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4 14:43:02

Starfield(게임)/모드

스타필드 모드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Starfield(게임)
파일:290px-Logo.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8efe9,#141e16> 게임
관련
정보
캐릭터 배경 · 특성 · 스킬 · 파워
시스템 아이템 및 자원 · 무기 · 방어구 · 우주선 · 전초기지 · 하우징 · 연구
세계관 개척 성계 (뉴 아틀란티스 · 아킬라 시티 · 네온 · 시도니아 · 뉴 홈스테드 · 크리트 · ECS 콘스탄트 · 크루시블)
세력 (콘스텔레이션 · 식민지 연합 · 자유 항성 공동체 · 크림슨 함대 · 류진 인더스트리 · 이클립틱 용병단 · 바룬 가문)
등장인물 (주인공 · 맨티스 · 스타본) · (스페이서 · 테러모프)
연대표
퀘스트 (메인 퀘스트 · 식민지 연합 · 자유 항성 공동체 · 크림슨 함대 · 류진 인더스트리 · 동료 퀘스트 · 사이드 퀘스트)
DLC Shattered Space
도전 과제 도전 과제
모드 모드 관련 정보 · 크리에이션 모드
버그 버그 관련 정보
기타 평가 · 논란 및 사건 사고 (한국어 미지원 논란) · 관련 상품 · 발매 전 정보}}}}}}}}}

1. 개요2. 특징
2.1. 전작에서 바뀐 점2.2. 모드 사용시 주의점2.3. 버전 호환 문제 임시조치
3. 작성/열람시 주의할 점
3.1. 작성시 주의할 점3.2. 항목 열람시 주의할 점
4. 비공식 한국어 번역5. 기반 모드6. 잘린 컨텐츠 복구7. 버그 수정8. 기존 시스템 개선9. 인터페이스10. 환경 추가 및 개선11. 캐릭터
11.1. 프리셋11.2. NPC11.3. 동료11.4. 크리쳐11.5. 배경11.6. 특성11.7. 스킬
12. 게임플레이 변경13. 행성, 지역, 퀘스트14. 우주선
14.1. 우주선/시스템14.2. 우주선/부품14.3. 우주선/내부 장식14.4. 우주선/편의시설14.5. 우주선/신규 우주선
15. 전초기지 빌리징
15.1. 전초기지/시스템15.2. 전초기지/건축물15.3. 전초기지/장식15.4. 전초기지/편의시설15.5. 전초기지/정착지
16. 아이템
16.1. 무기16.2. 갑옷16.3. 우주복16.4. 의상16.5. 스킨
17. 타사 작품 계열18. 성적 요소 부가 모드19. 크리에이션 모드20. 통합팩

1. 개요

스타필드MOD들을 소개하는 문서.

2. 특징

기본적으로 스팀 버전만 모드가 될 가능성이 높다. 게임패스는 스타필드 설치 경로가 달라서 일부 모드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고, 엑스박스 콘솔은 현재 모드 적용이 아예 안된다. 되도록이면 스팀에서 스타필드를 설치하기 바란다.

게임 엔진은 크리에이션 엔진 2지만 파일들은 크리에이션 1처럼 .BA2 확장자로 압축되어있다.# 설정 ini 파일에 쓰이는 명령어와 메인 메뉴 화면 파일이 동일하여 폴아웃 4, 폴아웃 76에서 사용했던 값을 집어넣어도 작동된다. 크리에이션 클럽크리에이션 킷은 2024년 6월 10일에 공개되었다.

게임의 배경이 우주인지라 스타워즈 관련 모드가 꽤나 많은게 특이점.

