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계획은 취소 또는 무산되었습니다.
본 문서 또는 문단에서 다루는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취소 또는 무산되었습니다.
본 문서 또는 문단에서 다루는 계획은 본래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취소 또는 무산되었습니다.
리버풀 FC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231f20,#ffffff | 개요 | <colbgcolor=#d00027> 산하 구단 | 리버풀 FC|리버풀 FC 아카데미|리버풀 FC 위민 | |
선수단 | 스쿼드|스쿼드(간략)|아카데미 스쿼드 | |||
스태프 | 보드진 및 스태프 | 아카데미 스태프 | |||
소유주 | 펜웨이 스포츠 그룹 | |||
역사와 문화 | 역사 | 역사|기록과 통계|상대 전적|상징|엠블럼|유니폼 | ||
주요 인물 | 레전드|역대 회장 및 구단주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원 클럽 맨|최다 출장|최다 득점|최다 도움|개인 수상자|올해의 선수|리그 득점왕 | |||
역대 시즌 | 2004-05|2005-06|2006-07|2007-08|2008-09|2009-10|2010-11|2011-12|2012-13|2013-14|2014-15|2015-16 /리그|2016-17 /리그|2017-18 /리그|2018-19 /리그 /UCL|2019-20 /리그|2020-21 /리그|2021-22 /리그 /FA컵 /EFL컵|2022-23 /리그|2023-24 /리그 /EFL컵|2024-25 /리그 | |||
우승 기록 | 1부 | 1900-01, 1905-06, 1921-22, 1922-23, 1946-47, 1963-64, 1965-66, 1972-73, 1975-76, 1976-77, 1978-79, 1979-80, 1981-82, 1982-83, 1983-84, 1985-86, 1987-88, 1989-90, 2019-20 | ||
2부 | 1893-94, 1895-96, 1904-05, 1961-62 | |||
FA컵 | 1964-65, 1973-74, 1985-86, 1988-89, 1991-92, 2000-01, 2005-06, 2021-22 | |||
EFL 컵 | 1980-81, 1981-82, 1982-83, 1983-84, 1994-95, 2000-01, 2002-03, 2011-12, 2021-22, 2023-24 | |||
커뮤니티 실드 | 1964, 1965, 1966, 1974, 1976, 1977, 1979, 1980, 1982, 1986, 1988, 1989, 1990, 2001, 2006, 2022 | |||
UEFA 챔피언스 리그 | 1976-77, 1977-78, 1980-81, 1983-84, 2004-05, 2018-19 | |||
UEFA 유로파 리그 | 1972-73, 1975-76, 2000-01 | |||
UEFA 슈퍼컵 | 1977, 2001, 2005, 2019 | |||
FIFA 클럽 월드컵 | 2019 | |||
서포터즈 | The Kopite | |||
응원가 | 응원가 목록|You'll Never Walk Alone|Allez, Allez, Allez | |||
관련 정보 | 더비 매치 | |||
사건 사고 | 힐스버러 참사|헤이젤 참사 | |||
기타 | 붉은 제국|부트 룸|이스탄불의 기적|안필드의 기적|제토 라인|마누라 라인|여담 | |||
구단 시설 | 경기장 | 안필드(1892~현재) | ||
훈련 시설 | AXA 트레이닝 센터|AXA 멜우드 트레이닝 센터 | |||
기타 | 연고지 | 리버풀 | ||
스폰서 | 스탠다드차타드(메인 스폰서)|나이키(키트 스폰서)|익스피디아(슬리브 스폰서)|AXA(트레이닝 스폰서) |
|
스탠리 파크 스타디움 Stanley Park Stadium |
1. 개요
2006년 당시 리버풀 FC가 신축하려고 계획했던 경기장. 안필드 바로 옆의 스탠리 파크 부지를 개발하여 건축될 계획이었기에 '스탠리 파크 스타디움'이라는 가칭으로 불렸다.하지만 리버풀이 기존 홈구장인 안필드를 증축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건설은 무산되었다.
