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사 둘러보기 틀 | |||||||||||||||||||||||||||||||||||||||||||||||||||||||||
|
||<-5><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ccc><bgcolor=#eee> 목소리프로젝트 시리즈 ||
2017 | → | 2019 | → | 2023 |
태일 | → | 섬:1933~2019 | → | 百人堂 태영 |
<colbgcolor=#e2ddd9,#447981><colcolor=#447981,#e2ddd9> 목소리프로젝트 2탄 섬 : 1933~2019 | |
2024년 재연 포스터 | |
제작 | <colbgcolor=#fff,#1c1d1f>우란문화재단, 목소리프로젝트 (2019) 국립정동극장, 라이브러리컴퍼니 (2024) |
작가 | 장우성 |
작곡 | 이선영 |
연출 | 박소영 |
공연장 | 초연: 우란문화재단 우란2경 재연: 국립정동극장 |
공연 기간 | 초연: 2019.07.05 ~ 2019.07.21 재연: 2024.05.22 ~ 2024.07.07 |
관람 시간 | 115분 |
공식 계정 | |
|
[clearfix]
1. 개요
장우성 작가, 이선영 작곡가, 박소영 연출이 결성한 목소리프로젝트[1]의 두 번째 작품으로, 1966년부터 2005년까지 40여 년간 한센인들을 위한 희생과 헌신으로 감동을 주었던 실존 인물 ‘마리안느 슈퇴거’와 ‘마가렛 피사렉’ 간호사의 이야기가 중심이 된다. 또한 1933년부터 소록도로 강제 이주를 당한 한센인들의 억압받던 삶을 비추는 동시에 ‘장애도’라는 섬에 갇혀 살아가는 2019년 서울의 발달장애 아동 가족들의 이야기를 교차한다.
86년에 달하는 시간, 3대에 걸친 세월을 아우르며 출연진이 12명[2]이나 되는, 목소리 프로젝트 중 가장 큰 스케일이 특징.
다큐멘터리 '마리안느와 마가렛'(2017)과 이 다큐와 동일한 소재로 쓴 책 《소록도의 마리안느와 마가렛: 우리 곁에 사랑이 머물던 시간》(성기영, 2017), 실제 발달장애아의 어머니가 쓴 책 《사양합니다, 동네 바보 형이라는 말》(류승연, 2018)[3]이 원작이다.
목소리 프로젝트답게 멀티 역을 맡는 앙상블 배우들을 '목소리들'이라고 부르는 것이 특징.[4]
2. 시놉시스
백수선 (1933~) |
3. 출연진
3.1. 2019년 초연
2019.07.05 ~ 2019.07.21 우란문화재단 우란2경
3.2. 2024년 재연
2024.05.22 ~ 2024.07.07 국립정동극장
4. 넘버
M1. 자탄가M2. 사랑이 머물던 시간
M3. 탄생가
M4. 가도 가도 붉은 황톳길
M5. 천사미사곡[5]
M6. 무제
M7. 순환: 생과 사
M8. 목도하는 목소리
M9. 바람을 등지고
M10. 우유 한 잔
M11. 수업: 보통 사람 되기
M12. 세 번 죽는다
M13. 시공: 인과 연
M14. 희망은
M15. 사랑이 머물던 시간 Rep.
5. 둘러보기
장우성 작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 <rowcolor=#fff> 연도 | 작품 |
2018 | 태일 | |
2019 | 섬:1933~2019 | |
2022 | 百人堂 태영 |
이선영 작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 <rowcolor=#fff> 연도 | 작품 |
2013 | 여신님이 보고 계셔 | |
2018 | 레드북 | |
태일 | ||
2019 | 섬:1933~2019 | |
2022 | 쇼맨 | |
2022 | 百人堂 태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