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3-05 12:12:28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0

파워풀 프로야구 시리즈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파일:external/cdn.img-conv.gamerch.com/1413966958001.jpg
본가 시리즈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4
(1994년, SF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
(1995년, SF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3
(1996년, SF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4
(1997년, N64)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5
(1998년, N64)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6
(1999년, N64)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7/결정판
(2000년, PS2)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8/결정판
(2001년, PS2)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결정판
(2002년, PS2/NG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0/
초결정판 2003 메모리얼
(2003년, PS2/NG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1/초결정판
(2004년, PS2/NG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2/결정판
(2005년, PS2/NG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3/결정판
(2006년, PS2)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4&Wii/결정판
(2007년, PS2/Wii)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5/
2009&NEXT
(2008/2009년, PS2/Wii)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0
(2010년, PS3/PSP)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1/결정판
(2011년, PS3/PSP)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2/결정판
(2012년, PS3/PSP/PS Vita)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3
(2013년, PS3/PSP/PS Vita)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4
(2014년, PS3/PS Vita)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6
(2016년, PS4/PS3/PS Vita)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18
(2018년, PS4/PS Vita)
eBASEBALL 파워풀 프로야구 2020
(2020년, PS4/Switch)
eBASEBALL 파워풀 프로야구 2022
(2022년, PS4/Switch)
파워풀 프로야구 2024-2025
(2024년, PS4/Switch)
서브 시리즈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5/'95 개막판
(1995년, PS1/SS)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6 개막판 (1996년, SF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6/'EX
(1996년, 시스템 573)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7 봄
(1997년, SF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7 개막판/S
(1997년, PS1/SS)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Basic판 98
(1998년, SFC)
파워프로 GB
(1998년, GB)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8 개막판/결정판
(1998년, PS1)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99 개막판/결정판
(1999년, PS1)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Dreamcast Edition
(2000년, D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00
(2000년, N64)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00 개막판/결정판
(2000년, PS1)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01/결정판
(2001년, PS1)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Basic판 2001
(2001년, N64)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2002 봄
(2002년, PS1)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Premium Edition
(2003년, PS1)
실황 파워풀 메이저리그
(2006년, PS2/NGC)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2006년, PSP)
실황 파워풀 메이저리그 2
(2006년, PS2/Wii)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2
(2007년, PSP)
실황 파워풀 메이저리그 3
(2007년, PS2/Wii)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3
(2007년, PSP)
실황 파워풀 메이저리그 2009
(2007년, PS2/Wii)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포터블 4
(2009년, PSP)
파워프로 석세스 레전드
(2010년, PSP)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WBC 2013
(2013년, iOS/Android)
파워프로 스타디움
(2013년, PS3/PS Vita)
파워프로 사쿠사쿠세스
(2013년, iOS/Android)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모바일)
(2014년, iOS/Android)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BALL☆SPARK
(2016년, 아케이드)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석세스 스페셜
(2016년, PS4/PS3/PS Vita)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히어로즈
(2016년, 3DS)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eBASEBALL
(2019년, Switch)
WBSC eBASEBALL: POWER PROS
(2023년, PS4/Switch)
기타 작품
모바일 파워풀 석세스
(2008년, 모바일)
파워풀 프로야구 KBO '09
(2009년, 모바일)
파워풀 프로야구 KBO '10
(2010년, 모바일)
파워풀 프로야구 파워풀 고교편
(2021년, WEB 애니메이션)
}}}}}}}}}


작화감독 키가미 요시지
오프닝 테마
제목Catch Up Dream!
가수ASACO
작사ASACO
작곡히로노 토모아키, 사토 나오유키
편곡쿠로미츠 켄고



1. 소개2. 석세스 모드
2.1. 등장 인물

1. 소개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10번째 시리즈. 2003년 7월 17일 발매. 플레이스테이션 2로 발매된 네번째, 게임큐브로 발매된 두번째 작품이다. PS2판은 전작까지는 매체가 CD였지만 본작부터 DVD로 변경되었으며, 게임큐브판은 본작부터 저장하려면 반드시 메모리 카드 251 이상이 필요하다(세이브 데이터가 95블록을 차지하기 때문에 메모리 카드 59는 저장 불가)

9편과 더불어 실황야구의 전성기의 작품. 9편보다는 아니였지만 석세스의 스토리나 인기도 좋았으며 오프닝도 더 이상 설명이 필요없을만큼 고퀄리티.[1] 로고에 살짝 변동이 있었다(実況자의 폰트 변동). 실황 해설자가 9의 츠지 요시나리에서 카와지 나오키(河路直樹)로 교체되었다.