2. 경과
2.1. 1차 신축 계획
2000년대에 들어서며 리버풀은 늘어나는 국제적 인기와 경기 수요에 의해 홈 구장 확장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했다. 이에 구단은 2002년 5월, 안필드를 대체하는 55,000명 규모의 신구장에 대한 초기 논의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후 2003년 2월, 리버풀은 맨체스터에 기반을 둔 건설사 AFL Architects에 설계를 의뢰하여 설계안을 마련하였고, 신구장 계획안을 리버풀 시의회로부터 허가받게 되었다.신축 경기장 부지는 안필드에서 300야드(270m) 떨어진 인접 공원인 스탠리 파크를 활용하는 방안이 채택되었다. 이에 신구장은 잠정적으로 '스탠리 파크 스타디움'이름으로 불렸다. 그러나 스탠리 파크 부지를 확보하는 과정은 그리 순탄하지는 않았다. 리버풀 시의회는 당시 머지강 인근 부두들을 재개발하는 사업을 시행 중이었기에 처음엔 구단에 킹스 도크 부지에 구장을 지을 것을 제안하였다.[1] 그러나 해당 부지는 약 5만 명 가량의 수용인원을 가진 경기장에 적합할 것으로 예상되는 비교적 좁은 부지였기에 제안은 거절되었다. 리버풀의 단장이었던 릭 페리는 스탠리 파크 남동쪽 부지[2]가 최적의 부지임을 시의회에 강조했으나, 스탠리 파크는 지역 주민들을 위한 중요한 공원 부지였기에 많은 반발들이 있었다. 결국 릭 페리는 신구장을 리버풀 시내가 아닌 머지사이드의 인근 자치구로 옮길 수도 있다며 압박을 가했고, 시의회는 마지못해 해당 부지를 리버풀에게 999년간 임대하는 안을 승인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리버풀은 자금난으로 인해 신구장 계획 허가를 받았음에도 공사를 시작하지조차 못했다. 2006년에 스탠리 파크 스타디움이 완공되는 것이 당초의 계획이었으나, 완공 날짜가 지났음에도 준공조차 기약없이 계속해서 연기되었다. 결국 당시 리버풀의 회장 데이비드 무어스는 신구장 사업을 포함한 여러 구단 사업들을 감당하는 것에 재정적 한계를 느끼던 중, 미국의 자본가들로부터 제안을 받아 구단을 매각하게 된다.
2.2. 2차 신축 계획
2007년 2월 6일, 미국의 사업가 조지 질레트 주니어와 톰 힉스가 리버풀을 인수했고, 그들은 인수 후 60일 이내에 신구장 공사의 첫 삽을 뜨겠다며 신구장 사업이 구단의 최우선 과제임을 천명했다. 이에 2003년에 머물러 있던 신축 계획이 재설계되기 시작했다. 새로운 구단주들은 최초 AFL Architects가 설계했던 수용인원 55,000명 규모의 기존 설계안 대신, 60,000명 이상의 새로운 설계안을 공모했다. 이에 미국 텍사스에 위치한 건설사 HKS, Inc.로부터 새로운 설계안이 제안되었다. |
AFL의 '뉴 안필드' 설계안 |
|
HKS의 일명 '우주선' 설계안 |
HSK가 설계한 스탠리 파크 스타디움은 최초 60,000명을 수용하되 이후 75,000명까지 증축이 가능한 구조였고, 18,500석 규모의 단층 홈 서포터 스탠드를 갖춘 매우 미래지향적인 디자인으로 일명 '우주선(Spacsship)'이라고 불렸다. 건설 비용은 약 4억 파운드로 추산되었다. 최종적으로는 HSK의 설계안이 시의회에 제출되어 허가를 받았다. 이전에 설계를 맡았던 AFL 또한 '뉴 안필드'라는 가칭의 수정된 설계안을 제출했는데, 이는 60,000명에서 최다 73,000명 규모로 확장된 것이었으며 흡사 웸블리 스타디움을 연상케하는 아치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건설 비용은 약 2억 9천만 파운드로 추산되었다. 하지만 AFL의 재설계안은 최종 허가를 위해 제출되지 않고 보류되었다.
