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왕성 獣王星 | |
장르 | SF |
작가 | 이츠키 나츠미 |
출판사 | 하쿠센샤 대원씨아이 |
레이블 | 제트 코믹스 하나토 유메 코믹스[A] 이슈 코믹스 |
연재처 | LaLa, 월간 Melody |
연재 기간 | 1993년 ~ 2003년 |
단행본 권수 | 5권 3권[A] 5권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만화. 작가는 이츠키 나츠미.1993년부터 2003년까지 LaLa와 월간 Melody[3]에서 휴재를 반복하면서 연재되었다.
쌍둥이 소년이 공개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던 행성에 빠져 그곳에서 살아남는 모습을 그린 이야기이다.
2. 줄거리
서기 2436년.
인류는 그 판도를 우주로까지 넓혀 지구에서 150광년이나 떨어진 발칸 성계로 이주를 마친 상태.
그 중 하나인 스페이스 콜로니 유노에서 태어나, 특권계급의 아들로 빛나는 미래가 보장되어 있던 쌍둥이 형제 토오루와 라이는 어느 날 갑자기, 아버지가 친구인 오딘에게 살해 당하면서 사형별 키마에라로 떨어져 버린다.
그 곳은 모든 것을 태어버릴 듯 작열하는 낮과 혹한의 밤이 되풀이되고 땅에는 육식성 식물이 번성하는 그야말로 '지옥'이었다!
인간성을 버리고 문자 그대로 '짐승'이 된 자들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곳.
부모의 원수를 갚기 위해 토오루는 자신과는 달리 유약하고 겁이 많은 라이를 데리고 혼자만의 힘으로 살아남기 위해 필사적이다.
그리고 얼마 후 약육강식의 질서만이 지배하는 이곳에도 사회가 존재한다는 걸 알게 되는 토오루.
여기에는 최대 세력 '오클 링'을 비롯해 '선 링', '나이트 링', '브란 링'이라는 4개의 무리가 존개하고 각 무리에는 그에 따른 계급이 존재하며 그들의 정점에는 '수왕'이 있다고 한다.
영문도 모른 채 지옥 같은 별에 떨어져 죽을 고생을 하던 토오루는 자신도 수왕이 되겠다고 결심하는데...
인류는 그 판도를 우주로까지 넓혀 지구에서 150광년이나 떨어진 발칸 성계로 이주를 마친 상태.
그 중 하나인 스페이스 콜로니 유노에서 태어나, 특권계급의 아들로 빛나는 미래가 보장되어 있던 쌍둥이 형제 토오루와 라이는 어느 날 갑자기, 아버지가 친구인 오딘에게 살해 당하면서 사형별 키마에라로 떨어져 버린다.
그 곳은 모든 것을 태어버릴 듯 작열하는 낮과 혹한의 밤이 되풀이되고 땅에는 육식성 식물이 번성하는 그야말로 '지옥'이었다!
인간성을 버리고 문자 그대로 '짐승'이 된 자들만이 살아남을 수 있는 곳.
부모의 원수를 갚기 위해 토오루는 자신과는 달리 유약하고 겁이 많은 라이를 데리고 혼자만의 힘으로 살아남기 위해 필사적이다.
그리고 얼마 후 약육강식의 질서만이 지배하는 이곳에도 사회가 존재한다는 걸 알게 되는 토오루.
여기에는 최대 세력 '오클 링'을 비롯해 '선 링', '나이트 링', '브란 링'이라는 4개의 무리가 존개하고 각 무리에는 그에 따른 계급이 존재하며 그들의 정점에는 '수왕'이 있다고 한다.
영문도 모른 채 지옥 같은 별에 떨어져 죽을 고생을 하던 토오루는 자신도 수왕이 되겠다고 결심하는데...
