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25 06:29:59

안나(디즈니 캐릭터)


파일:디즈니 프린세스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백설공주 신데렐라 오로라 에리얼 자스민
포카혼타스 뮬란 티아나 라푼젤 메리다 모아나 라야
겨울왕국 프린세스
안나 엘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주연
파일:안나(겨울왕국).jpg
파일:엘사_정령_전신.jpg
파일:겨울왕국2_크리스토프.jpg
파일:겨울왕국2_올라프.jpg
안나 엘사 크리스토프 올라프
스벤
조연
왕과 왕비 트롤 오큰 마시멜로
1편에만 등장
한스 위즐튼의 공작
2편에만 등장
루나드 매티어스 노덜드라인 4대 정령
}}}}}}}}} ||
<colcolor=#fff><colbgcolor=#BF00FF> 안나
Anna
The Fifth Spirit and Queen of Arendelle
파일:안나(디즈니캐릭터).png
출생 6월 20일 ~ 6월 22일 (하지, 쌍둥이자리)[1]
나이 18세[2] → 21세[3]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렌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렌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렌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작위 아렌델의 공주 → 아렌델의 장공주 → 아렌델의 여왕
인물 관계 할아버지 루나드
할머니 리타
아버지 아그나르
어머니 이두나
언니 엘사
연인 → 약혼자 크리스토프
가족+친구 올라프, 스벤
가짜연인 → 적 한스
신체 165cm[4]
좋아하는 것[A] 언니, 크리스토프, 올라프, 아렌델, 스벤, 모든 종류의 초콜릿, 크럼 케이크[6], 트롤들, 모험, 새로운 것을 배우는 것, 생일, 제스처 놀이[7], 기념 행사, 가족의 역사와 전통
싫어하는 것[A] 추위, 늑대, 한스, 닫힌 문, 일찍 일어나는 것, 루테피스크[9]
테마곡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 (같이 눈사람 만들래?)
For the First Time in Forever (태어나서 처음으로)(듀엣곡)
Love Is an Open Door (사랑은 열린 문)(듀엣곡)
Some Things Never Change (변치 않는 건)
The Next Right Thing (해야 할 일)

1. 개요2. 특징
2.1. 비주얼2.2. 성격2.3. 캐릭터성2.4. 변천사
3. 성우4. 작중 행적5. 기타

1. 개요

Wait, What?[10]
잠깐, 뭐?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
같이 눈사람 만들래~?
디즈니 애니메이션 겨울왕국의 주인공이자[11][12] 엘사의 여동생이다.

2. 특징

2.1. 비주얼

<nopad> 파일:5_anna.jpg <nopad> 파일:frozen_anna.jpg <nopad> 파일:안나_평상복전신.png
어린 시절[13] 대관식 복장[14] 평상복[15]
파일:안나_겨울여행복_전신.jpg 파일:2ef013f3c5a0edf12bbdb4fff3880993.jpg 파일:안나겨울.jpg
겨울 여행복 봄 복장 겨울 행사복[16]]
파일:안나가을행사복전신.jpg 파일:안나_가을여행복_전신.jpg 파일:안나_국왕_전신.jpg
가을 행사복 가을 여행복 국왕 복장[17][18]
공식 미인으로, 작중 아렌델을 찾은 손님들, 친언니인 엘사로부터 직간접적으로 아름답다고 언급된다. 금빛을 띤 주황색 머리카락[19]청록색에 해당하는 녹안[20]을 갖고 있다. 또한 눈매가 위로 올라가 있고 눈끝이 뾰쪽하며 쌍꺼풀을 지니고 있고 뺨과 어깨에 주근깨가 있다.

