ȡi]를 거쳐 [d͡ʑi]로 변했고 그 때까지만 해도 じ([ʑi])와 확실히 구분되는 소리였으나 세월이 지나 두 음가 사이의 변별력이 사라지면서 현재는 몇몇 방언을 제외하고는 じ와 ぢ 모두 [d͡ʑi]로도 발음되고 [ʑi]로도 발음된다. (요츠가나 문서 참고.) 중국어 한어병음의 q와 j, 폴란드어의 ć와 dź, 러시아어의 ч도 이 발음이 난다.
발음 방법: 자음 ㅈ, ㅉ, ㅊ을 혓바닥을 경구개에 대고 발음한다.(참고로 이것이 자음 ㅈ, ㅉ, ㅊ의 표준 발음법이다.)
2.3.1. 유기 치경구개 파찰음
[ruby(유기 치경구개 파찰음, ruby=Aspirated Alveolo-palatal Affricate)] | |
t͡ɕʰ d͡ʑʱ | |
<colcolor=#fff>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d2f34> 치경음 |
조음 방향 | 중설음 |
조음 방법 | 파열음(유기음) |
|
2.4. 치경구개 마찰음
[ruby(치경구개 마찰음, ruby=Alveolo-palatal Fricative)] | |
ɕ ʑ | |
<colcolor=#fff>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12121> 치경구개음 |
조음 방향 | 중설음(치찰음) |
조음 방법 | 마찰음 |
| |
ɕ | |
ʑ |
한국어에서 각각 [i], [y], [j], [ɥ] 앞의 ㅅ, ㅿ에 대응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ㅿ은 사라졌다. 일본어의 し와 어중 じ, 중국어 x, 러시아어 Щ[15], 폴란드어의 Ś와 Ź, 스웨덴어의 k[16]와 tj도 여기 속한다.
한때 ㅅ이 치경구개 마찰음으로만 발음이 되던 시절이 있었다.([ɕ]) 쉽게 설명하자면 '사'와 '선', '순'이란 글자가 그 시절에는 '샤', '션', '슌'으로 발음이 되었다는 얘기가 되겠다. 그것 때문에 1933년에 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 제35항에 ㅅ ㅈ ㅊ을 첫소리로 삼는 ㅑ ㅕ ㅛ ㅠ를 ㅏ ㅓ ㅗ ㅜ로 적는다.는 내용이 담겨 있는데, 20세기에 사와 샤의 변별이 생기자[17] 상당수의 현대 한국 한자음이 본래의 음가를 잃어버렸다. 가끔 2020년대 기준 부산이나 경남 남부 출신 나이가 많은 사람들이 '사'를 '샤'로 발음하는 경우(예: 식사 → 식샤)가 있는데 이 역시 '사'와 '샤'의 발음 구별이 무너졌던 시절의 잔재로 짐작된다.
사워크림을 샤워크림이라고 발음하거나 소파를 쇼파 유니버설을 유니버셜이라고 발음하는 등, ㅅ가 /ɕ/로 발음되지 않는 상황에서 /ɕ/로 잘못 발음하는 사례는 실생활에서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다. 다만 이런 경우들은 영어의 s 발음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한 것이지만 선술한 식사는 한국어 단어인데 식샤로 발음을 혼동하는 것이므로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허구연처럼 2020년대 기준 부산이나 경남 남부 출신 나이가 많은 사람들 중 ㅅ을 항상 이것으로 발음하는 사례가 있다. 허구연의 해설을 들으면 엄청나게 많은 용례가 나온다.
발음 방법: [ɕ]는 샤, 셔 처럼 발음하면 된다. [ʑ]는 여기서 성대를 떨어준다.
어쩌면 현대에 살아남은 쉐라는 잘못된 표기도 ㅅ이 [ɕ]으로 발음됐을 때의 잔재일지도 모른다. 실제로 [ɕwe]라고 발음하면 [swe]로 발음할 때보다 원음에 가깝다.
2.5. 설측 치경구개 접근음
[ruby(설측 치경구개 접근음, ruby=Alveolo-palatal Lateral Approximant)] | |
ȴ | |
<colcolor=#fff> 조음 위치 | <colbgcolor=#ddd,#212121> 치경구개음 |
조음 방향 | 설측음 |
조음 방법 | 접근음 |
|
혀끝을 잇몸에 대고, 혀 옆구리와 어금니 사이를 살짝 좁히고, 혓바닥을 경구개에 걸친 상태에서 기식을 내보내는 소리다.
한국어에서는 어두초성 ㄹ이 모음 ㅣ[i], ㅟ[y]이나 전설모음으로 시작하는 상향 이중모음 ㅟ[ɥi], ㅑ[jɐ], ㅕ[jʌ], ㅛ[jo], ㅠ[ju] 등을 만날 때 구개음화 되어 나오는 음가. 다만 이 기호는 공식적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 설측 경구개 접근음[ʎ]으로 대체해서 쓰고 있다.[18]
세르보크로아트어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이 발음을 이중문자인 LJ로 표기한다.
