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2-07 21:45:17

신필청

남인
南人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동인
선조
(1575 ~ 1608)
이황 정개청 김명원 김성일 류성룡
우성전 정구 김응남 이원익 심희수
허성 윤승훈 신식 이광정 신용
이덕형 정경세 정온 이성구 이준
광해군 - 인조
(1608 ~ 1649)
근기남인 (북인) 영남남인
정구 장현광 윤선도 윤휴 이현일
이하진
효종 - 숙종
(1649 ~ 1720)
윤선도 허목 민희 민점 윤휴
목내선 류형원 이서우 김덕원 민암
이의징 신경제 이운징 신필청 장희재
청남 탁남
허목 홍우원 윤휴 허적 권대운
이원정 오시수 오정창 류혁연 허견
경종 이후
(1720 ~ )
실학 (중농학파) 탁남
이익 이중환 류득공 정사효 이인좌
청남
신서 공서(벽파)
채제공 이가환 이승훈 신후담 안정복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홍낙안 목만중
세도 정치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1. 개요

조선 후기의 문신. 는 청지(淸之). 는 죽헌(竹軒). 본관은 고령(高靈).

2. 생애

신필청(申必淸)은 1647년(인조 25)에 태어났으며, 황해도관찰사를 지낸 하은 신용(申涌)의 증손이다.

1684년(숙종 10) 문과에 장원급제하였는데 예전에 신필청이 유현(儒賢)을 욕되게 하였을 뿐 아니라 권대하(權大夏)의 무리와 인조(仁祖)를 비방하고 깎아내리면서 상대적으로 광해군(光海君)을 포양(褒揚)하였다는 이유로 과거급제자에서 빼자는 논의가 있었으나 숙종이 불윤하고 신필청을 성균관 전적에 제수하였다.

1691년(숙종 17) 1월 3일 사간원 정언에 제수되어 당쟁에 익숙해진 선비들이 과거를 보는 폐단에 대해 상소를 올렸다. 3월 4일 병조좌랑에 제수되었고, 3월 18일 부령추고경차관(富寧推考敬差官)으로 파견되었다가 4월 12일 병조정랑에 제수되었다. 7월 3일 경상도사로 나갔다가 8월 6일 사간원 정언에 제수되었다.

1696년(숙종 22) 5월 27일 남원현감으로 나갔는데 기근(饑饉)이 들어 성의를 다해 진휼(賑恤)하였다. 그리고 호족들이 멋대로 권세를 부리는 민폐를 통제하여 금지하였는데, 이듬해 호족들의 모함으로 파직되었다. 가을에 문과 중시(重試)에 합격하였고, 10월 5일 직첩을 돌려받았다.

1703년(숙종 29) 가을에 무고연(無故宴)을 열었는데, 이날 파주목사에 제수하는 교지를 받고 축배를 들었다. 파주를 다스린 지 4년만에 돌아왔다. 1707년(숙종 33) 8월 10일 영남(嶺南)의 전지(田地)를 점검하라는 명을 받고 경상좌도재상경차관(慶尙左道災傷敬差官)으로 파견되어 일을 마치고 11월 28일 돌아왔다.

1708년(숙종 34) 5월 16일 통례원 우통례에 제수되었으나 낙향하였다. 6월 5일 이동언 옥사(李東彦 獄事)에 관련되어 하옥되었다가 7월 4일 석방되었다. 10월 8일 순흥부사에 제수되어 4번 향시(鄕試)를 관장하였다.

1710년(숙종 36) 11월 12일 순흥부 관사에서 세상을 떠났으며, 저서로는 《죽헌집(竹軒集)》이 있다.

사위가 대표적 실학자인 성호 이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