도쿄돔 시절의 닛폰햄 파이터즈가 이 시리즈를 마지막으로 사라진다. 마이라이프에서 2004년 홋카이도 삿포로 돔으로 이전하는 이벤트가 발생하지만 구단기, 구단명, 유니폼은 안 바뀌고 그대로 나온다.

시스템 상으로는 실황 시리즈의 밥줄인 마이라이프가 첫 등장한 작품. 다만 10의 마이라이프는 특유의 교류나 취미생활 등이 없는, 연습->경기를 반복하는 단순한 모드에 가까웠다. 차기작인 11부터 특유의 시스템이 추가된다.

대결! 전설선수라는 모드가 있는데 OB들과 대결하는 모드로, 각 시대별 투수나 타자들을 계속해서 상대해가는 모드. 상대해서 이긴 선수는 사용이 가능해지며, 본작에서 OB를 해금하는 방법은 이 모드를 플레이하는 것 뿐이다. 여담으로 마지막 시대인 80~90년대 OB투수에는 선동열도 등장한다. 이 모드는 차기작인 11에는 없어졌다가 11 초결정판에서 다시 추가되었고, 이후로는 더이상 등장하지 않고 있다.

여담으로 10의 석세스 모드의 시합 음악은 많은 팬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다만, 초결정판에서는 음악이 바뀌었다(마이라이프에서는 변경없이 그대로 나온다).

참고로 결정판은 시리즈에서 최초로 초결정판에 유일하게 메모리얼 작품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나왔는데 그 이유가 별게 아니다. 이 작품이 발매된 2003년 1985년 우승 이후 오랜기간동안 우승을 맛보지 못하고 암흑기를 겪어야 했던 한신 타이거스가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며 기나긴 암흑기를 청산하고 18년만의 센트럴 리그 우승을 했기 때문에 한신빠심이 강한 제작진이 그걸 기념하기 위해 거창하게 타이틀을 붙여버린것(...) 이 한신빠심을 한눈에 볼수 있는게 결정판은 원래대로라면 그 시즌의 일본시리즈 우승팀이 있는 리그가 팀 선택시 가장 앞에 위치해야 하는데 이 작품만큼은 한신이 가장 앞에 위치해 있다. 게다가 한신 우승 버프인건지 다른 팀에 비해 한신선수들이 실제 성적에 비해 유독 튀게 능력치가 높게 설정되어있기도 하다.[2] 이 초결정판은 11까지 이어졌는데 그다지 반응이 좋지 않아서였는지 12부터는 그냥 결정판이라는 타이틀로 돌아갔다.

개막판 한정으로 양 플랫폼 모두 네트워크망을 통한 선수의 업로드/다운로드를 지원하였다(2020년 현재는 이미 서비스 종료). 게임큐브에서 네트워크 기반 선수 업/다운로드를 지원하는 시리즈는 본작이 유일무이하다(다음 지원작인 11 초결정판은 PS2만 지원). 또한 게임큐브의 모뎀 어댑터(56kbps 전화 모뎀)를 지원하는 단 둘밖에 없는 게임 중 하나이다(나머지 하나는 판타시 스타 온라인).

OST는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파워프로 음악관 2'이라는 명칭으로 발매되었다. 본작 이외에도 6, 99, 2000(N64), 2000(PS1)의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덤으로 PS1판 "실황 파워풀 프로야구 Premium Edition" 이라는 이름으로 이식하여 발매한 최후의 작품.