헤어스타일은 앞머리가 있으며 평상시에는 땋은 양갈래나 반묶음을, 공식 석상에서는 올림 머리를 한다. 1편에서는 엘사의 마법 때문에 하얀 브릿지가 있었다. 반묶음은 2편부터 하게 된 헤어로, 초반부 파자마 착장 때에는 양갈래를 하고 있고 초상화 속에서는 반묶음을 하고 있어 평상시 두 헤어를 번갈아 함을 알 수 있다.
의상은 공통적으로 단정하고, 라인이 깔끔한 특징을 가진다. 주로 상의는 자켓 형식 혹은 어깨를 덮는 망토를 착용하며, 하의는 폭이 풍성한 A라인 드레스 혹은 A라인으로 트여 안에 바지를 착용한다. 일반적으로 녹색 계열의 의상을 넓은 스펙트럼[21]으로 가장 많이 착용하며, 아렌델 밖을 나서는 모험을 떠날 때에는 자주색 계열의 의상을 착용한다.[22] 안나와 엘사의 의상은 난색-한색, 검정-하양, 무거운 재질-가벼운 재질로 크게 대비가 된다. 안나의 거의 모든 의상에 들어가 있는 검은색 부분은 공식 아트북에 의하면 안나의 단단한 코어를 의미한다.

2.2. 성격

고운 심성에 밝고 긍정적이며 적극적이고 내면이 강인한 성격이다. 특히 밝은 모습은 뉴 웨이브 프린세스들의 모습을 이으며[23], 여러모로 이질적이며 어두운 엘사와 대비된다. 초반에는 진정한 로맨스를 동경하는 어린 면모를 보이며, 이는 후술할 애정 결핍이 원인으로, 오랜 시간 언니의 외면을 받고 부모도 잃은 채 성에 갇혀 있다 사람을 만날 유일한 기회가 생기자 '오늘 하루 뿐'이라며 여느 공주들보다도 더 간절한 모습을 보인다.[24] 작중 여정을 통해 초반의 어린 모습은 거의 다 없어지는데, 상대방과의 애정 관계에 있어 적극적인 역할인 것은 변함없다. 특히 언니인 엘사에 대한 사랑은 아주 각별해서 이유도 모른 채 13년 동안 외면당하고, 대관식에서 크게 싸우고, 위험한 능력에 대해 알게 되고, 심지어 그 능력에 맞아 죽을 뻔한 등 사이가 많이 틀어져도 이상하지 않은 사건에 계속 휘말렸는데도 조금도 변치 않는다. 오히려 작중 유일하게 다른 이들의 오해에 맞서 엘사를 믿고 옹호해주며, 진실을 알게 된 이후엔 더 돈독해지고, 엘사가 방황과 자책을 거듭하고 나누었던 약속을 여러 번 깨도 언제나 엘사를 이해하고 지지하고 위로해준다.

언니 외에도 기본적으로 모두에게 자상하고 다정하며 배려심 넘치고 사려 깊은 성격. 공식 계정에서는 '다정함의 힘을 절대 과소평가하지 말라'는 문구와 함께 안나의 이미지를 게시했고[25], 성우 크리스틴벨은 안나의 힘은 '믿음과 사랑'이라 답하였다. 눈사람인 올라프가 여름에 대한 환상을 말하자 어이없어하는 크리스토프와 달리 조용히 엄마 미소를 지으며 바라보거나, 녹아 없어질거라 말하려는 크리스토프를 말리고, 올라프 또는 아이들에게 허리와 무릎을 굽혀 눈높이를 맞춰주고, 악수를 청하는 소년의 손을 몸을 숙여 잡아주며, "네가 없이 내가 뭘 할 수 있겠니?"라 묻는 엘사에게 항상 곁에 있겠다며 품에 기대게 한 후 자장가를 불러주고, 크리스토프가 트롤들의 소개 전 자신 없어하자 괜찮다며 다독여주고, 본인도 화난 상황에서 올라프가 불안해하자 먼저 안심시켜주고, 본인도 부모님의 사망장면을 목도했는데 엘사를 먼저 위로해주는 등 상대에 대한 이해심을 기반한 존중과 마음을 보호해주려는 정말 상냥한 모습들이 수없이 나온다.