3. 발매 현황
01권 | 02권 | 03권 | 04권 | 05권 (完) |
1994년 08월 29일 2000년 09월 30일 | 1995년 07월 28일 2000년 10월 31일 | 1998년 04월 28일 2000년 11월 30일 | 2000년 10월 27일 2001년 03월 31일 | 2003년 04월 28일 2003년 08월 15일 |
3.1. 완전판
01권 | 02권 | 03권 |
2006년 03월 04일 미정 | 2006년 04월 05일 미정 | 2006년 05월 02일 미정 |
4. 등장인물
- 토르 클라인(トール・クライン) - 성우: 일본: 타카야마 미나미(소년 시절), 도모토 코이치(청년)[4] / 한국: 이미자(소년 시절), 엄상현(청년)
(왼쪽 소년 시절 모습, 오른쪽 청년 모습)
파일럿을 꿈꾸는 11세의 소년. 콜로니에서도 이름난 명문가에 태어나 무엇하나 부족함 없이 자라왔으나 어느 날 부모님이 살해 당하고 동생 라이와 함께 사형성인 키마에라로 떨어진다. 타고난 운과 강인함을 무기로 진실을 알아내기 위해 수왕이 되길 결심한다.
- 라이 클라인(ラーイ・クライン) - 성우: 일본: 타카야마 미나미 / 한국: 정미연
토르의 쌍둥이 동생. 강한 의지를 지닌 형과 달리 내성적이며 마음이 여리고, 겁이 많아 토르에게 의지하는 편이다. 키마에라로 떨어진 후에 혹독한 환경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 한다.
- 자기 펜릴(ザギ・フェンリル) - 성우: 일본: 나카이 카즈야 / 한국: 신용우
이리야드 출신. 링이라는 각 지역의 집단에 소속되지 않은 아이들을 이끄는 리더. 키마에라에서 토르 형제를 발견해 키마에라에 대한 모든 것을 가르쳐주고, 자신의 무리에 넣어서 보살펴 준다. 무슨 생각을 하는지 알 수 없는 수수께끼의 소년.
- 티즈(ティズ) - 성우: 일본: 미즈키 나나 / 한국: 정현경
키마에라의 네 개의 링 중 하나인 선링의 여자 세컨드. 나이는 13세. 다른 행성에서 보내진 사형수가 아니라 키마에라에서 자라난 소녀. 토르를 보고 반하여 자신의 남자로 점 찍어놓고 따라다닌다.
- 서드(ティズ) - 성우: 일본: 오구리 슌[5] / 한국: 김장
네 개의 링 중 최대 세력인 오클링의 넘버 쓰리. '서드'라는 자신의 위치를 이름으로 사용하는데 본명은 알 수 없다. 인망과 실력 모두 톱이 되기에 충분하지만 자유분방한 성격에 야심을 가지진 않는다.
- 콜린(コリン) - 성우: 이이즈카 쇼조
- 유우키(ユウキ) - 성우: 시무라 토모유키
- 테오 클라인(テオ・クライン) - 성우: 하야시 카즈오
5. 미디어 믹스
5.1. 애니메이션
수왕성 (2006) 獣王星 | |||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SF | |
원작 | 이츠키 나츠미 | ||
감독 | 니시키오리 히로시 | ||
시리즈 구성 | 요시다 레이코 | ||
캐릭터 디자인 | 오사카 히로시 | ||
총 작화감독 | |||
컨셉 디자인 | 와타나베 타카시(渡部 隆) | ||
미술 디자인 | 나리타 히데야스(成田偉保) | ||
미술 감독 | 사토 타케시(佐藤豪志) | ||
색채 설계 | 이와사와 레이코(岩沢れい子) | ||
촬영 감독 | 오오가미 요이치(大神洋一) | ||
음향 감독 | 미마 마사후미 | ||
편집 | 오노데라 케이코(小野寺桂子) | ||
음악 | 미조구치 하지메(溝口 肇) | ||
음악 제작 | 후지퍼시픽 음악출판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 | ||
프로듀서 | 마츠자키 요코(松崎容子)후지 테레비 미나미 마사히코 이토 유키히로(伊藤幸弘)후지 테레비 야마모토 코지(山本幸治)후지 테레비 | ||
애니메이션 제작 | 본즈 | ||
제작 | 수왕성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06. 04. 14. ~ 2006. 06. 23. | ||
방송국 | 후지 테레비(노이타미나) / (금) 00:45 애니맥스 코리아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11화 | ||
시청 등급 | 12세 이상 시청가 |
감독은 니시키오리 히로시.
