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 ||
<colbgcolor=#006494><colcolor=#FFF> 하계 올림픽 | <colbgcolor=#448CCB><colcolor=#ffffff> 개인 | 가라데 · 근대 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 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
단체 | 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 |
동계 올림픽 | 개인 | 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 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 스케이팅 |
단체 | 아이스하키 (남·여) · 컬링 (남·여·믹스더블) | |
* 대회명에 세계 선수권 대회(World Championships)가 포함된 경우 기재. |
세계 기계체조 선수권 대회 World Artistic Gymnastics Championships | |
창설 연도 | <colbgcolor=#fff,#111> 1903년 |
개최 주기 | 매년 |
종목 | 14종목 |
최근 대회 | 2023 안트베르펜 |
최근 우승 | |
최고 성적 | |
주관 | 국제체조연맹 |
[clearfix]
1. 개요
세계 기계체조 선수권 대회는 국제체조연맹(FIG)에서 개최하는 기계체조 종목의 세계 선수권 대회이다. FIG에서 개최하는 세계 체조 선수권 대회에는 기계체조, 리듬체조, 트램펄린 & 텀블링, 에어로빅, 아크로바틱, 파쿠르 6가지 세부 종목에 대한 대회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세계 체조 선수권 대회라고 하면 세계 기계체조 선수권 대회를 일컫는다.올림픽이 열리는 해를 제외하고 매년 열리고 있으며, 올림픽 다음해에 열리는 대회에서는 단체전 종목이 제외된다.
2. 역대 대회
<rowcolor=#ffffff> 회차 | 연도 | 개최지 | 우승국 | 종목(남/여) | 비고 |
1 | 1903 | 6/0 | |||
2 | 1905 | 5/0 | |||
3 | 1907 | 5/0 | |||
4 | 1909 | 5/0 | |||
5 | 1911 | 6/0 | |||
6 | 1913 | 6/0 | |||
7 | 1922 | 6/0 | [1] | ||
8 | 1926 | 6/0 | |||
9 | 1930 | 7/0 | |||
- | 1931 | - | 6/0 | [비공식] | |
10 | 1934 | 8/2 | [3] | ||
11 | 1938 | 8/6 | |||
12 | 1950 | 8/6 | [4] | ||
13 | 1954 | 8/6 | |||
14 | 1958 | 8/6 | |||
15 | 1962 | 8/6 | |||
16 | 1966 | 8/6 | |||
17 | 1970 | 8/6 | |||
18 | 1974 | 8/6 | |||
19 | 1978 | 8/6 | |||
20 | 1979 | 8/6 | [5] | ||
21 | 1981 | 8/6 | |||
22 | 1983 | 8/6 | |||
23 | 1985 | 8/6 | |||
24 | 1987 | 8/6 | |||
25 | 1989 | 8/6 | |||
26 | 1991 | 8/6 | |||
27 | 1992 | 6/4 | [6] | ||
28 | 1993 | 7/5 | |||
29 | 1994 | 7/5 | [7] | ||
30 | 1994 | 1/1 | |||
31 | 1995 | 8/6 | |||
32 | 1996 | 6/4 | |||
33 | 1997 | 8/6 | |||
34 | 1999 | 8/6 | [8] | ||
35 | 2001 | 8/6 | |||
36 | 2002 | 6/4 | [9] | ||
37 | 2003 | 8/6 | |||
38 | 2005 | 7/5 | |||
39 | 2006 | 8/6 | |||
40 | 2007 | 8/6 | |||
41 | 2009 | 7/5 | [10] | ||
42 | 2010 | 8/6 | |||
43 | 2011 | 8/6 | |||
44 | 2013 | 7/5 | |||
45 | 2014 | 8/6 | |||
46 | 2015 | 8/6 | |||
47 | 2017 | 7/5 | |||
48 | 2018 | 8/6 | |||
49 | 2019 | 8/6 | |||
50 | 2021 | 7/5 | [11] | ||
51 | 2022 | 8/6 | [러] | ||
52 | 2023 | 8/6 | [러] | ||
53 | 2025 | 7/5 | |||
54 | 2026 | 8/6 |
3. 역대 메달
역대 메달 순위 2023년 안트베르펜 대회 종료기준 | |||||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총합 |