다재다능하여, 배움에 적극적이며 실제로 배움이 빠르고 응용력도 매우 뛰어나다. 공식 소설에서 궁궐 안의 모든 책을 한 번씩 다 읽었다는 사실이 나오며[26], 문제를 마주하기 전 관련 책을 늘 사전적으로 읽는 모습을 보이고[27], 올라프에게도 자주 책을 읽어주며, 심지어 매주 나라의 아이들을 모아놓고 동화책을 읽어주는 것이 손꼽아 기다리는 일 중 하나다. 승마[28]검술, 궁시[29] 등에도 매우 능하다. 특히 비중상 두드러지는 것은 검술로, 검술 실력이 한스를 앞설 정도로 결코 보통이 아니다.[30] 작중에서는 짐에 불을 붙여 늑대들을 처리하거나, 나무 튕기기를 이용해 마시멜로를 공격하고, 쫓기며 설산을 빙글빙글 미끄러지는 와중에도 크리스토프의 자세를 보고 이후 그대로 재현하고, 얼어붙은 칼 조각을 떼어내 위기 대응에 이용하고, 올라프의 팔을 이용해 배를 움직이고, 심지어 엘사가 보낸 얼음 모형을 보고 내용 이해는 물론이고 댐을 부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해내며 댐을 무너트릴 때는 무려 바위 거인을 깨워내 부수게끔 유도하는 전략을 쓴다. 디즈니에 임기응변 상황은 많지만, 대부분 운적인 요소에 기대는 데 반해 안나는 뮬란처럼 본인이 뛰어난 수준이다. 이러한 행적은 안나가 돌발 상황에서 아주 침착하다는 것에 기반한다. 수상쩍은 무리가 다가오거나 살아움직이는 눈사람이 말을 걸거나 엘사의 마법능력을 알게 되고 나라가 얼어붙는 등 예상 밖의 상황이 터져도 당황하거나 불안해하는 대신 바로 판단을 통해 해결법을 탐색하고 대응한다. 한편 당황하지는 않는 반면, 살짝 욱하며 화끈히 행동하는 성격도 있다. 화가 나거나 위협을 받은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반격을 실행한다. 본인 혹은 쌍방 책임일 때 곧 잘못을 깨닫고 먼저 사과하지만, 특히 타인이 엮인 일에는 더욱 불타오르고[31] 불의를 보면 반드시 바로잡으려 한다.

또한 상대방을 이끄는 리더의 성격이 강하다. 1편의 안나는 극 중 여정과 인간관계를 이끄는 역할이며 2편의 안나 대표 문구는 'Born To Lead'로 이는 안나의 여왕적 자질과 직결된다.[32] 극 중 두려워하고 불안해하는 주변 인물들을 보듬어주고 이끌어주는 역할을 보이며, 나라의 상태를 염려하고 책임지는 모습을 보인다. 안나는 자기 자신에 있어서도 고난에 놓인 스스로를 이끌어 일으키는 인물이다. 늘 희망을 잃지 않으려 애쓰지만 결국 희망을 전부 잃어버린 The Next Right Thing 장면은 특히 대표적으로, 여전히 슬픈 상태로도 다음 할 일을 하나씩 하며 살아가겠다는 선택을 보여준다. 이에 대해 공식 해설책은 '가장 우려하던 것이 현실이 되었을 때, 그리고 그것을 도울 사람이 오직 자기 자신뿐일 때, 안나는 어떻게 절망에서 자신을 이끌어내고 자신의 내면에서 상황을 이겨낼 힘을 찾을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고 소개한다. 댐을 부수기 위해 바위거인들을 유인시키는 것이나, 반대하던 매티어스 중위를 말로 설득해 자신의 의견에 따르게 하는 것 등에서도 리더의 성격을 알 수 있다.

이런 긍정적인 성격과는 별개로 애정 결핍이 심했고, 본인에 대한 평가와 자존감이 낮다는 어두운 면도 갖고 있다. 특히 이는 엘사를 향한 맹목적인 사랑과 정말로 대조되는데, 말과 부딪혀 놓고 한스에게 '엘사언니가 아니라 나여서 다행이다'라고 말하며, 대관식에서 언니와 나란히 서는 것을 어색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엘사에게 지속적으로 외면 당한 기억과 13년간 성에서만 갇혀 살은 외로움이 원인이 된 듯. 작중 여정을 겪으며 자신을 깎아내리는 모습은 거의 사라지나 대신 엘사를 자신보다 소중히 여기며 과보호하는 모습으로 다시 나타나게 된다. 안나가 엘사와 아렌델에 꽤나 집착하는 점은 안나의 핵심적인 캐릭터성이기도 한데, 안나는 영문도 모른 채로 닫힌 성 안에서 엘사의 외면을 받고 지내다 드디어 재회한 엘사가 달아나고, 아렌델이 얼어붙어서 엘사와 아렌델을 잃을 뻔한 위기에 처했다가 극적으로 되찾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다시는 잃고 싶지 않고 현재가 부디 변치 않기만을 간절히 바라는데, 그 소망을 담은 곡이 Some Things Never Change. 그러나 바로 집착을 벗어내는 것이 2편의 주 감정선이다. 바로 The Next Right Thing 장면에서 안나는 지키고자 했던 모든 것을 잃게 되는데, 그러한 최악의 절망 속에서도 일어서게 되며, 의무를 위해 아렌델을 직접 물에 잠기게 하기까지 한다. 이 과정을 겪은 안나는 잃는 것에 대한 강박을 떨쳐내고 단단한 내면으로 성장해 언니와 떨어져 여왕으로서 아렌델을 마주한다.