그러나 더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새로운 설계안이 채택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신구장 건축 자금이 어떻게 조달될 수 있는지에 대한 계획은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었다. 2008년 5월 15일, 리버풀의 메인 스폰서였던 칼스버그가 경기장 네이밍 스폰서십에 관심을 표하며 '칼스버그 안필드'라는 명칭이 제안되었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공식적인 계약이 진행되지는 않았고, 여전히 재정적인 의문은 뒤따랐다. 그러나 두 구단주들은 신구장을 자신하며 2008년 6월 19일에 시의회로부터 신구장의 설계에 대한 최종 허가를 받았고, 2008년 6월 24일에 소규모 부지 개발에 나서겠다고 알렸다. 신구장이 지어지면 안필드는 철거되어 안필드 부지는 '안필드 플라자'라는 이름의 호텔, 레스토랑 및 업무 공간으로 재개발될 예정이었다.
하지만 2008년 10월 5일, 결국 구단은 미국에서 시작된 세계금융위기의 여파를 이유로 신구장 건설이 지연된다고 발표했다. 두 구단주 질레트와 힉스는 사실 자체적으로 조달할 자금줄이 없는 반쪽짜리 자본가였고, 리버풀을 인수할 당시의 자금 또한 은행 대출을 통해 조달한 상태였다. 금융 시장이 대침체로 들어서자 두 구단주들은 높아지는 금리에 허덕이며 재정 상황을 악화시켰다. 결국 그들은 구단 인수 이후 곧장 신구장 공사에 착수하겠다는 약속을 지키는 것은 고사하고, 스탠리 파크 스타디움 건설에 필요한 자금 조달은 커녕 구단을 파산 위기로 몰아넣었다. 결국 2010년 중반에 이르자 리버풀은 두 구단주들이 양산한 막대한 부채로 정상적인 구단 운영 또한 불가능할 정도로 심각한 재정 위기에 처했다. 이에 2010년 10월, 존 헨리가 소유한 스포츠 전문 투자 기업 펜웨이 스포츠 그룹(FSG)이 위기에 빠진 리버풀을 인수하게 되었다.
2.3. 신축안 폐기 및 안필드 증축
새로운 구단주 FSG의 수장 존 헨리는 리버풀 인수 이후, 구단의 홈 구장이 확장되어야 한다는 사실에는 강력하게 동의했지만, 신구장 계획을 이어가기 보다는 안필드 재개발을 포함한 모든 옵션을 검토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과거 시의회의 허가를 받았던 AFL의 수정 설계안과 HSK의 최종 설계안은 영구적으로 폐기되었다. 이후 2018 FIFA 월드컵 유치전에 잉글랜드가 관심을 보이면서, 국고비를 지원받아 신구장을 짓자는 계획도 제안되었으나, 결국 러시아가 2018 러시아 월드컵을 개최하게 됨으로서 이러한 방안도 무산되었다.2012년 10월, 결국 FSG는 안필드를 증축하여 수용인원을 6만석 가량으로 증축하는 계획을 발표했고, 일명 '스탠리 파크 스타디움'이라고 불린 리버풀의 신구장 계획은 약 10년 동안 많은 계획들이 오갔으나 결국 첫 삽을 뜨지도 못하고 완전히 폐기되고 말았다. FSG측은 안필드의 경기를 관람한 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안필드의 분위기를 다른 구장에서 재현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며 이와 같은 결정을 설명했다.[3] 이에 신구장 건설시 철거될 예정이었던 안필드는 스탠드 증축을 포함한 대대적인 재개발 국면에 접어들게 되었다. 시의회의 허가와 부동산 문제 등으로 시간은 오래 걸렸으나 결국 2014년에 허가를 받아 2016년에 안필드의 메인 스탠드가 대규모 증축되었으며, 2024년에는 안필드 로드 엔드 스탠드까지 증축되었다. 이에 현재 안필드의 수용인원은 61,000명을 넘긴 상태다.