그 이후로 PSP/PS Vita 등으로 휴대용 게임기에 서브 시리즈 이식을 내놓는다.
하지만, 휴대용 게임기는 2018이 마지막을 하였고 이후 타기종인 닌텐도 스위치로 발매[3] 된다.

2. 석세스 모드

파일:pawa10.jpg

석세스는 프로야구편이지만, 실존 구단에 들어갔던 이전작들과는 다르게 '가상의 구단이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퍼시픽 리그에 각각 두 팀씩 창단되었다' 라는 설정으로 해당 팀들만 선택이 가능하다[4]. 해당 팀들의 명칭은 간바리[5] 파워풀즈, 이카리 카이저스[6], 맛타리 캣 핸즈, 극악 양키즈. 그리고 초결정판에서는 석세스 올스타즈가 추가되었다.

파워풀즈는 파워라는 말이 들어갔음에서 알 수 있듯이 전통적으로 선수 키우기는 보통인 곳, 캣 핸즈는 스폰서 기업이 도산해버려서 파워프로군이 스스로 새 스폰서 기업 협상에 찾아가는 전대미문의 시나리오. 양키즈는 다른 팀에서 선수와 팀을 '임대'해 올 수 있는 시스템이 있고[7], 이카리 카이저스는 아카츠키 고교 및 대학에서 나온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테스트가 있다.

그리고 초결정판에 등장하는 석세스 올스타즈는 나만의 구단과 같은 방식으로 매니저[8]를 선택하고, 역대 석세스의 오리지널 선수들을 영입해 일본시리즈 우승까지 향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9]

2세대 캐릭터인 토모자와 료타치바나 미즈키가 첫 모습을 보인 작품. 아직 세계관 면에서는 이카리 마모루가 라이벌인 1세대이기 때문에 토모자와와 미즈키는 파워프로군의 후배로 등장한다.

2.1. 등장 인물



[1] 8부터 11까지는 교토 애니메이션에서 오프닝·엔딩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다.[2] 대표적으로 .340의 타율로 미트 A를 부여받은 이해 센트럴리그 수위타자(타율 1위) 이마오카 마코토(今岡誠). 이 당시 능력치 책정 기준이라면 최소 .345는 넘겨야 미트 A를 부여받았는데 이마오카는 우승빨+수위타자 보정으로 미트 A에 찬스 5라는 사기적인 능력치를 자랑한다.[13] 그외에 규정타석도 못채우고 3할도 못넘겨서 원래대로라면 미트 D를 부여받아야 하는 카타오카 아츠시(片岡篤史) 역시 미트 C로 책정기준을 넘어선 능력치를 부여받았다. 그 외에도 전체적으로 투타를 안가리고 특수능력이 덕지덕지 붙어있는것은 덤.[3] 닌텐도 64 이후 18년만에 파워프로 시리즈가 이식[4] 이후 14에서 이 네팀들이 세리그/파리그에서 분리되어 신규 창단된 두 팀과 함께 '레볼루션 리그'라는 새로운 리그가 탄생하여 3대 리그제로 운영한다는 설정이 되었다.[5] 일본말로 힘내라(頑張)[6] 참고로 영어 철자가 우리가 아는 이 Kaiser가 아니라, 이 Keyser인데, 발음이 똑같은 것을 이용한 언어유희다. 실제로 미국 웨스트 버지니아 주에 이 이름을 가진 도시가 있다.[7] 때에 따라서 이카리 마모루하야카와 아오이와 같은 선수들을 임대할 수 있다.[8] 후보는 카토 쿄코, 파워프로군 포켓1, 파워프로군 포켓3의 히로인 요미치 사토미, 파워프로 2001에 등장했던 나기사, 히메노 카렌 4명.[9] 전작의 결정판의 타마하치 고교와 똑같은 방식인데 지면 무조건 끝이다. 다만 시합에서 져도 원하는 팀으로 스카우트가 된다.[10] 99 사회인 야구편에 등장한 민들레 제작소가 스폰서 기업이였다[11] 쉽게 얘기해 팀 분위기 상으로 주장으로 볼 수 있다.[12] 실제로 한다는 수비에도 엄청난 실력자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