2.3. 캐릭터성

- 강인한 내면만으로 의무를 다하고 상황을 바꾸는 리더십
엘사가 '특별함'을 상징하는 캐릭터라면, 안나는 이와 철저하게 대비를 이루는 평범함을 상징하는 캐릭터다.[33] 엘사가 특별한 마법 능력을 가졌기에 오히려 내면의 방황을 겪었다면, 안나는 평범함에도 오로지 강인한 내면의 힘만으로 헤쳐나가는 캐릭터이다.[34] 안나의 상징 계절은 인데, 1편에서 안나의 캐릭터 문구는 'Spring is in the air'로 안나라는 인물 자체가 끈기와 사랑으로 끊임없이 엘사에게 다가가며 결국 휘몰아치는 겨울을 끝내고 얼어붙은 아렌델을 녹여내는 봄임을 의미한다.[35] 2편에서 안나의 캐릭터 문구는 'Find Your Strength'와 'Born to Lead'로 모든 걸 잃은 최후의 상황에서 자신의 내면의 힘으로 강인하게 일어나 또 한 번 엘사와 아렌델을 구한다. 'The Next Right Thing'에서도 나타나듯 안나는 절망 속에서도 다음 할 일을 하기로 스스로 '선택'하고 일어서 한 발자국씩 빛을 향해 걸어나가는 인물이다. 바로 그러한 성질 자체가 위기와 절망 속에서도 옳은 일과 의무를 해내는 것이기 때문에 '타고난 지도자'로서 여왕 자리에 오르게 된 것이다. 안나의 이러한 구국 영웅적인 특성은 1편에서부터 잔 다르크에 은유된다.[36]
같은 맥락에서 안나는 상황을 '해결'하는 인물이다. 감독은 안나만이 겨울왕국에서 유일하게 상황을 바꿀 수 있는 인물이라 설명하였다. 제작진이 말하기를, 인간의 힘을 초월한 비범한 존재로서 자신의 삶보다 훨씬 무거운 운명을 짊어진 채 모든 걸 껴안으려 하다가 최후엔 비극으로 끝나는 신화적인 캐릭터인 엘사랑 달리, 안나는 본래 평범해도 낙천적인 천성으로 주변을 변화시켜 결국 모든 고난을 극복한 대가로 해피 엔딩을 맞는 동화적인 캐릭터지만, 결국 안나를 한계까지 밀어붙여 엘사와도 같은 신화적인 캐릭터로 거듭나게 했고 안나 덕분에 엘사는 비극적인 결말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엘사가 자유로운 삶을 살아가는 것이 운명이듯 안나가 여왕이 되는 결말 또한 안나의 타고난 운명이다. 안나는 본디 상황을 해결해내는 동화적인 인물인데, 거대한 신화적인 절망까지 맞고도 일어나 자신과 엘사를 모두 구원하는 인물이다.