2.1. 전작에서 바뀐 점

전작인 폴아웃 4와 여러면에서 바뀌어서 모딩이 까다로워졌다는 소문이 있다. 바뀐 점은 다음과 같다.#

2.2. 모드 사용시 주의점

2.3. 버전 호환 문제 임시조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Starfield(게임)/게임 관련 정보 문서
번 문단을
버전 호환 문제 임시조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Address Library 기반으로 작업하지 않은 SFSE 기반 모드를 사용중이라면 업데이트시 관련 모드들이 다 먹통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모드가 새 스타필드 버전에 맞춰 업데이트 될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이 때문에 업데이트를 롤백해서 플레이할 필요성이 생긴다. 이외에도 스타필드 백업, 스팀 업데이트 막기, 완전 삭제 등도 해둬야 할 때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위의 링크 참고.

3. 작성/열람시 주의할 점

3.1. 작성시 주의할 점

3.2. 항목 열람시 주의할 점

해당 문서의 각 항목들은 말 그대로 수많은 모드들을 분류하고 설명하는 항목이지, 좋은 모드 추천의 장이 아니다. 당연히 위키 내에 소개된 모드들을 아무렇게나 설치할 경우 세이브 파일 삭제, 재설치를 하게 될 것이다. 정말로 추천을 받아 쾌적하게 플레이하고 싶다면 위키에서 찾지말고 리뷰어들의 글, 영상을 찾아보자.

가장 중요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놓치는 부분이 모더가 써놓은 설명을 읽는 것이다. 모더가 호환 모드나 호환 불가모드, 선행요구 모드 같은 것을 친절히 다 적어놨으며 설명만 읽어도 수많은 모드 오류를 해결할 수 있다.

4. 비공식 한국어 번역

5. 기반 모드

2024년 6월 플러그인 이름이 빨간색으로 나오는 문제를 수정한 디벨로퍼 빌드가 디스코드에 올라왔다.#

6. 잘린 컨텐츠 복구

7. 버그 수정

8. 기존 시스템 개선

9.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10. 환경 추가 및 개선

Audio
Environment
Visuals

11. 캐릭터

Characters

11.1. 프리셋

11.2. NPC

11.3. 동료

Companions

11.4. 크리쳐

11.5. 배경

11.6. 특성

11.7. 스킬

12. 게임플레이 변경

Gameplay
Perks and Skills

13. 행성, 지역, 퀘스트

Planets
Settlements
POI

14. 우주선

Ships

14.1. 우주선/시스템

14.2. 우주선/부품

14.3. 우주선/내부 장식

14.4. 우주선/편의시설

14.5. 우주선/신규 우주선

15. 전초기지 빌리징

15.1. 전초기지/시스템

15.2. 전초기지/건축물

15.3. 전초기지/장식

15.4. 전초기지/편의시설

15.5. 전초기지/정착지

16. 아이템

16.1. 무기

Weapons

16.2. 갑옷

16.3. 우주복

16.4. 의상

Clothing

16.5. 스킨

17. 타사 작품 계열

18. 성적 요소 부가 모드

19. 크리에이션 모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크리에이션 클럽/스타필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 통합팩