발음 방법: '랴', '럐', '려', '례', '료', '류', '리'에서 모음을 빼고 발음하면 된다.
3. 관련 문서
[1] 그래서 영어, 독어 등의 서구 제어에서는 음가가 비슷한 [ɪ\] , [ʏ\] 등을 많이 쓴다. 전설 고모음보다 혀가 약간 낮고 뒤로 빠지는 모음이다.[2] 중세 국어 및 서북 방언, 육진 방언 한정으로는 ㅈ, ㅉ, ㅊ도 포함.[3] 언니, 오뉴월, 뉘다, 나뉘어 등. 혀 모습을 의식하면서 발음해 보면 조음방식도 비슷하고 듣기에 비슷해서 의식할 수 없다.[4] 조음 위치를 앞으로 옮기라는 기호이다. 반대 기능을 하는 기호는 -.[5] 중세국어에서는 'ㆁ'을 썼으나 현대에는 ㅇ만을 쓴다.[6] 사실 ㄴ(n)은 z와 마찬가지로 치경음이자 유성음이기 때문에 서로 매우 가까운 발음이다.[7] 이를테면 '가을'의 고대국어 표기로는 '고서(皐西)'와 '*ᄀᆞᄉᆞᆯ(秋察)'이 있는데, 중세국어에서는 'ᄀᆞᅀᆞᆶ'이 되었다. 중세국어 '어ᅀᅵ'도 본래 고대국어에서 '*어시(母史)'였으며, '아ᅀᆞ라하다'의 어근은 고대국어에서 '아슬라(阿瑟羅)'로 표기되었다.[8] 중세국어 'ᄇᆞᅀᆞ다'는 현대국어에서 '바수다'와 '부수다'로 바뀌었고, '냉이'의 중세국어 '나ᅀᅵ'는 현대 방언형에서 '나시', '나새이', '나싱이' 등으로 남아있다. 중세국어에서 'ᄀᆞᇫ애'였던 '가위' 역시 '가시개', '가새' 등의 방언형이 전해진다.[9] 식물의 일종인 '삼'은 합성어에서 '너ᅀᅡᆷ', '새ᅀᅡᆷ' 등으로 나타났다. '사뢰다'의 중세국어 'ᄉᆞᆲ다'는 문법적 요소로 쓰일 때 '-ᅀᆞᆸ-'으로 변형되기도 했다.[10] 초~중기 한정[11] 오음과 한음의 차이는 중고한어 발음의 변천사를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동국정운에 나타난 한글 창제 당시의 한자음은 중고한어의 전탁(유성음)을 그대로 보존한 상태라는 점에서 초~중기 중고한어, 오음과 그 양상이 비슷하다. 단, 동국정운 상에서 日母가 치경구개 비음이 아니라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으로 표기되었다는 사실은 치경구개 비음이 그대로 보존된 오음과는 다른 점이고 한음과 비슷하다.[12] 굳이, 같이 등. 天地도 옛날에는 '텬디'였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天地를 그대로 /텬디/로 발음했을 것으로 추정되나, 세월이 지나면서 발음이 본 문서의 발음, 즉 파열음이 구개음화하여 '텬디'와 '천지'의 중간 정도로 발음되다가 파찰음화하여 /천지/로 바뀌었고 1930년대에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면서 /천지/로 발음되는 '텬디'의 표기를 아예 '천지'로 고치고 '텬디'를 폐기했다.[13] 자꾸 현대 한국어에 이 발음이 존재한다는 듯이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현대 한국어의 '디'는 엄밀히 따지면 [ȶi\]/[ȡi\]가 아니라 [tʲi\]/[dʲi\]다. 다만 소수의 사람들 중에서 디, 띠, 티를 진짜로 이 발음으로 내는 경우는 있을 수 있다.[14] 국어의 자음 체계에서는 ㅈ, ㅉ, ㅊ를 센입천장소리로 분류한다.[15] 단 장음이다. /ɕː/로 표기.[16] e, i, y, ä, ö 앞에 위치할 때[17] 정확한 시기는 알기 어렵다. 다만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제정되던 1930년대에 이미 변별이 생긴 것으로 보이는 정황이 포착된다. 구개음화 문서의 각주도 참고. 가령 매큔-라이샤워 표기법(1939년)이 '사', '서' 등을 모두 sa, sŏ 등으로 적는 데, ㅅ이 치경구개음이었다면 sha, shŏ로 적혔을 것이다.[18] 하지만 경구개음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이 발음으로 대체하기에는 대단히 미묘하게 다른 발음이다. 귀로 들어봤을 때의 본 발음과 설측 경구개 접근음의 차이는 받침 ㄹ 발음의 유무 정도. 이 기호로 대체하고자 한다면 진짜 설측 경구개 접근음과 구분하기 위해 밑에 전설음화 기호를 붙여서 쓰는(/ʎ̟/)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