- 공주의 클리셰를 보이되 그 클리셰를 정면으로 깨는 인물
안나는 전통적인 뉴 웨이브 프린세스에 해당하는 모습인데, 유약하고 어두우며 소극적인 엘사와는 다르게 다른 프린세스들처럼 밝고 긍정적이며 능동적으로 극을 이끌고, 사랑을 하여 해피 엔딩을 맞는다.[37] 그러나 안나는 프린세스의 전통성을 이으면서, 동시에 기존 프린세스들의 틀을 정면으로 깨는 캐릭터에 해당한다. 남자 주인공에 의존하지 않는, 여러모로 망가지며 공주의 관념을 깨는, 남녀 간의 로맨스보다 자매애를 중시하는, 공주를 구원하는 공주 등 파격적인 캐릭터성을 갖고 있다. 애초에 겨울왕국이란 작품과 안나란 주인공은 기존의 디즈니 프린세스 클리셰를 깨기 위해 만든 것으로, 그것을 대표하는 가장 핵심적인 주제 장면이 바로 안나가 위기의 순간에서 남주 크리스토프가 아닌 언니 엘사에게 달려가는 장면이다. 안나가 왕자에게 구원을 얻는 공주의 클리셰를 깨고 자매애를 대표하는 캐릭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안나가 한스를 만난 이유는 13년간 이유도 모르고 언니에게 외면 받으며 갇힌 성에서 살아오다 사람을 만날 단 하루가 주어지자 한스를 붙잡게 된 것인데, 이해할 만한 원인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애초부터 안나의 이런 심리는 언니에 대한 갈망에서 비롯된다. 즉 자매애에 대한 갈망을 로맨스가 대신 채워주게 된 것으로, 안나에게 더 중요한 것은 자매애이고, 끝없는 노력으로 엘사와 다시 재회하게 된 안나는 그 무엇보다 행복한 모습을 보인다.

요약하자면 주위를 화합시키는 다정함, 상황을 변화시키는 리더십, 어떠한 역경 속에서도 포기하지 않고 해결책을 강구해 나아가는 의지 등 내면의 강인한 성정을 고루 갖춘 캐릭터이다. 다만 안나의 이러한 특성은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엘사의 마법 요소와 대비되는 평범성이며 의상 또한 화려한 엘사와 대비되는 단정한 타입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안나의 작품의 핵심적인 캐릭터성이 덜 조명 받는 것이 다소 문제라면 문제.[38] 또한 엘사가 소수자를 대표하는 캐릭터라면 안나는 그러한 소수자를 편견없이 따뜻하게 맞아주는 가족이나 대중을 상징한다.

2.4. 변천사

<nopad>파일:external/media-cache-ec0.pinimg.com/a13891b77fff27bd7c03497620e09f45.jpg<nopad>파일:external/media.virbcdn.com/19258cd5f7fcc06a-Frozen_Anna_concept-early.jpg<nopad>파일:external/4.bp.blogspot.com/frozen-anna-concept-art.jpg
'자매 관계' 설정이 확립되기 전
<nopad>파일:external/24.media.tumblr.com/tumblr_mre1atnNny1qgf1hao3_1280.jpg<nopad>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New_Look_Anna.png<nopad>파일:external/media.virbcdn.com/a74adbca560f84d5-Frozen_Anna_Concept.jpg
'자매 관계' 설정이 확립된 이후
초창기 안나는 원작의 겔다를 기반으로 한 캐릭터로, 마음의 상처를 떨치지 못하고 자신의 심장을 얼리기 위해 눈의 여왕을 찾아가는 사미족 농부라는 설정이었다. 하지만 눈의 여왕과의 연관성을 강화하기 위한 브레인스토밍 중 '안나와 엘사를 자매로 만든다'는 아이디어가 채택되면서 공주로서의 정체성이 더해졌다. 이 시기의 안나는 다소 신경질적이고 새침하며 겁이 많은 수동적이고 전형적인 성격의 공주였다. 현재의 활발하면서 초긍정적인 성격은 성우인 크리스틴 벨의 자신의 성격을 베이스로 캐릭터를 수정해 달라는 피드백이 적극적으로 반영된 결과이다. 피드백이 들어가기 전의 안나는 상술한 성격에 열등감까지 가진 꽤 어두운 성격의 캐릭터였는데, 크리스틴 벨은 이런 성격의 캐릭터를 연기하고 싶지 않다며 좀 더 밝은 성격으로 수정 요청을 한 것. 단순한 성격이나 말투뿐만 아니라 표정과 입술을 깨무는 습관까지 차용해 왔다. 특히 말이 길어져 논지가 흐트러질 때 나오는 "Wait, What?"[39]과 말실수를 한 뒤 "I mean..."으로 첨언하는 버릇에 잘 나타난다. 크리스틴 벨의 피드백이 적용된 시점은 상당 부분 작업이 진행되었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제니퍼 리는 안나의 바뀐 성격에 맞추어 각본을 다시 만들어야 했다. 작업 중후반에 들어선 시점에서도 안나의 캐릭터가 지속적으로 수정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시기의 안나는 트레일러나 테스트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3#4

