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베를린 영화제 | ||||
| ||||
황금곰상 | ||||
제62회 (2012년) | → | 제63회 (2013년) | → | 제64회 (2014년) |
시저는 죽어야 한다 | → | 아들의 자리 | → | 백일염화 |
아들의 자리 (2013) Poziția Copilului Child's Pose | |
| |
<colbgcolor=#4A7A90><colcolor=#fff> 장르 | 드라마 |
감독 | 칼린 피터 네쳐[1] |
각본 | 칼린 피터 네쳐 러즈반 라두레스쿠 |
제작 | 아다 솔로몬 |
주연 | 루미니타 게오르기우 보그단 두미트라체 |
촬영 | 안드레이 부티카 |
편집 | 다나 부네스쿠 |
미술 | 말리나 이오네스쿠 |
의상 | |
제작사 | |
수입사 | |
배급사 | |
개봉일 | |
화면비 | 2.35 : 1 |
상영 시간 | 1시간 52분 |
제작비 | 85만 유로 |
월드 박스오피스 | $994,126 |
북미 박스오피스 | $97,170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54명 |
상영 등급 |
1. 개요
칼린 페터 네쩌 감독 및 각본, 루미니타 게오르기우, 보그단 두미트라체 주연의 2013년작 루마니아 영화.제63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황금곰상 수상작.
한국에서는 개봉이 예정되었으나, 흥행 저조 우려가 있었는지 결국 직행했다.
2. 예고편
▲ 예고편 |
3. 시놉시스
60세에 접어든, 코넬리아는 34세인 아들 바르브가 독립을 하자 행복하지 않다. 바르브는 여자친구가 있지만 그 역시 가능한한 어머니를 피하고 싶어 한다. 어느날 바르브는 교통사고를 내게 되고, 어머니는 그것이 다시 아들이 삶에 개입할 수 있는 기회로 여긴다. 아들이 징역형을 피할 수 있도록 그는 부패한 이들에 대한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하여 아들을 도와주는데...
4. 등장인물
- 루미니타 게오르기우 - 코넬리아 케네레스 역
- 보그단 두미트라체 - 바르브 역
- 블라드 이바노프 - 디누 라우렌티우 역
- 플로린 잠피레스쿠 - 돔눌 파가라사누 역
- 이리나 고이아 - 카르멘 역
- 나타사 랩 - 올가 세르체즈 역
- 미미 브래네스쿠 - 경찰관 역
- 애드리언 티티에니 - 아버지 역
5. 줄거리
6. 사운드트랙
7.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IMDb=tt2187115, IMDb_user=7.3,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childs_pose, 로튼토마토_tomato=92, 로튼토마토_popcorn=76,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childs-pose, 메타크리틱_critic=77, 메타크리틱_user=6.7,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childs-pose, 레터박스_user=3.7,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16838, 알로시네_presse=3.5, 알로시네_spectateurs=2.7,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Filmarks=54936, Filmarks_user=3.3,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10553750, 도우반_user=7.4,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OARaXd, 왓챠_user=3.4,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4057, 키노라이츠_light=, 키노라이츠_star=,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MRQE=childs-pose-m100106331, MRQE_user=78, ## MRQE_highlight=display,
TMDB=160118-pozitia-copilului, TMDB_user=67,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childs-pose, 무비파일럿_user=6.4,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씨네21=40924, 씨네21_expert=, 씨네21_user=, ## 씨네21_highlight=display,
It isn't necessarily an easy watch, but thanks to Netzer's interesting direction and a riveting performance from Gheorghiu, Child's Pose is rewarding.
