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1 18:41:21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colbgcolor=#006494><colcolor=#FFF> 하계 올림픽 <colbgcolor=#448CCB><colcolor=#ffffff> 개인 가라데 · 근대 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 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단체 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동계 올림픽 개인 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 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 스케이팅
단체 아이스하키 (·여) · 컬링 (남·여·믹스더블)
* 대회명에 세계 선수권 대회(World Championships)가 포함된 경우 기재.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
World Weightlifting Championships
창설 연도 <colbgcolor=#fff,#111> 1891년
개최 주기 올림픽 해 제외 매년
종목 30종목
최근 대회 2021 타슈켄트
최근 우승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 9/ 5/ 7)
최고 성적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549/ 259/ 142)
주관 국제역도연맹 IWF

1. 개요2. 역대 대회3. 합계 메달 순위4. 인상 용상 포함 메달 순위

1. 개요

세계 역도 선수권 대회는 국제역도연맹(IWF)에서 개최하는 역도 종목의 세계 선수권 대회이다. 남자부는 1891년, 여자부는 1987년부터 개최됐으며, 1991년부터 남녀 통합으로 개최되고 있다. 합계 종목만 시상하는 올림픽과 달리, 인상 및 용상에 대해서도 시상한다. 단 합계 종목 메달은 Big medal, 인상 및 용상 메달은 Small medal로 구분한다.

2. 역대 대회

<rowcolor=#ffffff> 연도 남 회차 여 회차 개최지 비고
1991 64 5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도나우에싱겐
1992 - 6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바르나 [여자부]
1993 65 7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멜버른
1994 66 8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이스탄불
1995 67 9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광저우
1996 - 10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바르샤바 [여자부]
1997 68 11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치앙마이
1998 69 12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라흐티
1999 70 13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아테네
2001 71 1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안탈리아 [3]
2002 72 15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바르샤바
2003 73 16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밴쿠버
2005 74 17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도하
2006 75 18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산토도밍고
2007 76 19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치앙마이
2009 77 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고양
2010 78 2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안탈리아
2011 79 22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리
2013 80 23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브로츠와프
2014 81 24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알마티
2015 82 25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휴스턴
2017 83 26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애너하임
2018 84 27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
2019 85 28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타야
2021 86 29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4]
2022 87 30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 보고타
202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202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푀르데

3. 합계 메달 순위

합계 메달 순위
순위 국가 총합
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184 88 41 313
2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151 90 33 274
3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80 82 65 227
4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42 52 31 125
5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39 48 34 121
6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32 27 31 90
7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25 38 57 120
8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24 34 27 85
9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4 14 28 66
10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대만 16 21 25 62
1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15 19 15 49
12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15 7 8 30
13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13 22 24 59
1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12 19 21 52
15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11 38 42 91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4. 인상 용상 포함 메달 순위

인상 용상 포함 메달 순위
순위 국가 총합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파일:국기.svg


[여자부] 여자부 경기만 개최[여자부] [3] 올림픽 해에 세계 선수권을 개최하지 않게 됨[4]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2020 도쿄 올림픽과 같은 해에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