3. 성우

성우
국가 5살 노래 9살 노래 15~21살 노래
파일:미국 국기.svg 리비 스투벤라우치[40]해들리 개너웨이 케이티 로페즈[41] 크리스틴 벨 애거사 리 몬[42] 크리스틴 벨, 애비 트롯(레고 시리즈)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켈리 용 크레우츠만 테이겐 → 올리비아 오마라 트라네 스토르스베 올리네 호펜 소피 샤를로테 푸네르 메이 크리스틴 카스페르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에스더[43] → 최반희 윤시영[44] 이아진[45] 박지윤[46]
파일:일본 국기.svg 이나바 나츠키 → 니츠 치세[47] 모로호시 스미레 칸다 사야카시미즈 리사[48]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나(디즈니 캐릭터)/성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나(디즈니 캐릭터)/성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나(디즈니 캐릭터)/성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안나(디즈니 캐릭터)/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나(디즈니 캐릭터)/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안나(디즈니 캐릭터)/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기타


[1] 출처[2] 겨울왕국[3] 겨울왕국 2[4] 5' 5" 출처[A] Unlocking Arendelle 참조[6] 밀가루, 버터, 계란, 설탕, 그리고 크림으로 만드는 노르웨이의 와플 쿠키.[7] 한 사람이 하는 몸짓을 보고 그것이 나타내는 것을 알아맞히는 놀이. 한국의 '몸으로 말해요' 놀이를 떠올리면 된다.[A] Unlocking Arendelle 참조[9] 직접적으로 나오지는 않지만, 엘사가 좋아하는 것을 설명하면서 헛구역질을 하는 것을 보면 굉장히 싫어하는 음식으로 추정된다.[10] 성우인 크리스틴 벨의 말버릇이기도 하다. 나중에 가서는 겨울왕국 이후 다른 작품의 다른 인물들도 이 말을 쓴다.[11] 안나와 엘사는 더블 주인공이나, 디즈니에서 공식적으로 밝힌 메인 주인공은 안나이며 서브 주인공은 엘사다. 분량도 안나가 더 많으며, 엔딩 크레딧에서도 안나의 이름이 먼저 나온다.[12] 사건을 일으켜 스토리의 배경이 되는 인물이 엘사라면 그 사건 속에서 극을 이끌고 문제를 해결하는 롤이 안나다. 1편과 2편 모두 '진정한 사랑의 행동'을 행하는 자와 '마법의 숲의 저주'를 최종 무너트리는 자가 안나다. 제목인 Frozen에서 얼어붙은 것을 녹이는 게 안나(그래서 상징 계절이 )라 생각하면 이해가 빠르다.[13] 이때는 머리가 짧아 트윈테일을 하고 있었고, 9살 때부터 땋은 양갈래를 하기 시작했다. 파일:안나9세.jpg[14] 계절상 여름. 엘사를 찾아나서며 망토를 착용한 모습. 파일:안나_대관식망토.jpg[15] 평상복 바리에이션[16] 엘사의 생일 주간 시기에 맞춰 입은 하늘색 의상으로, 반대로 안나의 생일날에는 엘사가 초록색 의상을 맞춰 입었다[17] 머리 스타일은 엘사의 대관식 머리와 어머니인 이두나의 평소 머리와 동일하나, 안나만 땋은 부분의 방향이 다르다. 아렌델 여왕 및 왕비의 머리 스타일 양식인 듯하다.