한국에서는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2007년에 한국어로 더빙되어 방영하였다.
5.1.1. 주제가
5.1.1.1. OP
OP Deep in your heart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도모토 코이치[6] | ||
작사 | 시라이 유키(白井裕紀) 아라타 미카(新 美香) | ||
작곡 | 도모토 코이치 | ||
편곡 | ha-j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니시키오리 히로시 | |
연출 | |||
작화감독 | 오사카 히로시 | ||
원화 | 나카이 준, 고토 케이지, 요코야마 아키토시, 키무라 타카히로, 이시다 카나, 카와카미 테츠야, 오사카 히로시 등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5.1.1.2. ED
ED 手をつないで 손을 잡고서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 윤하 | ||
작사 | 사토 에이마(佐藤永麻) | ||
작곡 | mo'doo-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 타케야마 아츠시(武山 篤) | |
연출 | |||
촬영 | |||
작화감독 | 오사카 히로시 | ||
원화 | 티나카 하루카(田中春香)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5.1.2. 회차 목록
- 전화 총 작화감독: 오사카 히로시
<rowcolor=#373a3c,#dddddd>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chapter 1 | 運命 | 요시다 레이코 | 니시키오리 히로시 | 미카타 유키 (三芳唯稀) | 카와카미 테츠야 이시다 카나 | 日: 2006.04.14. 韓: |
chapter 2 | [ruby(茶輪, ruby=リング)] | 오야마다 케이코 (小山田桂子) | 코모리 타카히로 | 日: 2006.04.21. 韓: | ||
chapter 3 | 仲間 | 타카하시 나츠코 | 미카타 유키 | 호리카와 코이치 (堀川耕一) | 日: 2006.04.28. 韓: | |
chapter 4 | 挑戦 | 요시다 레이코 | 타카다 코이치 (高田耕一) 니시키오리 히로시 | 타카다 코이치 | 이시다 카나 | 日: 2006.05.05. 韓: |
chapter 5 | 決闘 | 타카하시 나츠코 | 칸베 히로유키 | 사사키 아츠코 (佐々木敦子) 카와카미 테츠야 | 日: 2006.05.12. 韓: | |
chapter 6 | 白狼鬼 | 츠치야 미치히로 (土屋理敬) | 사카타 준이치 | 오야마다 케이코 | 타나카 마사키 (田中誠輝) | 日: 2006.05.19. 韓: |
chapter 7 | 独立 | 니시키오리 히로시 | 시미즈 카즈노부 (清水一伸) | 오카다 마이코 와타나베 루리코 | 日: 2006.05.26. 韓: | |
chapter 8 | 深層 | 타카하시 나츠코 | 고토 케이지 | 미카타 유키 | 카메이 오사무 (亀井 治) | 日: 2006.06.02. 韓: |
chapter 9 | 獣王 | 소토자키 하루오 | 코야마 요시타카 (湖山禎崇) | 이시카와 신고 (石川晋吾) 호리카와 코이치 | 日: 2006.06.09. 韓: | |