[1] 다만 아래의 문단과 같이 bgsm대신 mat파일로 변경[2] 해당 미들웨어는 개발과 판매가 중단되었다.[3] 다만 다른 게임업계에서 사용되는 방식과는 다르다고 한다. 보통은 평활도(smoothness), 앰비언트 오클루전, 반투명도(translucency), 방출광 맵은 모두 단일 _l.dds 텍스쳐의 4채널에 포함시키고 반사율(reflectivity )은 _r.dds에 포함시키는 식으로 처리한다.[4] 노멀 맵 텍스쳐[5] 서브서페이스 맵 텍스쳐[6] 백라이트 맵 텍스쳐[7] 알베도 텍스쳐[8] 2채널 노멀 맵 텍스쳐[9] 앰비언트 오클루전 텍스쳐[10] 조도(粗度, roughness) 텍스쳐[11] 금속 질감 텍스쳐[12] 이외에도 투명도(opacity), 마스크(masks), 방출광(emissive) 관련 맵 텍스쳐가 있다고 한다.[13] 모더가 비슷하게 만든 것이 아닌 76의 에셋을 뽑아만든 것만 해당된다.[14] 폴아웃 4, 디비니티: 오리지널 신 2 등을 한국어 번역한 팀 왈도는 아니다. 당장 팀장부터가 다르다. 애초에 '팀 왈도'는 하나의 팀 이름이 아니라 수많은 번역 팀이 공유하는 이름이다. 하지만 폴아웃 4 등을 번역했던 팀 왈도의 일원을 비롯해 기존 여러 번역 팀의 일원들이 이 새로운 팀 왈도의 일원으로 몇 명 참가했기 때문에 기존의 팀 왈도들과 완전히 무관하기만 한 팀은 아니다.[15] 디스이즈게임 기사에서 인터뷰에 응한 게임 퍼블리싱 업체 대표에 의하면 '번역가 한 명이 일주일에 약 1.5만 단어를 번역하며 AAA 타이틀의 작업량을 기준으로 스타필드가 공식 현지화를 한다고 가정하면 1년은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16] 가령 스토리와 관련된 고유명사가 시도때도없이 튀어나오는데, 해당 게임을 완전히 꿰고 있는 사람이 아닌 이상 잘못된 표현을 사용했다가 모든 내용이 꼬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한국어 특유의 존댓말-반말 문제도 캐릭터 이해도에 따라 번역자 간에 해석과 결과가 갈릴 수도 있다.[17] 초창기에 나온 직결식 글꼴로 출력하는 방식의 한국어 모드를 사용하면 이런 기술적 문제가 없어지지만 업데이트가 안 된지 오래되어서 오역이 많다.[18] 출시때 나온 딥엘 번역기 기계 번역도 사실 AI 기술을 활용한 번역이긴 하나 사실상 무료 버전을 썼을 것이고, 몇개월 동안 AI의 처리 능력이 발전한데다, 딥엘과 달리 클로드 등은 질답식으로 여러 조건들을 제시하면서 처리할 수 있게 됐기 때문에 상당히 티가 날 정도로 발전하긴 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기존 AI 번역기는 Freestar Collective를 제멋대로 자유 항성 공동체, 자유성 연합 같은 식으로 중구난방 번역했다면, 차세대 유료 버전 AI 번역은 이런 고유명사는 어떻게 처리하라고 조건을 지정해 줄 수 있다.[19] 팀 왈도 쪽에서는 게이머가 큰 지장 없이 번역에 만족하는 점수를 약 70점이라고 잡으면, 기계 번역 퀄리티가 60점대, 잘된 왈도 번역이 80~90점대라고 했다. 이전 번역이 끽해야 40점대였을 것을 감안하면 기술 발전이 확실히 도움이 된 셈이다.[20] 사실 일부 게임 커뮤니티를 제외하면 잘 안 알려졌지만 유니티(구버전)나 RPG Maker 등처럼 변조가 쉬운 툴로 제작된 게임들은 아예 기계번역용 전문 유틸까지 따로 있어서 기계번역이 당일에 나왔다는 것 자체는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스타필드 같은 경우도 기계번역을 만들었다는 것보다는 단시간에 로컬라이징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번역기가 번역할 수 있게 정렬하고 다시 리팩한 유저들의 프로그래밍 실력이 대단하다고 할 수 있다. 번역기와 AI 기술이 굉장히 발전해 기계번역 한패가 흔해진지는 꽤 되었지만 AAA 게임에 적용된 사례는 없어서 아는 사람들만 알고 있던 사실이었는데 스타필드와 바로 전의 발더스 게이트 3으로 인해 이런 분야에 관심이 없던 유저들도 기술 발전의 그 편린을 알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21] 게임 외에도 상황은 별로 다르지 않은데 동영상도 Whisper 등을 사용해 자동 자막을 생성하고 이 자막을 바로 DeepL로 번역하는 유틸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냥 아무 동영상이라도 해당 툴을 사용하기만 하면 바로 기계번역 자막을 제작하는 게 가능하다. 다만 외국어 음성을 한국어 텍스트를 변환할 뿐 영상 자막으로써 보기 편하게 편집을 해야 하는 건 다른 문제.[22] 사진 모드 이미지를 이 경로에서 불러오느라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