쉽게 관람할 수 있는 작품은 아니지만, 칼린 페터 네쩌 감독의 흥미를 돋구는 연출력과 루미니타 게오르기우의 뛰어난 연기 덕분에 <아들의 자리>는 관람 끝에 값진 보상을 건네는 작품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쉽게 관람할 수 있는 작품은 아니지만, 칼린 페터 네쩌 감독의 흥미를 돋구는 연출력과 루미니타 게오르기우의 뛰어난 연기 덕분에 <아들의 자리>는 관람 끝에 값진 보상을 건네는 작품이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아들이 살인 혐의를 받자 부유한 어머니는 이를 다시 아들의 삶에 개입할 수 있는 기회로 여긴다. 아들이 징역형을 피할 수 있도록 부패한 이들에 대한 권력과 영향력을 행사하고 정서적, 사회적으로 사람들을 움직이는 활동을 전개한다. <아들의 자리>는 물리적, 심리적으로 자식을 떠나 보내야 하는 부모의 상실감을 소재로 한다. 삼십 대 중반의 아들을 여전히 품속에 두고 싶어 하는 엄마와 그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아들을 중심으로 부모자식의 관계를 짚어본다. 영화 속 엄마의 모습은 낯설지 않다. 다만 이 영화는 인물을 따라가며 그 내면의 뒤틀린 욕구를 응시함으로써, 언젠가 자식을 떠나 보내야 한다는 것을 부정하려는 부모의 마음을 매우 섬세하게 연출해낸다는 점이 돋보인다. 아들을 ‘구원’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엄마 역의 루미니타 게오르기우의 열연이 특히 눈에 띄지만, 아들의 태도 또한 매우 흥미롭다. 인간적 도리의 문제와 관계될 때 병적으로 보이는 모자관계란 생각보다 어느 한 측의 탓으로만 돌릴 만큼 단순치 않다는 것을 영화 말미는 보여준다.
출처 : 2013년 제18회 부산국제영화제 이수원 프로그래머 소개 #
출처 : 2013년 제18회 부산국제영화제 이수원 프로그래머 소개 #
8.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 |||
국가 | 개봉일 |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 기준일 |
전 세계 | (최초개봉일) | $(세계누적) | (기준일자) |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 |||
북미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미정 | 미개봉 | 미정 |
| 미정 | 미개봉 | 미정 |
8.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2]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 날짜 | 일일 관람 인원 | 주간 합계 인원 | 순위 | 일일 매출액 | 주간 합계 매출액 |
개봉 전 | -명 | -명 | 미집계 | -원 | -원 | ||
1주차 | 20XX-XX-XX. 1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XX-XX-XX. 2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3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4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5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6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7일차(화) | -명 | -위 | -원 | ||||
2주차 | 20XX-XX-XX. 8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XX-XX-XX. 9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10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11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12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13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14일차(화) | -명 | -위 | -원 | ||||
3주차 | 20XX-XX-XX. 15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XX-XX-XX. 16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17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18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19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20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21일차(화) | -명 | -위 | -원 | ||||
4주차 | 20XX-XX-XX. 22일차(수) | -명 | -명 | -위 | -원 | -원 | |
20XX-XX-XX. 23일차(목) | -명 | -위 | -원 | ||||
20XX-XX-XX. 24일차(금) | -명 | -위 | -원 | ||||
20XX-XX-XX. 25일차(토) | -명 | -위 | -원 | ||||
20XX-XX-XX. 26일차(일) | -명 | -위 | -원 | ||||
20XX-XX-XX. 27일차(월) | -명 | -위 | -원 | ||||
20XX-XX-XX. 28일차(화) | -명 | -위 | -원 |
8.2. 북미 (미국·캐나다)
8.3. 중국
8.4. 대만
8.5. 일본
8.6. 영국
8.7. 기타 국가
9. 기타
- 루마니아 영화로서는 최초로 황금곰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 이탈리아에서는 개봉 당시 주인공의 성인 케네레스(Keneres)를 잘못 읽어 '케레네스 사건(Il Caso Kerenes)'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했는데, 이 오타가 그대로 굳혀져서 극장 포스터는 물론이고 DVD까지 계속 케레네스라는 오기로 굳혀져 출시되었다.
[1] 이 작품 외에도 아나, 내사랑 등을 감독했다.[2]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