3. 적과의 동침?
신구장 계획의 초기 단계에서 머지사이드 더비 라이벌인 에버튼 FC과 신구장을 공유하는 방안이 리버풀 시의회로부터 제안되기도 했다. 2000년대 초중반부터 에버튼 또한 계속해서 확장의 필요성을 느껴 신구장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리버풀 시내 부지 확보가 어려워 스탠리 파크 남동쪽을 두 구단이 함께 사용하면 여러모로 시의회 입장에서는 문제를 덜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또 양 구단이 모두 신구장 계획만 있을 뿐 재정 문제로 공사를 시도하지 못하는 상황이었기에 건축 비용을 부담하면 신구장을 지을 수 있지 않겠느냐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양 팀의 서포터들은 물론, 양 구단 보드진들이 해당 방안을 전혀 반가워하지 않았기에 이러한 제안은 자세히 거론조차 되지 못했다. |
요하임 자도우에 의해 제안된 스탠리 파크 샴쌍둥이 스타디움 |
그러나 2010년에 이르기까지 양 구단이 모두 신구장 사업을 시도도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계속해서 구장 공유 안건이 입방아에 올랐고, 2010년 여름에는 요하임 자도우(Joachim Zadow)라는 지역 건축가에 의해 스탠리 파크에 나란히 붙은 두 구장을 건설하자는 '샴쌍둥이 스타디움(Siamese stadium)' 제안까지 등장했다.[4] 이는 스탠리 파크 부지 내 50,000석 규모의 에버튼 구장을 북쪽에, 60,000석 규모의 리버풀 구장을 남쪽에 나란히 배치하는 설계였다. 해당 설계는 두 구장이 별개의 라커룸과 박물관 등의 구단 시설을 보유하지만, 연결되는 부분에 공유 시설을 가지게 되며, 여기에 각 경기장 피치를 관람할 수 있는 호텔 객실을 추가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구조였다. 실제로 이 설계안은 에버튼 보드진에게 제안되어 회의가 열리기도 했으나 결국 비판 여론에 의해 구체화되지는 못했고, 이후 리버풀을 새롭게 인수한 FSG에게도 제안되었으나 그 어떤 답변도 받지 못해 무산되었다.[5]
4. 관련 문서
[1] 시의회는 에버튼 FC에게도 같은 제안을 했고, 에버튼은 이 제안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물론 에버튼의 신구장 계획도 여러차례 연기되며 킹스 도크 부지엔 어떤 구장도 들어가지 못했다. 그러나 오랜 시간이 지난 후 인근 재개발 부두에 결국 에버튼 스타디움이 들어서게 된다.[2] 스탠리 파크 북서쪽 부지는 빅토리아 시대의 유물들이 위치하고 있어 건축이 불가능했다. 에버튼이 최초에 구디슨 파크와 인접한 스탠리 파크 북서쪽 부지를 고려하였으나 해당 이유로 바로 계획을 수정했다.[3] 존 헨리는 보스턴 레드삭스의 100년이 넘은 홈구장인 펜웨이 파크도 신축 대신 리모델링을 선택했다. 다만 이때는 신축 경기장 건설 반대를 하는 팬들의 의견을 수렴한 것이고 리모델링 비용만 신축 경기장 건설 비용에 맞먹는(2002년 당시 기준) 3억 달러를 투자해서 앞으로 100년간은 끄떡없는 경기장이 되었다.[4] 자도우의 제안이 리버풀 에코에 보도되었는데, 에코의 기자가 'Siamese stadium'라는 가칭을 붙였다.[5] 만약 리버풀과 에버튼이 모두 이 안건에 동의를 했더라도 시의회의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을지는 미지수이며, 각 서포터들의 여론이 좋았을 것이라 생각하기 힘들다. 실제로 당시 리버풀 에코에 의해 해당 안건이 보도되었는데, 여론이 좋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