1 | 111 | 86 | 59 | 256 | |
2 | 92 | 60 | 48 | 200 | |
3 | 66 | 55 | 47 | 168 | |
4 | 55 | 59 | 72 | 186 | |
5 | 48 | 45 | 42 | 135 | |
6 | 36 | 43 | 36 | 115 | |
7 | 34 | 29 | 20 | 83 | |
8 | 25 | 30 | 27 | 82 | |
9 | 19 | 16 | 15 | 50 | |
10 | 17 | 13 | 29 | 59 | |
11 | 17 | 11 | 8 | 36 | |
12 | 15 | 12 | 29 | 56 | |
13 | 14 | 7 | 11 | 32 | |
14 | 11 | 15 | 8 | 34 | |
15 | 10 | 12 | 12 | 34 | |
16 | 10 | 8 | 10 | 28 | |
17 | 8 | 9 | 8 | 25 | |
18 | 8 | 3 | 3 | 14 | |
19 | 7 | 13 | 19 | 39 | |
20 | 7 | 11 | 16 | 34 | |
21 | 7 | 3 | 2 | 12 | |
22 | 6 | 2 | 4 | 12 | |
23 | 5 | 8 | 3 | 16 | |
24 | 5 | 6 | 13 | 24 | |
25 | 5 | 3 | 5 | 13 | |
26 | 5 | 2 | 9 | 16 | |
27 | 3 | 4 | 0 | 7 | |
28 | 3 | 3 | 2 | 8 | |
29 | 3 | 1 | 2 | 6 | |
30 | 2 | 5 | 2 | 9 | |
31 | 2 | 5 | 1 | 8 | |
32 | 2 | 4 | 6 | 12 | |
33 | 2 | 4 | 4 | 10 | |
34 | 2 | 2 | 2 | 6 | |
35 | 2 | 1 | 0 | 3 | |
36 | 2 | 0 | 1 | 3 | |
37 | 1 | 3 | 1 | 5 | |
38 | 1 | 2 | 3 | 6 | |
1 | 2 | 3 | 6 | ||
40 | 1 | 1 | 2 | 4 | |
41 | 1 | 1 | 1 | 3 | |
42 | 1 | 0 | 4 | 5 | |
43 | 1 | 0 | 2 | 3 | |
44 | 1 | 0 | 1 | 2 | |
45 | 0 | 7 | 6 | 13 | |
46 | 0 | 2 | 3 | 5 | |
47 | 0 | 2 | 1 | 3 | |
0 | 2 | 1 | 3 | ||
49 | 0 | 1 | 1 | 2 | |
0 | 1 | 1 | 2 | ||
0 | 1 | 1 | 2 | ||
52 | 0 | 1 | 0 | 1 | |
53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 | 0 | 0 | 1 | 1 |
4. 대한민국 선수단 메달
<rowcolor=#ffffff> 연도 | 개최지 | 종목 | 선수 | 성적 |
1991 | 남자 도마 | 유옥렬 | 금메달 | |
1992 | 남자 도마 | 유옥렬 | 금메달 | |
1993 | 남자 도마 | 유옥렬 | 동메달 | |
1994 | 남자 도마 | 여홍철 | 동메달 | |
1996 | 남자 도마 | 여홍철 | 은메달 | |
1999 | 남자 평행봉 | 이주형 | 금메달 | |
2006 | 남자 평행봉 | 유원철 | 은메달 | |
2007 | 남자 평행봉 | 김대은 | 금메달 | |
2011 | 남자 도마 | 양학선 | 금메달 | |
2013 | 남자 도마 | 양학선 | 금메달 | |
2017 | 남자 도마 | 김한솔 | 동메달 | |
2023 | 여자 도마 | 여서정 | 동메달 |
[1]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됐다가 9년 만에 재개[비공식] [3] 여자부 경기 최초 개최[4]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2년 만에 개최[5] 개최주기 2년으로 변경[6] 개최주기 매년으로 변경[7] 개인전과 단체전 대회를 나눠서 개최[8] 홀수 해 개최로 변경[9] 올림픽 해를 제외하고 매년 개최하는 것으로 변경[10] 3년 중 한번은 단체전 경기를 하지 않는 방식이 정립[11] 코로나19 유행으로 2020 도쿄 올림픽이 1년 뒤인 2021년으로 연기되면서, 2021년에 올림픽과 세계선수권이 같이 개최됐다.[러]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와 벨라루스 선수들 출전 금지[러] [14] 러시아 국가대표팀 도핑 스캔들로 2021년 대회에 러시아체조연맹 대표 자격으로 출전.[15] 1993년 아제르바이잔 국적 발레리 벨렌키(Valery Belenky)의 동메달. 당시 아제르바이잔이 신생국이라 체조연맹이 없었기 때문에 무소속 선수로 간주. FIG 공식 기록에선 독일의 메달로 취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