[18] 집무 및 외부 활동시 착용 복장파일:안나_여왕집무복.jpg[19] 공식 일러스트나 굿즈 등에서는 주황색으로, 디즈니 팬덤 위키에서는 스트로베리 블론드로, 겨울왕국 2에서는 진저(붉은 머리)로 언급하여 빛에 따라 색채가 다양한 붉은 금발로 주황색에 가장 근접하다. 할아버지인 루나드 왕과 머리색이 똑같다.[20] 어머니 이두나의 벽안과 아버지 아그나르의 녹안이 섞인 청록색으로, 안나의 눈색은 청록빛의 녹안인 반면 엘사의 눈색은 하늘색 벽안으로 자매 각각의 상징색과 동일하다. 일러스트나 굿즈 등에서도 청록색으로 채색되는데 종종 아예 초록색으로 채색되는 경우도 있다.[21] 연한 아이보리색부터 짙은 딥그린까지 연두색, 청록색, 초록색, 녹두색, 카키색, 민트색, 수박색 등 그야말로 모든 녹색을 아울러 사용한다. 고로 사용되는 색상이 엘사에 비해 다양한 편이나 대부분 녹색 계열에 한정된다.[22] 녹색과 자색은 아렌델의 국기 색 조합이다. 엘사의 상징 배경이 1편 얼음성, 2편 아토할란일 때 안나의 상징 배경은 꾸준히 아렌델이다.[23] 작중 밝은 성격이 잘 드러나는 대표적 장면은 For the First Time in Forever. 계단 손잡이를 마치 미끄럼틀 타듯 내려오고, 성의 여러 물건들로 1인 연극을 선보이고, 성문이 열린 아렌델 곳곳을 뛰어다니고 누빈다. 성문이 열려 매우 들떴기에 평소보다 높은 텐션이기도 하다.[24] 문화권마다 세부적 차이는 있으나 실제로 근대 사회에서 여성의 만 18세는 건 딱 결혼하기 적절한 나이로 통했다.[25] 파일:anna_kindness.jpg[26] 소설 "팬텀 오브 아렌델"[27] 소설 "forest of shadows"의 역병을 막을 방법을 찾기 위해 도서관에서 책을 쌓아놓고 밤새 읽은 것이 대표적으로, 그 외에도 소설과 동화책에서 어떠한 활동을 하기 전 그와 관련한 제목의 책을 읽는 모습이 꾸준히 나온다.[28] 1편에서 엘사를 찾으러 갈 때 말에 올라타자마자 빠르게 질주하는데, 공식 동화책에서 어릴적부터 승마를 연습해온 것이 나온다.[29] 공식 동화책[30] 소설에서 한스와 검술로 대등히 겨룰 수 있는 실력이라는 언급이 있으며, 삭제된 컨셉아트에서는 한스와 궁을 돌아다닐 때 검으로 대련도 했는데 한스를 검으로 제압했을 정도이다. 겁에 질린 한스와 다시 덤벼보라며 검을 겨눈채로 태연히 웃는 안나가 압권. 2편에서는 얼음검을 겨눠 경계하다가 선제공격을 가하는 모습이 정식으로 등장하였고, 예고편에도 안나가 화면을 향해 검을 능숙히 휘두르는 장면이 나왔다. 디즈니 공식 실사 드라마 원스 어폰 어 타임에서도 검술을 연습하는 장면이 나온다. 파일:안나예고편.gif[31] 작중 안나가 크게 화를 낼 때는 모두 다른 이들과 함께 일을 겪을 때다. 결혼을 거절당한 한스, 내던져진 올라프와 크리스토프, 죽을 위기에 처한 엘사 등[32] 엘사의 대표 문구는 'Face Your Fear'로, 자신의 두려움을 마주하고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는 모습을 의미한다.[33] 당장 이름의 뉘앙스에서도 느낄 수 있고, 안나는 마법 능력이 없기에 작중에서 대놓고 '평범하다'는 표현을 사용한다. 1편에서는 위즐튼의 공작의 "너도 괴물이냐?"라는 질문에 부정할 때, 2편에서는 노덜드라인에게 올라프가 소개할 때. 재밌게도 꽤나 실례되는 말이니만큼 그 말을 듣고 주변인들은 눈치를 살피고 안나 역시 불쾌해하지만, 사실인지라 부정하지는 못한다.[34] 'For The First Time In Forever(Reprise)'에서 좌절하는 엘사와 설득하는 안나의 모습에서 크게 대비된다.[35] 겨울왕국 플레이북에서는 자신과 닮은 캐릭터를 찾는 페이지 속 무슨 계절이 좋은지 묻는 질문에 안나는 봄, 엘사는 겨울로 표기되어 있다. 