chapter 10 | 悪夢 | 요시다 레이코 | 미야지 마사유키 | 코가와 요리야스 (古川順康) | 나가타 마사미 (永田正美) | 日: 2006.06.16. 韓: |
chapter 11 | 希望 | 幅文二郎 | 사토 이쿠로 (佐藤育郎) | 오사카 히로시 | 日: 2006.06.23. 韓: |
5.1.3. 평가
니시키오리 히로시 감독의 수작으로 평가받는다. 감독 본인은 물론, 칸베 히로유키, 고토 케이지, 소토자키 하루오, 미야지 마사유키 등 실력이 뛰어난 연출가들이 투입되었고, 작화도 역시 메인 총 작화감독 오사카 히로시를 비롯하여 이시다 카나, 카와카미 테츠야, 코모리 타카히로, 오카다 마이코, 호소다 나오토, 코지마 치카, 키쿠치 카츠야, 사토 마사유키, 마츠타케 토쿠유키, 나카이 준, 미와 카즈히로, 코타 후미아키, 야마우치 노리야스, 오오누키 켄이치, 시타야 토모유키, 요코야마 아키토시, 사이토 히사시, 사카이 사토시, 스기우라 코지, 키무라 타카히로, 쿠로야나기 켄지, 쿠하라 시게키, 토미오카 타카시, 타카하시 신야(高橋しんや), 타카노 아야, 코마츠 에이지, 칸자키 히로, 오오카지 히로유키, 와시키타 쿄타, 와타나베 루리코 등 실력이 뛰어난 애니메이터들이 대거 투입되었다.이런 뛰어난 실력의 연출가 및 애니메이터들 덕분에 굉장히 안정적인 작화와 뛰어난 연출을 보여주며 애니메이션 역시 11편이라는 짧은 화수에 비해 1화부터 시작되는 엄청난 빠른 전개와 반전으로 방영 당시 시청자들에게 충격을 주기도 했고 그 짧은 화수에서도 떡밥 회수도 훌륭히 수행해냈고 씁쓸하지만 후속작 떡밥 여지 하나없는 굉장히 깔끔한 서사 마무리로 방영 당시 시청자들에게 좋은 평가를 얻었다. 이렇게 잘 만든 수작인데 편수가 짧아서 언급이 잘되지 않는 것 같다면서 리즈 시절의 디시 애갤러스에서는 감독의 전작이 희대의 쓰레기 애니인 사모님은 마법소녀라 같이 평가절하 당하는 것 같다며 숨겨진 수작 애니메이션이라고 영업글을 올리는 팬들이 많았다. 오프닝의 경우 타이업의 문제로 도모토 코이치의 노래가 사용됐는데 노래와 영상이 안 어울려 호불호가 많이 갈렸으나 윤하가 부른 엔딩곡의 경우에는 가사가 여주인공의 마음과 애니메이션 결말에 대변되는 가사 내용이라서 굉장한 호평이 있었다.
일본판의 경우에는 도모토 코이치, 오구리 슌을 통한 연예인 더빙이 이뤄졌는데 워낙 팬덤이 두터운 명배우들이다보니 이를 통한 시청자 유입도 많았다. 다만 이에 대해선 호불호가 갈렸고 당시의 미즈키 나나가 인기 성우이긴 했으나 노래에 비해 연기는 한창 못하던 시절이다보니 쟁쟁한 선배 성우들과 비교하면 연기를 못한다는 비판이 많았다. 한국판의 경우에는 당시 애니맥스 코리아가 더빙제작을 못하기로 유명했는데도 불구하고 더빙 퀄리티는 일본판보다 좋다.
[A] 완전판.[A] 완전판.[3] 두 잡지 모두 하쿠센샤 발행.[4] 전문 성우가 아닌 가수 겸 배우이다.[5] 전문 성우가 아닌 배우이다.[6] 쟈니스 가수가 불렀지만 한국 애니맥스 더빙판에서도 일본어 원곡 그대로 방영되었다. 당시 쟈니스는 지나치게 빡빡한 저작권 정책으로 인해 드라마나 애니메이션의 주제곡으로 타이업될 경우에는 이누야샤나 러브 콤플렉스처럼 해외판에서 다른 곡으로 대체되는 일이 비일비재하기로 악명이 높았다. 다만 예외도 없진 않았는지 이 작품은 이례적으로 내수판 주제가가 그대로 사용될 수 있었다. 또 다른 예외 사례로는 같은 해에 대원방송에서 방영된 아이실드 21이 있는데, 해당 작품은 한술 더 떠서 우리말 번안까지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