또한 안나의 생일인 하지는 1년 중 해가 가장 긴 날이지만, 노르웨이에서 명백히 봄 날씨로 안나의 생일을 다룬 겨울왕국 열기는 'First day of Spring'이라는 문구로 공식적 표현된다. 또한 안나의 상징 문양이 꽃[58]인 것은 꽃이 피어나는 계절인 봄을 상징한다.[36] 파일:anna_joan.png[37] 활발한 분위기 및 다재다능함은 특히 라푼젤과 유사하나, 실질적으로 리더적인 성질과 영웅적인 행적은 뮬란, 모아나와도 비슷하다. (라푼젤의 행동의 중심은 호기심과 사람들과의 사교이나, 안나의 행동의 중심은 가족애와 나라에 대한 사랑이다.)[38] 그 결과로 안나의 행적에도 불구하고 엘사를 주인공으로 오인하는 대중이 다수인 것이 사실이다.[39] 겨울왕국 시리즈에서 이 대사가 수차례 나오며, 카메오 출연한 주먹왕 랄프 2에서도 이 대사를 한다.[40] 핀과 제이크의 어드벤처 타임의 수잔 스트롱과 동일한 성우다.[41] 겨울왕국 음악을 담당한 로버트·크리스틴 앤더슨 로페즈 부부의 8살 난 첫째 딸이다. 실제 어린 소녀가 부르는 느낌을 전달하고 싶었다고. #[42] 감독인 제니퍼 리의 딸.[43] 스누피: 더 피너츠 무비에서 루시 반 펠트로 출연한 아역 배우로, 어린 시절 목소리도 윤시영 양이 더빙했다고 정보가 퍼져 있지만 우리말 더빙 크레딧에는 윤시영 양은 없고(반면 "같이 눈사람 만들래" 노래 부분에는 올라와 있다.) 김에스더 양이 맨 앞 순위로 올라와 있다. 이후 플라워링 하트 1기에서 슈엘의 목소리를 맡았다.[44] 한스 웨스터가드의 노래 파트를 담당한 윤승욱의 딸이다. 보이스키즈에 출연한 적이 있으며 스타킹이나 불후의 명곡에도 나오기도 했다.[45] 뮤지컬 행진! 와이키키 브라더스에서 성우 역, 노트르담 드 파리에서 클로팽 역을, 디즈니에서는 모아나의 타마토아와 미녀와 야수 영화판의 루미에를 연기한 뮤지컬 배우 이정열의 딸이다. 2020년 현재는 '이아진'이라는 예명으로 뮤지컬 배우 활동 중. 관련 자료.[46] 라푼젤을 맡았던 성우이며, 목소리톤도 비슷하다.[47] 파프리카를 부른 아역배우 그룹 Foorin의 멤버이자 애니메이션 감독인 신카이 마코토의 딸이다.[48] 칸다 사야카 성우가 2021년 12월 18일 사망하여 차기 작품의 성우교체가 불가피해졌다.[49] 흔하지 않은 이름의 엘사와는 달리 흔한 이름을 부여한 것은 '평범함'을 캐릭터성으로 내세운 것의 일종.[50] 그 외 실사 영화 버전의 자스민도 이에 해당한다.[51] 당장 겨울왕국에서도 대관식 날 카이가 안나에게 Your Highness라고 하지 않고, Princess라고 칭한다거나 "언니 대관식이요."라고 하는 건 유럽 궁중 예법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왕가 이외의 사람이 국왕에게는 Your Majesty(폐하), 그 이외의 왕족들에게는 Your Highness(전하)라고 불러야 한다.[52] 안나만큼 임기응변에 능한 프린세스는 뮬란이 있다.[53] Home을 축소하여 안나 파트에 넣은 후, 추가적으로 다른 주연들도 각자의 입장을 노래한다. 그러나 안나의 파트 내에서 안나의 입장이 충분히 전해지지 않아 극 후반부에 나오는 안나의 활약에 서사적 이입을 하기 아쉽다는 의견이 많다.[54] 영어판 외의 가사는 이 언어유희를 살리기 어려워서 그냥 샌드위치를 좋아한다는 식으로 바뀌었다.[55] 겨울왕국 2에서는 듀엣곡 Get This Right가 계획되어 있었으나 삭제되었다.[56] 엘사의 인기는 디즈니 프린세스 전체에서도 가장 높다.[57] 유일한 건 아니다.